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all climbing robot

Search Result 5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e Method of Vertical Obstacle Negotiation Inspired from a Centipede (지네를 모방한 수직 장애물 극복방법)

  • Yoon, Byung-Ho;Chung, Tae-Il;Koh, Doo-Yeol;Kim, Soo-Hyun
    •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 /
    • v.18 no.3
    • /
    • pp.193-200
    • /
    • 2012
  • Mobil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for search and rescue robots. To increase mobility for small size robot we have focused on the mechanism and algorithm inspired from centipede. In spite of small size, using many legs and flexible long body, centipede can overcome high obstacles and move in rough terrains stably. This research focused on those points and imitated their legs and body that are good for obstacle negotiation. Based on similarity of a centipede's legs and tracks, serially connected tracks are used for climbing obstacles higher than the robot's height. And a centipede perceives environments using antennae on its head instead of eyes. Inspired from that, 3 IR sensors are attached on the front, top and bottom of the first module to imitate the antenna. Using the information gotten from the sensors, the robot decides next behavior automatically. In experiments, the robot can climb up to 45 cm height vertical wall and it is 600 % of the robot's height and 58 % of the robot's length.

Mobile Performance Evaluation of Mecanum Wheeled Omni-directional Mobile Robot (메카넘휠 기반의 전방향 이동로봇 주행성능 평가)

  • Chu, Baeksuk;Sung, Young W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Technology Engineers
    • /
    • v.23 no.4
    • /
    • pp.374-379
    • /
    • 2014
  • Mobile robots with omni-directional wheels can generate instant omni-directional motion without requiring extra space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body. Therefore, they are capable of moving in an arbitrary direction under any orientation even in narrow aisles or tight areas. In this research, an omni-directional mobile robot based on Mecanum wheels was developed to achieve omni-directionality. A CompactRIO embedded real-time controller and C series motion and I/O modules were employed in the control system design. Ultrasonic sensors installed on the front and lateral sides were utilized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mobile robot and the side wall of a workspace. Through intensive experiments, a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mobile robot was conducted to confirm its feasibility for industrial purposes. Mobility, omni-directionality, climbing capacity, and tracking performance of a squared trajectory were selected as performance indices to assess the omni-directional mobile robot.

A Study on Wall-Crack Detection Using Machine Learning in Wall-Climbing Robot (벽면이동로봇에서의 머신러닝을 이용한 벽면 균열 검출에 관한 연구)

  • Park, Jae-Min;Kim, Hyun-Seop;Shin, Dong-Ho;Kim, Sa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423-426
    • /
    • 2019
  • 본 논문은 진공을 이용한 흡착방식과 바퀴형 이동방식을 사용하는 벽면이동로봇의 구성 및 벽면 균열 검출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로써, 카메라와 함께 임베디드 시스템을 구성하였으며 Convolutional Neural Network를 이용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균열을 감지하고 검출된 균열의 영상과 위치정보를 서버(관리자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환경을 구축하였다. 균열 검출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균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험하고 결과를 제시하였다.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Hull Blasting Robot for Surface Pre-Preparation for Painting Process (도장전처리 작업을 위한 블라스팅 로봇 시스템 개발 및 성능평가)

  • Lee, JunHo;Jin, Taeseo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6 no.5
    • /
    • pp.383-389
    • /
    • 2016
  •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hull blasting machine with vision-based weld bead recognition device for cleaning shipment exterior wa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mechanism design of the high efficiency hull blasting machine using the vision system to recognize the weld bead. Therefore, we have developed a robot mechanism and drive controller system of the hull blasting robot. And hull blasting characteristics such as the climbing mechanism, vision system, remote controller and CAN have been discussed and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The hull blasting robots are able to remove rust or paint at anchor, so the re-docking is unnecessary. Therefore, this can save time and cost of undergoing re-docking process and build more vessels instead. The robot uses sensors to navigate safely around the hull and has a filter system to collect the fouling removed. We have completed a pilot test of the robot and demonstrated the drive control and CAN communication performance.

Physical Analysis for Locomotion Improvement of Wall Climbing Robot (물리적 해석을 통한 벽면 이동 로봇의 이동능력 개선)

  • Park, Ju-Hwan;Sin, Jae-Ung;Kim, Tae-Hwan;Seon, Min-Ju;Jeong, Myeong-Su;Kim, Sa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908-911
    • /
    • 2014
  • 본 논문은 진공을 이용한 흡착방식과 바퀴형 이동방식을 이용하고 환경 탐지용 센서를 부착한 벽면 이동형 로봇의 물리적 해석을 통한 이동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로서, 대형 구조물의 안전 검사 및 위험한 시설물의 보수 작업 등을 보조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로봇의 무게에 따른 중력을 견딜 수 있는 강력한 진공흡착방식과 고성능 모터제어에 의한 바퀴 이동방식을 혼합하고 효율적으로 평형을 유지 또는 제어하기 위하여 로봇에 미치는 다양한 힘과 모멘트를 분석하고 수식화 하였으며 기존의 수직이동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로봇의 물리적 변수를 추출하여 변수와 이동력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A Study on Improved Vacuum Adsorption Method for Wall Climbing Robot (벽면이동 로봇의 진공흡착방식 개선에 관한 연구)

  • Shin, Dong-Ho;Park, Jae-Min;Kim, Hyeon-Sub;Kim,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321-323
    • /
    • 2019
  • 본 논문은 벽면 이동 로봇의 진공흡착을 위한 Mechanism의 개선에 관한 연구로서, 시뮬레이션을 통해 로봇의 무게에 따른 중력을 견딜 수 있도록 흡착의 효율을 높이고, Mechanism의 여러 조건들을 고려하여 실험을 통해 가장 적절히 부합하는 조건을 판단하며 벽의 수직방향으로의 미는 힘과 챔버 내의 저압영역등과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흡착 능력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판단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Wall Climbing Robot with Multiple Sensors (다중센서 기능을 갖는 벽면 이동 로봇)

  • Eun, Young-Min;Kim, Min-Seong;Oh, Se-Yeop;Shin, Seon-Woong;Kim,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373-376
    • /
    • 2012
  • 본 논문은 진공을 이용한 흡착방식과 바퀴형 이동방식을 이용하고 환경 탐지용 센서를 부착한 벽면 이동형 로봇의 구현에 관한 연구로서, 대형 구조물의 안전 검사 및 위험한 시설물의 보수 작업등을 보조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로봇의 무게에 따른 중력을 견딜 수 있도록 강력한 진공흡착방식을 고안하여 다양한 벽면재질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바퀴형 이동방식을 택하여 높은 이동성과 제어 능력을 고려하였다. 또한 환경 감지를 위한 센서와 카메라를 부착하여 시각정보 등 유용한 정보를 관리자와 통신을 통해 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 지능능력과 활용성을 갖추었다.

Embedded Image Processing for Wall Climbing Robot (벽오르는 로봇의 임베디드 영상처리 구현)

  • Kweon, Hyok-Sung;Lee, Jee-Soo;Kim,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519-522
    • /
    • 2012
  • 본 논문은 진공흡착방식을 이용한 벽오르는 로봇에 탑재하기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의 설계와 영상처리 알고리즘의 구현에 관한 연구이다. 벽로봇은 안정적인 부착과 이동성을 기반으로 벽면에서의 위험 요인 발견과 지능적인 처리를 위해 영상처리가 가능하고 원격의 스마트 단말기와 실시간 통신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였으며 이상 물질을 탐지하기 위해 색상성분을 정규화하고 특정객체를 탐지 후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을 구현하였다. 이러한 기능은 무인로봇을 이용해 위험한 벽 환경에서의 균열이나 이상 원인을 지능적으로 탐색하는 분야에 응용 가능하다.

Wall Climbing Robot with Multiple Sensors (다중센서 기능을 갖는 벽면 이동 로봇)

  • Eun, Young-Min;Kim, Min-Sung;Kwon, Hyeok-Sung;Song, Yong-Joo;Kim,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417-420
    • /
    • 2012
  • 본 논문은 진공을 이용한 흡착방식과 바퀴형 이동방식을 이용하고 환경 탐지용 센서를 부착한 벽면 이동형 로봇의 구현에 관한 연구로서, 대형 구조물의 안전 검사 및 위험한 시설물의 보수 작업등을 보조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로봇의 무게에 따른 중력을 견딜 수 있도록 강력한 진공흡착방식을 고안하여 다양한 벽면재질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바퀴형 이동방식을 택하여 높은 이동성과 제어 능력을 고려하였다. 또한 환경 감지를 위한 센서와 카메라를 부착하여 시각정보 등 유용한 정보를 관리자와 통신을 통해 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 지능능력과 활용성을 갖추었다.

Intelligent Wall Climbing Robot for Edge Movement (모서리이동을 위한 지능적 벽면 이동 로봇)

  • Lee, Jisoo;Kim,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421-1424
    • /
    • 2013
  • 본 논문은 진공을 이용한 흡착방식과 바퀴형 이동방식을 이용하고 환경 탐지용 센서를 부착한 벽면 이동형 로봇의 구현에 관한 연구로서, 대형 구조물의 안전 검사 및 위험한 시설물의 보수 작업등을 보조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로봇의 무게에 따른 중력을 견딜 수 있도록 강력한 진공흡착방식을 고안하여 다양한 벽면재질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바퀴형 이동방식을 택하여 높은 이동성과 제어 능력을 고려하였다. 벽면의 모서리를 이동하기 위해 이중 벽로봇 구조와 모서리 극복 이동 메카니즘을 제안하였으며 또한 환경 감지를 위한 카메라를 부착하여 시각정보 등 유용한 정보를 관리자와 통신을 통해 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 지능능력과 활용성을 갖추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