• 제목/요약/키워드: Web Based Instruction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29초

웹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투입 시기가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 과학적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n Science Inquiry Ability, Scientific Attitude and Science Achieve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Input time of Web-Based Instruction Programs)

  • 백남권;안영학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2호
    • /
    • pp.123-130
    • /
    • 2004
  •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the effects on Science Inquiry Ability, Scientific Attitude and Science Achieve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Input time of Web-Based Instruction Programs. As the object of the study, seventy-two students were selected from three classes in the fifth grade of Y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the city of T, Gyungsangnam-do. They were classified into the three groups such as Group A (Class 1), Group B (Class 2) and Group C (Class 3). The author threw web-based instruction programs into the begining of a unit, during a unit, the end of a unit to each group, and explored the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learning effect of science inquiry ability, it was indicated that there was the highest effect in the case of throwing web-based instruction programs into during a unit, but the effect reduced a little in the case of throwing them into the end of a unit. Secondly, the scientific attitudes tended to be reduced in the case of throwing them into during a unit, but there did not occur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Thirdly,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the science achievement tended to be highest in the case of throwing them into the end of a unit. Such findings indicated that the time of throwing in web-based instruction programs affected science inquiry ability, scientific attitude and science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us, it will be said that teachers need to teach their students with the class strategies of considering various scientific elements revealed at the time of throwing in web-based instruction programs.

  • PDF

상호작용적 웹활용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ractive Web-based Instruction)

  • 박선주;김철;김정랑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83-188
    • /
    • 1998
  • 웹은 여러 사람들이 상호작용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새로운 교수 학습방법들을 제공한다. 그러나 웹상에 존재하는 교육자료들은 상호작용을 충분하게 지원하지 못하며, 학습자의 수준별로 융통성 있게 학습을 지원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웹을 활용하여 학습할 때 방향감을 상실하지 않고 수준별 학습이 가능하도록 상호작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에이전트 기술을 사용하여 웹활용교육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웹기반 프로젝트 수업이 중학생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eb-Based Project Learning on the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 곽민희;유정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4-8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과에 적합한 웹기반 프로젝트 수업과정을 설계하고 이를 수업 현장에 적용하여 중학생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는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웹을 활용하여 정보를 교수자, 학습자를 비롯한 여러 사람과 교환하였다. 남녀 공학의 중학교 3학년 4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에 대하여 웹기반 프로젝트 수업, 그리고 통제 집단에 대하여는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웹기반 프로젝트 수업은 전통적인 수업에 비하여 학생들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학습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웹기반 수업은 학업 성취 수준별 비교에서 특히 상위 집단의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웹기반 프로젝트 수업은 과학 교과에 대한 흥미 유도를 통하여 여학생들의 성차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해소함으로써 과학학습 태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주었다.

Web 기반 워드프로세서 코스웨어의 설계 및 분석 (A design and analysis of Web-Based courseware for word processor)

  • 강윤희;이주홍;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89-197
    • /
    • 2003
  • WBI(Web Based Instruction)는 교수 학습 자료의 개발 부담으로 특정 교과에 국한되어 있다. 본 논문은 WBI를 워드프로세서의 수업에 적용하여 인터넷 기반의 개별화된 교수-학습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WBI를 적용한 워드프로세서 수업 방식은 전통적 수업 방식에 비해 학생들이 더욱 흥미를 느끼게 하고, 워드프로세서의 수준별, 능력별, 단계별 학습 선택으로 인해 학생 중심의 학습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개별학습 과제를 통해 학습내용을 실시간 평가 할 수 있으며 피드백이 가능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었다.

  • PDF

가정과 의생활 단원에 적용된 웹 수업자료 개발 및 실행방안 (The Development of the Web Based Instruction Materials in clothing Unit)

  • 권영란;조필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45-156
    • /
    • 2000
  •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n efficient web-based instruction materials in clothing unit. The clothing unit was chosen because this unit was supposed to be appropriate to analyze and utilize web. By using languages of html asp, the study developed web materials to use this unit and constructed this unit into web site. Finally the study tried to examined educational effect by performing the constructed web site and representing some ways which can be applied in the classroom.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circled1$The web materials were developed with steps of planning longrightarrowdesigninglongrightarrowdevelopmentlongrightarrowevaluation. In each step detailed activities, content analysis examples of developed materials, which presents the concrete procedures and directions were specified. $\circled2$The web materials were developed to be able to change an add up the materials in the web site. $\circled3$The web materials were developed by teaching-leaning model and the lesson plan, and then they are applied. $\circled4$Instruction material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lesson plan and in concrete ways.

  • PDF

웹 에이전트를 이용한 웹기반 교수-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 (An Implementation and Design Web-Based Instruction-Learning System Using Web Agent)

  • 김갑수;이건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69-78
    • /
    • 2001
  • 최근에,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은 CAI 환경에서 WBI 학습 환경으로 옮아가고 있다. WBI 학습에 필요한 대부분의 웹 문서는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얻는다. 교수자는 검색한 웹 문서의 사용가능성을 평가한 후 학습 자료로 사용한다. 그러나 이런 교수-학습 과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교수자에 의해 선정된 웹 문서를 반복해서 검색한다. 둘째, 웹 문서를 학습자에게 제시하기 위한 별도의 교수 설계 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학습자의 평가 결과와 웹 문서 사이의 관련성 분석이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WBI 학습에 필요한 웹 문서를 검색하고 학습자에게 학습 과정을 안내하는 WAILS(Web Agent Instruction Learning System)를 제안한다. WAILS는 웹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WBI 학습에 필요한 웹 문서를 수집한다. 교수자는 수집한 웹 문서를 평가하고 교수-학습 생성기를 통해 학습자에게 제시한다. 교수자는 WAILS를 이용하여 웹 문서의 검색과 교수-학습 설계를 동시에 하게 된다. 이는 WBI 학습을 더욱 촉진시키게 된다.

  • PDF

초등학생의 안전사고예방을 위한 웹기반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Development and Effect Analysis of Web-Based Instruction Program to Prevent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Safety Accidents)

  • 정은순;정인숙;송미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85-494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 WBI(Web Based Instruction) program on safety for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test the effects of it. Method: The WBI program was developed using Macromedia flash MX, Adobe Illustrator 10.0 and Adobe Photoshop 7.0. The web site was http://www.safeschool.co.kr. The effect of it was tested from Mar 24, to Apr 30, 2003. The subjects were 144 students enrolled in the 3rd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in Gyungju.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WBI program lessons while each control group received textbook-based lessons with visual presenters and maps, 3 times.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chi}^2$test, t-test, and repeated measure ANOVA. Result: First, the WBI group reported a longer effect on knowledge and practice of accident prevention than the textbook-based lessons, indicating that the WBI is more effective. Second, the WBI group was better motivated to learn the accident prevention lessons, showing that the WBI is effective. As a result, the WBI group had total longer effects on knowledge, practice and motivation of accident prevention than the textbook-based instruction. Conclusion: We recommend that this WBI program be used in each class to provide more effective safety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s.

Preservice Teachers' Changing Perceptions of Technology Infusion - The Impact of Web-based Instruc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 Lin, Cheng-Yao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0권4호
    • /
    • pp.239-258
    • /
    • 2006
  •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preservice teachers' beliefs about their intent to use computers and Internet resources in mathematics classrooms. Also, web-based instruction on topic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was used to foster teachers' confidence and competence in using instructional technology, thereby promot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use of computers and Internet resources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web-based instructions exhibited a significantly (p < 0.05) better attitude toward using computers and web-based resources in teaching mathematics than did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 PDF

C2 아키텍처를 이용한 웹 기반 성적처리 시스템 (Web-Based Score Processing System using C2 Architecture)

  • 정화영;김종진;김종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49-55
    • /
    • 2005
  • 웹 기반 학습시스템은 현재까지 전통적인 프로세스에 따라 구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시스템 개발에서 비효율성을 갖으며, 개발이후에도 운영 및 관리에 어려움을 준다. 따라서 웹 기반 교육시스템에서도 컴포넌트 기반 개발방법의 도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컴포넌트 합성에 의한 성적처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컴포넌트는 Java Beans로 구현하였으며, 합성 방법은 C2 아키텍처를 이용하였다. 이는, 각 컴포넌트의 합성을 통하여 전체 성적처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서 웹 기반 학습 시스템에서도 컴포넌트 기반 개발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보였다.

  • PDF

대학도서관 이용자 교육을 위한 웹 기반 모델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eb-based Library User Instruction Model for Academic Libraries)

  • 이란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69-288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도서관 이용자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재확인하고 도서관 이용자 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에 도움을 주고자 웹 기반 도서관 이용자 교육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미국과 한국의 도서관 이용자 교육에 관한 역사를 살펴 본 후, 도서관 이용자교육에 교육 이론과 개념을 적용하며 최신 기술을 활용한 웹 기반도서관 이용자교육 모델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