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operative Adiuvant Radiation Therapy in Endometrial Carcinoma

자궁내막암의 수술 후 보조적 방사선치료

  • Shin Kyung Hwan (Departments of Radiation Oncolog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Choi Eun Kyung (Departments of Radiation Oncolog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Ahn Seung Do (Departments of Radiation Oncolog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Chang Hyesook (Departments of Radiation Oncolog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Mok Jung-Eun (Department of Obstetrics & Gynecolog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Nam Joo Hyun (Department of Obstetrics & Gynecolog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Kim Young Tak (Department of Obstetrics & Gynecolog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Kim Yong Man (Department of Obstetrics & Gynecolog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Kim Jong Hyeok (Department of Obstetrics & Gynecolog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신경환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 최은경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 안승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 장혜숙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 목정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 ;
  • 남주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 ;
  • 김영탁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 ;
  • 김용만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 ;
  • 김종헉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
  • Published : 2000.03.01

Abstract

Purpose : To evaluate the histopathological prognostic factors, relapse pattern and survival in patients with endometrial carcinoma who were treated with surgery and postoperative adjuvant radiotherapy (RT). Methods and Materials : From September 1991 to December 1997, 27 patients with endometrial carcinoma treated with surgery and postoperative adjuvant RT at Asan Medical Center were entered in this study. Surgery was peformed with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in six,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with pelvic lymph node dissection in eight and radical hysterectomy in 13 patients. External RT of 50.4 Gy was done to all patients and among these, additional high dose rate vaginal vault irradiation of 20$\~$25 Gy with fractional dose of 4$\~$5 Gy was boosted In 16 patients. The patients were followed for 6$\~$95 months(median 30). Results : The number of patients according to FIGO stage were I 18 (67$\%$), II 1 ($4\%$) and III 7 ($26\%$). Patients with poor histologic grade, deep myometrial invasion, adnexal involvement, lymphovascular invasion showed more pelvic lymph node involvement, but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indicated. The 5 year overall and disease free survival were 100$\%$ and 76.8$\%$, respectively. Relapse sites were pelvic, para-aortic lymph node, and multiple metastases including lung, and no vaginal relapse was developed. Factors that were associated with disease free survival were FIGO stage (p=0.01), lymphovascular invasion (p=0.03), pelvic lymph node involvement (p=0.0001). There was only one Grade 1 rectal bleeding without moderate to severe complications. Conclusion : Postoperative adjuvant RT is considered to reduce the loco-regional failure, resulting the improvement of survival. The group of patients with the risk of vaginal failure without vaginal vault irradiation should be investigated according to stage and grade.

목적 : 수술 및 수술 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자궁내막암 환자의 예후인자, 재발 장소 및 생존율 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9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서을중앙병원에서 수술 및 방사선치료를 받은 27예의 자궁내막암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은 단순자궁적출술이 6예, 단순자궁적출술 및 림프절 절제술이 8예, 근치적 자궁적출 술이 13예에서 시행되었다. 모든 환자에서 외부 방사선치료가 시행되었으며 이 중 16예에서 ovoid를 이용한 질내조사가 추가되었다. 조사선량은 외부 방사선치료는 총 50.4 Gy를 조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고, 질내조사는 1회 분할선량 4$\~$5 Gy씩 4내지 5회 시행하였다. 추적기간은 6개월에서 95개월로서 중앙추적기간은 30개월이었다. 결과:FIGO 병기는 I-18예(67$\%$), II-1(4$\%$), III-8예(29$\%$)이었고, 조직분화도는 1$\~$14예(52$\%$), 2$\~$6예(9$\%$), 3$\~$7예(26$\%$)이었다. 수술 후 조직 소견상 조직분화도가 나쁠수록, 자궁근층의 침범 정도가 심할수록, 자궁부속기의 침범이있는 경우, 림프-혈관 침범이 있는 경우 골반내 림프절이 양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추적이 종료된 시점에서 사망한 환자가 한 예도 없어 전체 생존율은 100$\%$이었으나 3예에서 병이 재발되어 3년 및 5년 무병생존율이 각각 89.6$\%$,, 76.8$\%$이었다. 재발 장소는 골반내, 대동맥방림프절, 폐를 포함한 다발성 등이 각각 I예 이었고 질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다. FIGO 병기(p=0.01), 림프-혈관 침범(p=0.03), 골반내 림프절 침범(p=0.0001)등이 무병생존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분화도가 나쁠수록 무병생존율이 저조한 경향을 보였다(p=0.1). 치료부작용으로는 1예에서만 Grade 1의 직장출혈이 나타났으나 중등도 이상의 합병증을 보인 경우는 없었다. 결론 : 수술후 조직학적 소견에 따른 외부방사선치료 및 추가 질내조사는 국소재발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결과적으로 생존율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병기 및 조직분화도에 따라 질내조사를 추가하지 않는 경우 질 재발이 호발하는 환자군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