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ater circulation management system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초

유리온실과 플라스틱 온실의 환경조절시스템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environment control systems for glasshouses and plastic houses)

  • 남상운;신현호;서동욱;유인호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3호
    • /
    • pp.251-258
    • /
    • 2014
  • In order to set up the basic environmental control systems which the new concept greenhouses have to equip, greenhouse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s in domestic glasshouses and plastic house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comparatively. Survey results on the width, length, eaves height, and the number of spans etc. showed that glasshouses were bigger than plastic houses significantly. New concept greenhouses claim to be plastic houses, but it will be reasonable to follow the specifications of the glasshouse. Specifications to be applied to new concept greenhouses were proposed as follows; hot water heating systems, aluminum screens as the thermal curtain, evaporative cooling systems, roof vents on the ridge, circulation fans, $CO_2$ enrichment, hydroponic systems, and automatic irrigation control systems. Environmental measurement systems for the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humidity, light, wind speed and indoor $CO_2$ concentration have to be fully equipped. The automatic control system has to be as a complex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not a single item control system. Also, for stable dissemination, domestically producing complete greenhouse control system should be made as soon as possible.

금강 유역에서의 기후변화에 대한 유출 영향 분석 (Impact of Climate Change on Runoff Analysis in the Geum River Basin)

  • 안정민;정강영;김경훈;권헌각;양득석;신동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49-561
    • /
    • 2017
  • Recently IPCC (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7) pointed out that global warming is a certain ongoing process on the earth, due to which water resources management is becoming one of the most difficult tasks with the frequent occurrences of extreme floods and droughts. In this study we made runoff predictions for several control points in the Geum River by using the watershed runoff model, SSARR (Streamflow Synthesis and Reservoir Regulation Model), with daily RCP 4.5 and RCP 8.5 scenarios for 100 year from 1st Jan 2006 to 31st Dec 2100 at the resolution of 1 km given by Climate Change Information Center. As a result of, the Geum River Basin is predicted to be a constant flow increases, and it showed a variation in the water circulation system. Thus,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t seasonality occurred.

옥상방수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Water Proofing System of the roof)

  • 권병헌;허재훈;이성일;한정훈;김창덕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35-538
    • /
    • 2004
  • 최근 공동주택(아파트)의 품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대형 구조물들이 건축물의 옥상부분을 활용하려는 인식의 변화와 더불어 옥상 방수의 재료와 공법에 대하여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현재 까지 구조물의 유지관리 및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많은 방수 재료 및 공법이 개발되어 왔으나 여러 가지 기존의 방수하자 요인에 대하여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방수 재료 및 공법이 미흡한 실정이다. 더욱이 옥상 방수에 있어 바탕상태 및 콘크리트의 물리적 거동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공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대표적인 옥상 방수 공법에 대하여 알아보고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옥상 방수 에 대한 새로운 방향으로의 시야를 넓혀보고자 한다.

  • PDF

Research on Step-Type Chemical Liquid Deodorizer using Liquid Catalyst

  • WOO, Hyun-Jin;KWON, Lee-Seung;JUNG, Min-Jae;YEO, Og-Gyu;KIM, Young-Do;KWON, Woo-Taeg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6권5호
    • /
    • pp.19-2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and develop a step-type chemical liquid deodorizer including a liquid catalyst that can prevent civil complaints due to odor due to its excellent deodorizing performance. The main composition of chemical liquid deodorizer including liquid catalyst is cleaning deodorization, catalyst deodorization, chemical deodorization, water film plate, deodorization water circulation device, deodorization water injection device, catalyst management system, gas-liquid separation device, chemical supply device, deodorizer control panel, etc. It consists of a device. The air flow of the step-type liquid catalyst chemical liquid deodorizer is a technology that firstly removes basic odor substances, and the liquid catalyst installed in the subsequent process stably removes sulfur compounds, which are acidic odor substances, to discharge clean air. The efficiency of treating the complex odor of the prototype was 98.5% for the first and 99.6% for the second, achieving the target of 95%. The hydrogen sulfide treatment efficiency of the prototype was 100% for the first and 99.9% for the second, which achieved 95%, which was the target of the project. As a result, ammonia was removed by the reaction of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자원순환형(資源循環型) 사회(社會) 구축(構築)을 위한 고품질(高品質) 순환골재(循環骨材) 생산(生産) 공정(工程) 개발(開發) 연구(硏究) (Development of High quality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Process from Waste Concrete for Resource Circulation System)

  • 김관호;조희찬;안지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8권3호
    • /
    • pp.27-35
    • /
    • 2009
  • 부존자원의 대량소비로 인해 자원고갈 문제와 이에 따라 발생하는 폐기물처리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두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현재의 사회구조를 자원소비형에서 자인순환형으로 변화하기 위할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런 노력의 일환으로 국내 발생 폐기물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건설폐기물에 관심이 급증하고 있지만 종합적인 처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폐기물의 가장 많은 단일 물질인 폐콘크리트의 자원순환을 위한 고품질 순환골재 생산 공정 연구를 진행하였다. 굵은 골재, 잔골재, 시멘트 등이 수화물의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폐콘크리트를 가열전처리 방법과 Autogenous mill을 이용한 단체분리를 통해 고품질의 콘크리트용 순환 굵은 골재를 회수하였으며, 파분쇄 후 생산된 폐콘크리트 미분은 sink/float 분리를 통한 비중분리 특성을 파악한 후 간섭침강분리를 통해 정제과정을 거쳐 고품질의 콘크리트용 순환 잔골재를 생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전체 건설폐기물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폐콘크리트를 고품질 순환골재로 재활용 할 수 있는 자원순환형 처리 공정을 개발하였다.

국토계획과 환경계획 통합관리 지표 개발 연구 (A Study on Assessment Indicators for Integrated Management on Korea National Planning and Environmental Planning)

  • 허한결;성현찬;이동근;허민주;박진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7-45
    • /
    • 2018
  • Both the national land plan and the environmental plan reflect the need for sustainable land use and management. However, the linkage between the plans is reduced due to the lack of integrated management.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indicators to achieve integrated management. A total of 59 environmental plans were reviewed for the development of indicators, and a total of 74 integrated management indicators were derived through a three-stage process. In this process, the relevance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indicators of this study to the UN '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is presented in order to derive indicators that meet the level of international consulta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utilization of the indicators, the final indicators are divided into seven areas: natural ecology, water resource and quality, urban and green space, atmospheric, energy, landscape, resource circulation and waste. Furthermore, the indicators were classified into national, regional, and city level. Accordingly, the final indicator can be adapted to the field of influence of the planned to be established, and the indicator can be selected and applied to the level of the plan. The final indicators can be used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the national plan reflects the contents of the environmental plan and can be used as an aid to confirm the contents to be included in the plan when establishing a new national plan.

기후변화 연동 지하수 함양량 산정 모델 개발 및 정책방향 고찰 (Review of Policy Direction and Coupled Model Development between Groundwater Recharge Quantity and Climate Change)

  • 이명진;이정호;전성우;홍현정
    • 환경정책연구
    • /
    • 제9권2호
    • /
    • pp.157-18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실질적인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산정 모델 개발 및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변화를 산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고,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연구지역의 미래 시기별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수자원 통합관리방안에 대한 정책적 사항을 제안하였다. 연구지역은 낙동강 본류를 포함하는 경상북도 칠곡군, 구미시 일부 및 대구시 북구 일부이며, 최종 연구결과는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시기별 강우량, 함양률, 함양량을 추정하였다. 함양량 및 함양률은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량의 변화와 함께 변화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기후변화와 지하수 함양량의 불명확한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미래 기후변화 예측 결과를 반영한 연구지역 내 지하수 함양률 변화를 시-공간적으로 산정하고, 기존 산정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향후 기후변화를 고려한 국내 지하수 수자원의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앞으로 연계모델의 고도화 방안 및 현장조사가 추가된다면 보다 정량적으로 기후변화와 지하수 함양량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향후 수자원으로 이용이 증가될 지하수의 전반적인 관리 및 효율적인 운영체제 구축을 위한 한 축을 차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 PDF

보일러 초음파 수처리장치의 신뢰성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iability enhancement of Ultrasonic water treatment system to boiler)

  • 김대룡;이근오
    • 에너지공학
    • /
    • 제22권3호
    • /
    • pp.287-293
    • /
    • 2013
  • 이 논문은 보일러 운전중에 일어나는 결함요소의 하나인 스케일형성을 감소하기 위한 연구이다. 스케일의 결함은 보일러 튜브의 과열로 보일러 파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보일러내부의 수의 순환 불량으로 내부의 물흐름에 영향을 미쳐 내부의 수의 불균등을 가져오기도 한다. 그리고 스케일은 보일러 재료보다 열전달이 되지 않음에 따른 에너지손실도 가져와 지구 온난화의 환경에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스케일의 형성을 방지하거나 제거하기 위하여 한국정부에서는 보일러수질관리를 위하여 2005년도에 스케일부착을 방지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시설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스케일형성 방지 및 제거하기 위한 기법에 관한 연구는 1821년 감자 전분에 의한 스케일형성 감소에 의한 연구를 시작으로 그 후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1994년 한국에 러시아 음향연구소의 한 과학자로부터 개발된 초음파 스케일 방지장치가 소개된 이래로 다양한 보일러에 보급되기 시작했다. 초음파 스케일방지 장치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조건을 실증할 필요가 있다. 보일러는 대부분 원형 곡면의 본체와 튜브로 구성 되어 있다. 보일러의 구성 요소 중 스케일결함 가장영향을 많이 미치는 원통형에 대한 실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음파의 일정음압과 주파수에 도달하여야 스케일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기오염관리의 새로운 접근방법 (New Approach to Air Quality Management)

  • 윤명조
    • 환경위생공학
    • /
    • 제8권2호
    • /
    • pp.25-48
    • /
    • 1993
  • International concern over the environmental pollution is ever increasing, and diversified countermeasures must be devised in Korea also. Global trend, damages,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with respect to issues mentioned in the Rio Declaration, such as prevention of ozone layer destruction, reduction of migratory atmospheric pollution between neighboring countries, and prevention of global greenhouse effect, were discussed in this report. Conclusion of the report is summarized as follows : A. Measurement, Planning and Monitoring (1)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global network for measurement and monitoring from the global aspects such factors as related to acid rain(Pioneer substances, pH, sulfate, nitrate), effect of global temperature(Air temperature, $CO_2$, $CH_4$, CFC, $N_2O$) and destruction of ozone layer($CFC_S$). (2) Establishment of network system via satellite monitoring movement of regional air mass, damage on the ozone layer and ground temperature distribution. B. Elucidation of Present State (1)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devices for carbon circulation capable of accurately forecasting input and output of carbon. (2) Developmental research on chemical reactions of greenhouse gas in the air. (3)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global circulation model(GCM) C. Impact Assessment Impact assessment on ecosystem, human body, agriculture, floodgate, land use, coastal ecology, industries, etc. D. Preventive Measures and Technology Development (1) Development and consumption of new energy (2)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for removal of pioneer substances (3) Development of substitute matter for $CFC_S$ (4) Improvement of agriculture and forestry means to prevent the destruction of ozone layer and the greenhouse effect of the globe (5) Improvement of housing to prevent the destruction of ozone layer and the greenhouse effect of the globe (6)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for probing underground water (7) Preservation of forest (8) Biomass 5. Policy Development (1) Development of strategy model (2) Development of long term forecast model (3) Development of penalty charge effect and expense evaluation methods (4) Feasibility study on regulations By establishing the above mentioned measures for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o establish the right to live for humankind and to preserve the one and only earth.

  • PDF

비엠 활성수 플랜트의 공정제어기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rocess Controller for BMW (Bacteria Mineral Water) Plant)

  • 이상윤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74-8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BM 활성수를 생산하는 BM 활성수 플랜트 공정 제어시스템 모델을 제안하고,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진 BM 활성수 플랜트 공정 제어기를 개발 하였다. 첫 번째 기능으로는 먼저 부로와가 과부하가 걸렸을 때, 과전류 감지기가 동작하여 일정시간 부로와를 정지시킨 후 재 기동 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는 정전시 유도조에서 퇴비투입조로의 순환을 막기 위해 전동밸브가 정전시 자동으로 닫히는 기능을 부가함으로서 볼밸브의 고장으로 인한 퇴비투입조의 누수를 막을 수 있다. 세 번째는 생산된 활성수를 농축조에서 4개의 저장조로 자동으로 이송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하여 활성수 생산량을 자동 관리 하였다. 그리고 BM 활성수 플랜트 공정제어기 신호측정 시험장치를 개발하여 제작한 BM 활성수 플랜트 공정 제어기가 설계한 사양대로 잘 동작하는지 확인 하였다. 본 연구는 BM 활성수 플랜트 공정제어기를 견실한 저가의 시퀀서 제어방식 기반의 공정 제어기를 개발하여 시스템의 안정성과 효율성의 향상 및 운전관리 비용의 절감을 꾀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