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O grade II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32초

Prognostic Factors and Treatment Outcomes in 93 Patients with Uterine Sarcoma from 4 Centers in Turkey

  • Durnali, Ayse;Tokluoglu, Saadet;Ozdemir, Nuriye;Inanc, Mevlude;Alkis, Necati;Zengin, Nurullah;Sonmez, Ozlem Uysal;Kucukoner, Mehmet;Anatolian Society of Medical Oncology (ASMO), Anatolian Society of Medical Oncology (ASM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5호
    • /
    • pp.1935-1941
    • /
    • 2012
  • Introduction: Uterine sarcomas are a group of heterogenous and rare malignancies of the female genital tract and there is a lack of consensus on prognostic factors and optimal treatment. Objective and Methodology: To perform a retrospective evaluation of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prognostic factors and treatment outcomes of 93 patients with uterine sarcomas who were diagnosed and treated at 4 different centers from November 2000 to October 2010. Results: Of the 93 patients, 58.0% had leiomyosarcomas, 26.9% malignant mixed Mullerian tumors, 9.7% endometrial stromal sarcomas, and 5.4% other histological types. According to the last International Federation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FIGO) staging, 43.0% were stage I, 20.4% were stage II, 22.6% were stage III and 14.0 % were stage IV. Median relapse free survival (RFS) was 20 months (95% confidence interval (CI), 12.4-27.6 months), RFS after 1, 2, 5 years were 66.6%, 44.1%, 16.5% respectively. Median overall survival (OS) was 56 months (95% CI, 22.5-89.5 months), and OS after 1, 2, 5 years was 84.7%, 78%, 49.4% respectively.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age ${\geq}60$ years and high grade tumor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oor OS and RFS; patients administered adjuvant treatment with sequential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had longer RFS time. Among patients with leiomyosarcoma, in addition to age and grade, adjuvant treatment with sequential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after surgery had significant effects on OS. Conclusion: Uterine sarcomas have poor progrosis even at early stages.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OS were found to be age and grade.

뇌졸중(腦卒中)에 관(關)한 임상통계적(臨床統計的) 연구(硏究) (Clinical Observation on C.V.A.)

  • 윤진구;조기호;김영석;이경섭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5-38
    • /
    • 1989
  • Clinical observation was done on 1092 cases of cerebrovascular disease which were confirmed by Brain CT scan in Oriental Medical Hospital in Kyung Hee Univ. from May 1987 to May 1988. Specially, clinical prognosis of 250 patients who had been hospitalized for over 4 weeks, were obserbed.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In this study, Occlusive CVD was 77.9%, Cerebral hemorrhage was 18.8%, Subarachnoid hemonhage was 0.8%. 2.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1.4:1. In the age distribution, 60th decade, 50th decade, 40th decade, 30th's, 20th's were in order of frequency and specially 60th decade was 35.53% over 70th decade was 17.1% in ratio. 3. The most common preceding disease of CVD was hypertension (54.21%) and diabetes mellitus (19.96%) was second. 4. Almost, the duration of hospitalization was 2-4 weeks in 34.8%, within 4 weeks in 78.02%. 5. Primary attack was 75.7%, 2nd attack was 17.9%, over 3rd attack was 3.1% in ratio of recurrence. 6. The level of consciousness was Grade I in 96.4%, Grade II in 3.2%, Grade III in 1% at attack. 7. A few complications of C.V.A. were observed in the studies: pneumonia was noted frequently in 3.2%, bed sore, urinary tract infection, gastro intestinal bleeding in order of frequency. 8. The ratio of neurologic deficiency in occlusive CVD decreased from 51.9% to 29.3% in upper limb, 52.6% to 24.4% in lower limb, and that in cerebral hemorrhage decreased from 69.5% to 25% in upper limb, 50% to 20% in lower limb. 9. The ratio of left side hemiplegia to right was 1.04:1 in male, 1:1.18 in female. 10. The herb medications for C.V.A. were various Chungg-Paesagantang, Sunghanggeonggisan were used most frequently to Chungyeold, Geopung, Soongi, Haldam and Chungsimtang, the drugs for Bogiheol were used as discharge. In these oriental medical therapy of C.V.A. objective diagnosis and more various therapeutic method must be obtained through east-west medical co-operation.

  • PDF

흉선암의 예후인자 (Prognostic Factors of Thymic Carcinoma)

  • 박인규;김대준;김길동;배미경;정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8호
    • /
    • pp.564-569
    • /
    • 2005
  • 배경: 흉선암은 악성 종양으로 드문 질환이기 때문에 치료와 예후에 대한 자료가 충분치 않은 상태이다. 저자들은 흉선암 환자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1월 1일부터 2003년 8월 31일까지 흉선암으로 치료받은 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특성, Masaoka병기, 조직학적 등급, 완전절제여부 및 보조요법 등과 생존율의 관계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걸과: 평균연령은 $52.0\pm15.7$세였고, 남자가 30명, 여자가 12명이었다. 조직학적 저등급(low-grade histology)군이 28명$(66.7\%)$, 고등급(high-grade histology)군이 13명 $(31\%)$이 었고, 세침흡인검사를 시행한 1예에서는 세포유형을 판별할 수 없었다. Masaoka 병기는 I기 2명, II기 2명, III기 15명$(35.7\%)$, IVa기 10명$(23.8\%)$, IVb기 13명$(31.0\%)$이었다. 수술은 22명에서 시행되었으며, 이 중 13명$(59\%)$에서 완전절 제가 가능하였다 수술 받지 않은 환자 20명 중 8명은 항암화학 요법, 7명은 방사선 치료, 5명은 두가지 치료를 병행하였다. 중앙생존기간은 $31.7\pm6.1$개월이었고, 5년 생존율은 $28.6\%$이었다. 다변량 분석 결과 조직학적 고등급군(위험도=3.009, $95\%$ 신뢰군간=$1:178\sim7.685$, p=0.021)과 불완전절제(위험도=$3.605,\;95\%$ 신뢰군간=$1.154\sim11.580$, p=0.023)가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나타났다. 걸론: 흉선암 환자에서 조직학적 저등급군이 예후가 좋았으며, 완전 절제로 생존율을 높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서 반월상 연골 절제술의 영향 (The Effect of Meniscectomy on Clinical Result After ACL Reconstruction)

  • 조형준;이정환;배대경;송상준;윤경호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12
    • /
    • 2010
  • 목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시행하는 반월상 연골판 전절제술 또는 아전절제술이 그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2월에서 2007년 2월까지 시행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를 시행한 455례 중 1년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였던 93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단독 시행한 군은 45례, 반월상 연골판 전절제술 또는 아전절제술을 동시에 시행한 군은 48례였고, grade 3이상의 연골 손상, 반월상 연골판 봉합술과 부분 절제술을 동반한 경우는 제외하였다.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단독으로 시행한 군(I군)은 45명, 외측 반월상 연골 절제를 동시에 시행한 군(II군)은 10명, 내측 반월상 연골 절제를 동시에 시행한 군(III군)은 28명, 내측과 외측 반월상 연골을 동시에 절제한 경우(IV군)는 10명이었다. 임상적 평가로 IKDC 주관적 점수, Lysholm 점수를 비교하였고, 슬관절 관절운동 범위, 전방전위검사,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 KT-1000 관절계를 이용하여 슬관절의 기능을 평가하고 비교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IV군은 I군보다 IKDC 주관적 점수와 Lysholm 점수가 낮았으며, II군보다 IKDC 주관적 점수가 낮았다. KT-1000 관절계는 I군이 IV군보다 더 향상되었으며, 전방전위검사와 Lachman 검사는 I군이 III군보다 더 향상되었다. Pivot shift 검사에서는 모든 군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내측 또는 내외측 반월상 연골판 절제술은 전방전위검사, Lachman 검사 KT-1000 관절계에서 불안정성과 관계가 있었으며, 내측과 외측 반월상 연골판 절제술은 반월상 연골판이 정상인 경우보다 더 낮은 임상적 점수와 관계가 있었다.

  • PDF

중·고등학생의 과학과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관심수준 및 실행수준 분석 (Analysis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tages of Concern and Levels of Use on Self-directed Learning in Science Learning)

  • 최혜정;정진수;김상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1호
    • /
    • pp.28-4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과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학생의 관심수준 및 실행수준을 관심에 기초한 교육과정 실행 모형(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이들 간의 상관성을 조사하여 학생 개인의 관심수준에 맞는 자료를 제공하고 보다 높은 실행수준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지원책을 제시하고자하는 데 있다.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여 학생의 과학과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관심수준과 실행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집단(지역, 학년, 성별)별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과학과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학생의 관심수준은 단계0 무관심이 가장 많았고, 실행수준은 수준 II 준비 단계가 가장 많았다. 집단 간의 비교에서는 관심수준은 성별에서 통계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관심수준을 보였고, 실행수준은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높은 실행수준을 보이고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은 실행수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관심수준과 실행수준의 상관성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PDF

Prospective phase II trial of regional hyperthermia and whole liver irradiation for numerous chemorefractory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 Yu, Jeong Il;Park, Hee Chul;Choi, Doo Ho;Noh, Jae Myoung;Oh, Dongryul;Park, Jun Su;Chang, Ji Hyun;Kim, Seung Tae;Lee, Jeeyun;Park, Se Hoon;Park, Joon Oh;Park, Young Suk;Lim, Ho Yeong;Kang, Won Ki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4권1호
    • /
    • pp.34-44
    • /
    • 2016
  • Purpose: A prospective phase II trial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toxicity of regional hyperthermia and whole liver irradiation (WLI) for numerous chemorefractory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Enrolled patients had numerous chemorefractory hepatic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Five sessions of hyperthermia and seven fractions of 3-gray WLI were planne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was determin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C-30 and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Hepatobiliary version 4.0. Objective and pain response was evaluated. Results: A total of 12 patients consented to the study and the 10 who received WLI and hyperthermia were analyzed. WLI was completed as planned in nine patients and hyperthermia in eight. Pain response was partial in four patients and stable in four. Partial objective response was achieved in three patients (30.0%) and stable disease was seen in four patients at the 1-month follow-up. One patient died 1 month after treatment because of respiratory failure related to pleural metastasis progression. Other grade III or higher toxicities were detected in three patients; however, all severe toxicities were related to disease progression rather than treatmen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RQoL was noted at the time of assessment for patients who were available for questionnaires. Conclusion: Combined WLI and hyperthermia were well tolerated without severe treatment-related toxicity with a promising response from numerous chemorefractory hepatic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소아 부식성 식도염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Observation on Children with Corrosive Esophagitis)

  • 최동현;조문기;주효근;김병주;마재숙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3권1호
    • /
    • pp.1-8
    • /
    • 2000
  • 목 적: 부식성 식도염은 화학적 화상으로 인하여 식도 협착 등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는 질환으로 예방과 함께 적절한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그러나 부식성 식도염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그리 많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부식성 물질을 섭취하고 내원한 환아에서 임상 양상, 상부위장관 내시경 소견 및 식도 협착과 같은 합병증 발생 여부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 병원 응급실과 소아과 외래에 부식성 물질의 섭취하고 내원한 31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병력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나이, 성별, 원인물질, 초기 임상증상 및 증후, 식도 협착의 발생빈도와 부위, 치료 및 경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초기 내시경 검사를 시행했던 21명의 환아에서 손상부위와 정도를 알아보고 후기 합병증 발생과의 관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1) 평균 연령은 2세 3개월(12개월~9세 2개월)이었으며 남녀비는 2:1로 남아가 많았다. 환아의 대부분(27명)은 빙초산을 섭취한 후 내원하였다. 2) 내원시 임상 증상은 연하곤란이 17명(54.8%), 구토가 15명(48.3%), 피부 및 입술의 화상이 각각 14명(45.2%), 분비물 과다가 14명(45.2%), 경한 호흡기 증상이 10명(32.3%)이었고 흡인성 폐렴은 3명(9.8%)에서 관찰되었다. 3) 급성기에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던 21명의 환아 중 1도 손상은 8명, 2도 손상은 7명, 3도 손상은 2명에서 관찰되었다. 식도 손상의 부위는 식도 전장에 걸친 손상이 9례, 근위부 손상이 5례, 원위부 손상이 3례이었다. 21명의 환아 중 6례에서 위 점막 손상이 관찰되었다. 4) 식도 협착은 6명(19.4%)에서, 평균 5주에 발생하였으며 모두 빙초산 섭취 후 발생하였고, 황산차 밧데리 용액을 섭취한 환아 1례(3.2%)에서 위유문부 협착이 발생하였다. 1례에서 빙초산 섭취후 흡인성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5) 점막 손상의 정도와 식도 협착과의 관계를 보면 손상이 없거나 경미한 1도 손상에서는 모두 식도 협착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2도 손상을 보인 7명중 3명(42.9%)에서 3도의 식도 손상을 보인 2명 모두에서 식도 협착이 발생하였다. 결 론: 부식성 물질을 섭취하고 내원한 환아에서 조기에 시행한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는 식도 협착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로 생각되었으며,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높은 합병증의 발생을 보여 무엇보다도 우발 사고의 예방을 위해 가정에서 부식성 물질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리라 사료되었다.

  • PDF

자궁내막암의 수술 후 보조적 방사선치료 (Postoperative Adiuvant Radiation Therapy in Endometrial Carcinoma)

  • 신경환;최은경;안승도;장혜숙;목정은;남주현;김영탁;김용만;김종헉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1호
    • /
    • pp.40-45
    • /
    • 2000
  • 목적 : 수술 및 수술 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자궁내막암 환자의 예후인자, 재발 장소 및 생존율 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9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서을중앙병원에서 수술 및 방사선치료를 받은 27예의 자궁내막암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은 단순자궁적출술이 6예, 단순자궁적출술 및 림프절 절제술이 8예, 근치적 자궁적출 술이 13예에서 시행되었다. 모든 환자에서 외부 방사선치료가 시행되었으며 이 중 16예에서 ovoid를 이용한 질내조사가 추가되었다. 조사선량은 외부 방사선치료는 총 50.4 Gy를 조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고, 질내조사는 1회 분할선량 4$\~$5 Gy씩 4내지 5회 시행하였다. 추적기간은 6개월에서 95개월로서 중앙추적기간은 30개월이었다. 결과:FIGO 병기는 I-18예(67$\%$), II-1(4$\%$), III-8예(29$\%$)이었고, 조직분화도는 1$\~$14예(52$\%$), 2$\~$6예(9$\%$), 3$\~$7예(26$\%$)이었다. 수술 후 조직 소견상 조직분화도가 나쁠수록, 자궁근층의 침범 정도가 심할수록, 자궁부속기의 침범이있는 경우, 림프-혈관 침범이 있는 경우 골반내 림프절이 양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추적이 종료된 시점에서 사망한 환자가 한 예도 없어 전체 생존율은 100$\%$이었으나 3예에서 병이 재발되어 3년 및 5년 무병생존율이 각각 89.6$\%$,, 76.8$\%$이었다. 재발 장소는 골반내, 대동맥방림프절, 폐를 포함한 다발성 등이 각각 I예 이었고 질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다. FIGO 병기(p=0.01), 림프-혈관 침범(p=0.03), 골반내 림프절 침범(p=0.0001)등이 무병생존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분화도가 나쁠수록 무병생존율이 저조한 경향을 보였다(p=0.1). 치료부작용으로는 1예에서만 Grade 1의 직장출혈이 나타났으나 중등도 이상의 합병증을 보인 경우는 없었다. 결론 : 수술후 조직학적 소견에 따른 외부방사선치료 및 추가 질내조사는 국소재발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결과적으로 생존율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병기 및 조직분화도에 따라 질내조사를 추가하지 않는 경우 질 재발이 호발하는 환자군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Modification of the TNM Staging System for Stage II/III Gastric Cancer Based on a Prognostic Single Patient Classifier Algorithm

  • Choi, Yoon Young;Jang, Eunji;Seo, Won Jun;Son, Taeil;Kim, Hyoung-Il;Kim, Hyeseon;Hyung, Woo Jin;Huh, Yong-Min;Noh, Sung Hoon;Cheong, Jae-Ho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8권2호
    • /
    • pp.142-151
    • /
    • 2018
  • Purpose: The modification of the cancer classification system aimed to improve the classical anatomy-based tumor, node, metastasis (TNM) staging by considering tumor biology, which is associated with patient prognosis, because such information provides additional precision and flexibility. Materials and Methods: We previously developed an mRNA expression-based single patient classifier (SPC) algorithm that could predict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stage II/III gastric cancer. We also validated its utilization in clinical settings. The prognostic single patient classifier (pSPC) differentiates based on 3 prognostic groups (low-, intermediate-, and high-risk), and these groups were considered as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along with TNM stages. We evaluated whether the modified TNM staging system based on the pSPC has a better prognostic performance than the TNM 8th edition staging system. The data of 652 patients who underwent gastrectomy with curative intent for gastric cancer between 2000 and 2004 were evaluated. Furthermore, 2 other cohorts (n=307 and 625) from a previous study were assessed. Thus, 1,584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o modify the TNM staging system, one-grade down-staging was applied to low-risk patients according to the pSPC in the TNM 8th edition staging system; for intermediate- and high-risk groups, the modified TNM and TNM 8th edition staging systems were identical. Results: Among the 1,584 patients, 187 (11.8%), 664 (41.9%), and 733 (46.3%) were classified into the low-, intermediate-, and high-risk group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pSPC. pSPC prognoses and survival curves of the overall population were well stratified, and the TNM stage-adjusted hazard ratios of the intermediate- and high-risk groups were 1.96 (95% confidence interval [CI], 1.41-2.72; P<0.001) and 2.54 (95% CI, 1.84-3.50; P<0.001), respectively. Using Harrell's C-index, the prognostic performance of the modified TNM system was evaluat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its prognostic performance was better than that of the TNM 8th edition staging system in terms of overall survival (0.635 vs. 0.620, P<0.001). Conclusions: The pSPC-modified TNM staging is an alternative staging system for stage II/III gastric cancer.

A Comparison of Outcomes of Three Reconstruction Methods after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 Kim, Chang Hyun;Song, Kyo Young;Park, Cho Hyun;Seo, Young Joo;Park, Seung-Man;Kim, Jin-Jo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5권1호
    • /
    • pp.46-52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hort-term surgical and long-term functional outcomes of Billroth I, Billroth II, and Roux-en-Y reconstruction after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collected data from 697 patients who underwent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for operable gastric cancer between January 2009 and December 2012.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reconstruction methods: Billroth I, Billroth II, and Roux-en-Y. The parameters evaluated included patient and tumor characteristics, operative details,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lavien-Dindo classification. Endoscopic findings of the remnant stomach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residue, gastritis, bile (RGB) classification and the Los Angeles classification 1 year postoperatively. Results: Billroth I, Billroth II, and Roux-en-Y were performed in 165 (23.7%), 371 (53.2%), and 161 patients (23.1%), respectively. Operation time was significantly shorter ($173.4{\pm}44.7$ minute, P<0.001) as was time to first flatus ($2.8{\pm}0.8$ days, P=0.009), time to first soft diet was significantly faster ($4.3{\pm}1.0$ days, P<0.001), and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as significantly shorter ($7.7{\pm}4.0$ days, P=0.004) in Billroth I in comparison to the other method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higher than Clavien-Dindo grade III occurred in 61 patients (8.8%)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P=0.797). Endoscopic findings confirmed that gastric residue, gastritis, bile reflux, and reflux esophagiti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Roux-en-Y (P<0.001) patients. Conclusions: Roux-en-Y reconstruction after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for middle-third gastric cancer is beneficial in terms of long-term functional outcome, whereas Billroth I reconstruction for distal-third gastric cancer has a superior short-term surgical outcome and postoperative weight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