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ist pressure

검색결과 418건 처리시간 0.029초

Dietary zinc intake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systolic blood pressure in young obese women

  • Kim, Jihy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7권5호
    • /
    • pp.380-384
    • /
    • 2013
  • Zinc may participate in blood pressure regulation and in the pathogenesis of hypertension.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zinc status and blood pressure in obese Korean women. Forty obese women (body mass index (BMI) ${\geq}25kg/m^2$) aged 19-28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Zinc intake was estimated from one 24 hour recall and 2-day diet records. Serum and urinary zinc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by atomic absorbance spectrophotometry. Systolic blood pressure (SBP)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were measured using an automatic sphygmometer. Metabolic variables, such as waist circumference, triglyceride,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cholesterol, fasting glucose, and fasting insulin, were also measured. Dietary zinc intake of obese women was averagely 7.5 mg/day. Serum zinc and urinary zinc concentrations were $13.4{\mu}mol/L$ and $378.7{\mu}g/day$, respectively. Averages of SBP and DBP were 119 mmHg and 78 mmHg. Dietary zinc intak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BP after adjusting for energy intake (P < 0.05), but serum and urinary zinc concentrations were not found to be correlated with SBP or DBP.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dietary zinc intake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SBP in obese women after adjusting for body weight, energy intake and sodium intake (P = 0.0145). The results show that dietary zinc intake may be an independent risk factor of elevated SBP in obese Korean women.

안압상승의 위험인자로서 체질량지수(BMI)와 허리둘레의 비교 (Body Mass Index Compared with Waist Circumference Indicators as a Predictor of Elevated Intraocular Pressure)

  • 박상신;이은희;백도명;조성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93-297
    • /
    • 2010
  • 목적: 본 연구는 안압 상승의 예측인자로서의 비만 지표인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와 허리둘레 중 어떤 지표가 예측인자로서 더 적절한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에 참여한 20세 이상의 성인 458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BMI를 삼분위로 층화한 후 허리둘레(삼분위)에 따른 안압을 비교하였으며, 다음으로 허리둘레를 삼분위로 층화한 후 BMI(삼분위)에 따른 안압을 비교하였다. 또한, BMI, 허리둘레와 안압 간의 선형회귀분석을 각각 시행하였다. 결과: 허리둘레 층화 후 BMI에 따른 안압의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BMI $24.9kg/m^2$ 이상의 대상자들에게서는 허리둘레와 안압이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별과 연령을 보정한 경우에는 허리둘레만이 안압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여기에 생활변수까지 보정한 다중선형회귀분석결과 BMI와 허리둘레는 모두 안압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허리둘레 증가가 안압 상승에 대해서 보다 높은 설명력과 유의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 BMI와 허리둘레 모두 안압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허리둘레가 BMI보다 안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농촌지역 고혈압여성의 영양섭취 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utrients Intakes of Hypertensive Female Farmers)

  • 이성현;황보영숙;이한기;정금주;이연숙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7권2호
    • /
    • pp.149-157
    • /
    • 2002
  • 농촌지역 여성의 고혈압 예방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충주지역의 고혈압환자 및 정상인 지원자를 대상으로 2001년 5월 11일-15일(5일 동안)에 걸쳐 일반적인 건강 및 영양섭취상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혈압군에서 체중, 허리둘레, 허리와 엉덩이 둘레의 비, 허리와 허벅지 둘레 및 혈청 중성지방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지방을 제외한 영양소 섭취량은 고혈압군에서 많았으나 칼슘과 비타민 $B_2$ 섭취량은 권장량의 70% 수준이었다. 뇨중 나트륨 배설량 및 뇨중 나트륨 배설량으로 추정된 나트륨 섭취량은 고혈압 군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배추김치의 Na(mg/g) 함량과 Na/K이 고혈압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조사대상의 나트륨 섭취실태 조사에는 짠맛에 대한 기호도, 염장식품의 염도 및 뇨중 나트륨 배설량 등의 분석도 필요하며, 농촌 고혈압 여성의 혈압 및 건강관리를 위해서는 단순한 식염 섭취의 감소뿐 아니라 싱겁게 먹으려는 개인의 노력과 캄슘, 칼륨 및 비타민 $B_2$ 섭취수준의 적정화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교육과 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한국 성인에서 Vitamin D와 맥압의 관련성-2010 국민건강영양조사에 근거하여 (The association of Vitamin D and Pulse pressure in Korean Adult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0)

  • 윤현;김광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735-2742
    • /
    • 2013
  • 본 연구는 국가자료인 2010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20세 이상 성인에서 비타민 D와 맥압의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서 PP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변수는 연령(p<0.01), TG(p<0.01), TC(p<0.01), FBS (p<0.01), BMI(p<0.01), 허리둘레(p<0.01) 등이었고,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경우는 HDL-C(p<0.01), 신장(p<0.01), 체중(p<0.01), 25(OH)D(p<0.01) 등이었다. 연령, 신장, 체중, 허리둘레, BMI, TC, TG, HDL-C, FBS, 25(OH)D 등의 독립변수를 사용한 다중선형회귀분석결과에서, PP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는 연령(p<0.001)과 허리둘레(p<0.001), FBS (p<0.001), 25(OH)D(p<0.001), TC(p<0.001), 체중(p<0.001), HDL-C(p<0.001) 등이었다. 결론적으로, 비타민 D의 감소가 PP증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비타민 D를 적정수준으로 유지 하는 것은 관상동맥질환의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걷기운동 프로그램에 의한 복부 내장지방의 감량과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간의 관련성 (The Correlations of Walking Exercise Program-Induced Abdominal Visceral Fat Loss with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 김명수;김성희;이신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589-59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의 걷기운동 후 복부 지방 감량 정도의 차이와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개선 간의 관련성을 조사하는데 있었다. 걷기 운동 프로그램은 주당 3회 12주간 실시하였다. 12주간의 걷기운동 후 피험자들의 복부 내장지방 감량 정도의 차이에 따라 복부 내장지방 감량이 많은 상위 25% 집단(n=8)과 복부 내장지방 감량이 적은 하위 25%(n=8)으로 집단을 구분하였다. 12주간의 걷기 운동 프로그램 전후 복부내장지방 감량 정도에 따른 집단 간 대사증후군 위험인자(허리둘레,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공복시혈당, 혈압)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12주간의 걷기 운동 실시 후 총 복부 지방과 내장지방의 감량 정도는 허리둘레, 혈압(SBP, DBP)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피하지방의 감량 정도는 허리둘레와 혈압(SBP)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걷기운동과 행동수정 프로그램이 비만여중생의 체조성, 체력 및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lking and Behavior Modification Program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Related Factors in Obese Girls)

  • 김종원;전재영;김태운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2호
    • /
    • pp.1744-1753
    • /
    • 2007
  • 비만 여중생을 대상으로 하여 12주간 행동수정 프로그램을 포함한 걷기운동을 실시한 결과 비만 여중생의 체조성, 체력,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중선형회 귀분석 결과 체조성의 상완위팔근육둘레, 허리둘레, 신체발달지수, 체수분, 체지방량의 개선과 체력의 50m달리기 향상이 BMI, WHR, HDL-C, 공복혈당, 수축기혈압, HOMA지수를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유산소성 걷기운동과 행동수정 프로그램에 의한 식사량조절과 식습관 변화가 비만청소년에 있어서 대사증후군에 의한 심혈관질환과 당뇨병, 심리적 우울증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피험자 수가 적고, 실험기간이 짧아 실험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주의가 필요하며, 실험이후에 학생들의 지속적 운동 습관을 유지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대구.경북지역 20, 30대 남성 근로자의 연령 및 BMI에 따른 건강상태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Age and BMI of Male Workers in Daegu.Gyeongbuk Region)

  • 장현숙;최주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18-32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대구 경북지역 20, 30대 남성근로자 224명을 대상으로 BMI에 따른 신체적 특성, 건강상태를 조사하였다. BMI는 20대 $23.67\;kg/m^{2}$, 30대 $23.95\;kg/m^{2}$로 조사대상자 모두 대한비만학회에서 제시한 정상 범위인 $18.5{\sim}23\;kg/m^{2}$에서 벗어난 과체중으로 조사되었다. BMI에 따른 신체적 특성은 체중, 이상체중비율, BMI 모두에서 유의적인 차이(p<0.001)를 나타냈다. 그리고 신체둘레 측정 결과 허리 둘레, 엉덩이 둘레, 허리/엉덩이 둘레비는 비만군, 과체중군, 정상군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p<0.001)를, 허리/엉덩이 둘레는 30대가 20대보다 크게(p<0.01)나타났다. 체구성성분 측정 결과 체지방률{body fat(%)}과 체지방량{body fat(kg)}은 비만군, 과체중군, 정상군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p<0.001)를 보였다. BMI가 증가함에 따라 관리요망군과 질환의심군의 비율이 유의적으로(p<0.001) 증가하였고, 평균 혈압은 비만군이 정상군 및 과체중군보다 높은 유의적인 차이(p<0.001)가 있었으며, 공복시 혈당은 30대가 20대보다 높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다. 간질환의 유무를 알 수 있는 지표인 SGOT, SGPT 및 $\gamma-GTP$는 BMI별로 보면 비만군은 정상군 및 과체중군보다 높아 유의적인 차이(SGOT, SGPT; p<0.001, $\gamma-GTP$; p<0.01)를 보였으며 비만군의 SGOT는 43.58 U/L로 정상범위에서 벗어났다. $\gamma-GTP$를 연령별로 보면 30대가 34.74 U/L로 정상군에는 속하지만 20대의 28.06 U/L보다 높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다. 건강상태와 음주 및 흡연 유무에 따른 생화학적 상태를 살펴보면, 건강상태에 따른 수축기혈압은 관리요망군, 질환의심군, 정상군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p<0.01)를 보였으며, 확장기혈압, 총콜레스테롤, 공복 시 혈당, SGOT, SGPT 및 ${\gamma}-GTP$는 정상군 및 관리요망군과 질환의심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p<0.001)를 보였다. $\gamma-GTP$는 음주 근로자가 33.79 U/L, 비음주 근로자가 26.64 U/L로 집단 간의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고, 수축기 혈압과 헤모글로빈은 각각 흡연 근로자가 124.65 mmHg, 15.82 g/dL이고, 비흡연근로자는 120.43 mmHg, 15.38 g/dL로 나타나 집단 간의 유의적인 차이(p<0.01)를 보였다. 체중이 많이 나갈수록 BMI, 이상체중비율(%), 허리둘레 및 엉덩이둘레, 허리/엉덩이 둘레비, 체지방량, 체지방률(%)이 높으며, 이에 따라 수축기혈압과 확장기혈압, 총콜레스테롤, 공복 시 혈당, SGOT, SGPT, $\gamma-GTP$ 모두 높아진다(p<0.001, p<0.01, 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조사대상자인 20, 30대 남성 근로자 대부분이 과체중에 속하며, 체중이 증가할수록 BMI,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체지방률(%) 등이 증가하고 BMI가 높아질수록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 SGOT, SGPT, $\gamma-GTP$ 등의 생화학적 수치들이 높아져 건강상태가 좋지 않게 된다. 음주와 흡연 역시 혈압, $\gamma-GTP$ 등을 높여 건강상태 악화에 한 몫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0, 30대 남성근로자들의 연령 및 비만도의 증가에 따라 건강상태가 나빠지며 성인병 유병률의 가능성이 높아짐을 인식하고, 이러한 건강 위험요인들을 개선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정기적인 건강검진과 더불어 규칙적인 운동과 음주, 흡연, 업무 과중, 스트레스와 같은 생활습관 및 불규칙한 식습관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여대생의 체지방률분류 비만도에 따른 체성분, 혈압, 혈중지질 및 혈당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Blood Lipids, and Glucose according to Obesity Degree by Body Fat Percentage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 장은희;박영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4권4호
    • /
    • pp.231-238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blood lipids, and glucose according to obesity degree by body fat percentage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Methods: A total of 231 subjects were participated between July and December 2010. The anthropometric measures and blood analyzer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SPSS 18.0. Results: Percentage of body fat (PBF)-defined obesity had higher prevalence than body mass index (BMI)-defined obesity. Weight, BMI, PBF, fat mass, Waist to hip ratio (WHR), Systolic blood pressure (SBP),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in obesity group were higher than normal group and Soft lean mass and Low density lipoprotein (LDL) in obesity group were lower than norma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FB, SBP, DBP, Triglyceride (TC),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and LDL. Conclusion: In conclusion, when screening for obesity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body fat should be considered. It is needed to develop obesity management program according to obesity degree and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비만한 한국인에서 GNB3 유전자다형성과 비만 지표, 혈압, 혈당, 지질 대사의 관계 (Association of GNB3 Polymorphism with Obesity Index, Blood Pressure, Glucose and Lipid Level)

  • 권동현;박정현;이명종;송미영;김호준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57-165
    • /
    • 2011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association of GNB3 with obesity-index, blood pressure, glucose and lipid level. Methods: A total of 209 Korean obes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Body weight, body mass index(BMI), waist circumference, body fat, body fat mass, resting metabolic rate,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high density lipoprotein, triglyceride and fasting blood sugar test were measured by using standardized protocols. The GNB3 was genotyped by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with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esults: The frequency of CC, CT, TT genotype were, respectively, 18,2%, 56.9%, 24,9%, and the frequency of T allele was 53.3% in Korean obese population. There were no association of GNB3 with obesity index, blood pressure, glucose and lipid level in Korean obese population. Conclusions: Obese Korea population have a higher frequency of T alle than general Korean population. There are no association of GNB3 with obesity index, blood pressure, glucose and lipid level in Korean obese population.

플라잉 상태에서 바지형태의 하네스에 대한 하중압력 분포 측정 및 가상착의 적용 (Investigation of the body distribution of load pressure and virtual wear design of short pants harnesses in flying condition)

  • 권미연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1-21
    • /
    • 2021
  • Virtual reality is currently mainly used in games, but is starting to be applied as a variety of media fields, such as broadcasting and film. Virtual reality provides more fun than reality, and can provide new experiences in areas that cannot be experienced in reality due to the constraints of time, space, and environment. In particular, as the social non-contact arena has increased due to COVID-19, it is being applied to education, health, and medical industries. The contents are further expanding into design and military field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change in distribution of load and pressure felt by the body in the flying state while wearing a short pants harness, which are mainly used in the game and entertainment industry. In the experiment, the average pressure in the flying state was measured by attaching a pressure sensor to the back and front of a human mannequi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load concentrated on the waist in the flying state was 44 N, with a pressure of 1353 kPa. The pressure distribution was concentrated in front of the center of gravity, and was measured was at 98% by the pressure sensors, with an average pressure value of approximately 15 kPa, and a pressure value of approximately 12 kPa at the back, which was measured at 67% by the pressure sensor. The results of the load and pressure distribution measurement are presented as fundamental data to improve the wearability and comfort of harnesses in the future, and are compared to actual measured pressure values by analyzing the clothing pressure in flight through virtual wear of harnesses through the CLO 3D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