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linical Observation on Children with Corrosive Esophagitis

소아 부식성 식도염의 임상적 고찰

  • Choi, Dong-Hyeon (Department of Pediatrics, St. Columban's Hospital) ;
  • Cho, Moon-Gi (Department of Pediatrics, St. Columban's Hospital) ;
  • Ju, Hyo-Geun (Department of Pediatrics, Dong Kwangju Hospital) ;
  • Kim, Byung-Ju (Department of Pediatric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Ma, Jae-Sook (Department of Pediatric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최동현 (성골롬반병원 소아과) ;
  • 조문기 (성골롬반병원 소아과) ;
  • 주효근 (동광주병원 소아과) ;
  • 김병주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마재숙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1999.12.23
  • Accepted : 2000.02.18
  • Published : 2000.03.30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clinical features and complication such as esophageal stricture in children with corrosive esophagiti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31 children who accidentally ingested corrosive materials and visited to emergency room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 1992 to Dec. 1999. Twenty-one children were examined by upper gastrointestinal (UGI) endoscopy to evaluate location and severity of caustic injury. Results: 1) Among 31 patients, there were 20 males and 11 females and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2:1. Average age at diagnosis was 2.3 years (12 months to 9.8 years). Twenty-seven (87.1%) patients were accidentally ingested vinegar. 2) Initial presenting symptoms were dysphagia (54.8%), vomiting (48.3%), chemical burn on lips and skin (45.2%), excessive salivation (45.2%), coughing and respiratory grunting (32.3%) and aspiration pneumonia (9.8%). 3) UGI endoscopic examination showed caustic injury in 17 children: grade I in 8, grade II in 7 and grade III in 2. The region of caustic injury was proximal esophagus in 5, distal esophagus in 3, entire esophagus in 9 and stomach in 6. 4) Corrosive esophageal strictures developed in 6 children (19.4%) and gastric outlet stricture in 1 (3.2%). All of them showed grade II or III caustic injury on endoscopic examination.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esophageal stricture was related to the severity of the caustic injury. Early UGI endoscopic examination in caustic ingestion seems to be useful for prediction of development of caustic stricture.

목 적: 부식성 식도염은 화학적 화상으로 인하여 식도 협착 등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는 질환으로 예방과 함께 적절한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그러나 부식성 식도염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그리 많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부식성 물질을 섭취하고 내원한 환아에서 임상 양상, 상부위장관 내시경 소견 및 식도 협착과 같은 합병증 발생 여부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 병원 응급실과 소아과 외래에 부식성 물질의 섭취하고 내원한 31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병력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나이, 성별, 원인물질, 초기 임상증상 및 증후, 식도 협착의 발생빈도와 부위, 치료 및 경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초기 내시경 검사를 시행했던 21명의 환아에서 손상부위와 정도를 알아보고 후기 합병증 발생과의 관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1) 평균 연령은 2세 3개월(12개월~9세 2개월)이었으며 남녀비는 2:1로 남아가 많았다. 환아의 대부분(27명)은 빙초산을 섭취한 후 내원하였다. 2) 내원시 임상 증상은 연하곤란이 17명(54.8%), 구토가 15명(48.3%), 피부 및 입술의 화상이 각각 14명(45.2%), 분비물 과다가 14명(45.2%), 경한 호흡기 증상이 10명(32.3%)이었고 흡인성 폐렴은 3명(9.8%)에서 관찰되었다. 3) 급성기에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던 21명의 환아 중 1도 손상은 8명, 2도 손상은 7명, 3도 손상은 2명에서 관찰되었다. 식도 손상의 부위는 식도 전장에 걸친 손상이 9례, 근위부 손상이 5례, 원위부 손상이 3례이었다. 21명의 환아 중 6례에서 위 점막 손상이 관찰되었다. 4) 식도 협착은 6명(19.4%)에서, 평균 5주에 발생하였으며 모두 빙초산 섭취 후 발생하였고, 황산차 밧데리 용액을 섭취한 환아 1례(3.2%)에서 위유문부 협착이 발생하였다. 1례에서 빙초산 섭취후 흡인성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5) 점막 손상의 정도와 식도 협착과의 관계를 보면 손상이 없거나 경미한 1도 손상에서는 모두 식도 협착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2도 손상을 보인 7명중 3명(42.9%)에서 3도의 식도 손상을 보인 2명 모두에서 식도 협착이 발생하였다. 결 론: 부식성 물질을 섭취하고 내원한 환아에서 조기에 시행한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는 식도 협착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로 생각되었으며,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높은 합병증의 발생을 보여 무엇보다도 우발 사고의 예방을 위해 가정에서 부식성 물질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리라 사료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