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LAND

검색결과 1,358건 처리시간 0.034초

습지보호지역 버드나무림의 식물군락 특성 (Characteristics of Plant Community of Willow Forest in the Wetland Protection Areas of Inland Wetlands)

  • 조광진;임정철;이창수;추연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1-212
    • /
    • 2021
  • 내륙습지에서 생태적, 환경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생태복원의 주요 재료가 되는 버드나무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습지보호지역에 발달하는 버드나무림을 대상으로 Z.-M.(Zürich-Montpellier)학파의 방법에 따라 총 61개의 식생자료가 수집되었고 식물군락과 종조성적 특성이 밝혀졌다. 총 237분류군을 포함한 9개의 식물군락이 구분되었다. 높은 상대기여도(r-NCD) 값을 나타내는 버드나무류는 키버들, 왕버들, 선버들, 갯버들, 버드나무로 확인되었다. 종조성 분석결과, 벼과, 국화과, 미나리과, 마디풀과, 콩과 순으로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형은 일년생식물(휴면형), 단립식물(지하기관형), 중력산포형(산포방법), 직립형(생육형)을 가지는 식물종의 출현율이 높아 Th-R5-D4-e로 특징지어졌다. 귀화식물은 12과 24종, 생태계교란 생물은 3과 4종이 관찰되었으며, 귀화율은 10.1%, 교란지수는 41.4%로 분석되었다. NMDS 서열법(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에 의한 식물종과 조사지점 간의 경향성 분석 결과, 조사지점의 해발고도와 습지의 유형이 식물군락의 공간적 분포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인 것으로 밝혀졌다. 비교적 해발고도가 높은 산지형 습지에서 다양성 지수와 균등도 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해발고도가 낮은 하천형과 호수형 습지에서는 교란지수, 귀화율, 일년생식물 출현비율이 높았다.

축조된 습지(wetland)를 이용한 폐수처리의 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Criteria of Wastewater Treatment by Contructed Wetland)

  • 윤춘경;정재춘
    • 유기물자원화
    • /
    • 제4권1호
    • /
    • pp.61-72
    • /
    • 1996
  • 최근 축조된 습지를 이용한 폐수처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습지이용시스템이 자연정화법을 이용한 처리법으로써 에너지의 소모량이 적고 유지관리가 비교적 간단하며 기술적 난점이 적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래서 이러한 시스템은 우리나라 농촌지역에서 특히 응용될 수 있는 처리법이라고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처리법을 우리나라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미국 등 구미선진국에서 개발된 축소형 습지에 대한 설계기준에 대해서 논하였다. 본 논문에서 중점적으로 논한 것은 식생의 종류, 자연적 천이와 관리, 식재기법, 파종기법 및 건설 후의 관리이다.

  • PDF

Pilot 규모 연속배열형 인공습지의 영양염류 제거효능 규명 및 평가모델 연구 (A Pilot-Scale Study of Multiple Stage of Constructed Wetland Treatment System and Modeling for Nutrient Removal)

  • 최승일;;이재성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781-788
    • /
    • 2010
  • A pilot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multiple stage of constructed wetland (CW) for nutrient removal. The system is composed of six wetland cells connected with water-ways. The hydraulic of wetland cells is designed as free water surface flow. The treatment capacity was $25m^3d^{-1}$ at HRT of about one day for each cell. The magnitude of nutrient removal was related with the length of wetlands and plant density. Total N and P removal rates were 1353 and $246mg\;m^{-2}d^{-1}$ respectively. The pilot-scale reactor was model as continuous flow system containing contribution of CSTR and PFR typed-reactors. The $k-C^*$ model equation was applied to predict N and P reduction. The result indicated the equation was well guided to estimate reduction of $NO_3-N$ and $PO_4-P$.

생태적 인공습지를 이용한 회야댐 수질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Hoeya Dam Reservoir Using Ecological Constructed Wetland)

  • 이상현;조윤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89-497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습지를 이용하여 회야댐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제어함으로써 수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인공습지에 부들과 갈대를 식생하여 부영양화 유발물질인 질소(N)와 인(P)의 제거효율을 조사하였다. 또한, 인공습지 운영에 있어 계절적 및 수리하적 영향을 조사하였다. 인공습지에 의한 총 N와 P의 제거율은 평균적으로 20.7%와 42.7%로 나타났으며 계절적으로는 식생식물의 성장기(6월~7월)와 개화기(9월~11월)에 높은 제거 효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인공습지는 회야댐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인 N와 P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대안으로 판단된다.

신불산 고산 습지의 생태적 특성과 관리방안 연구 (Management Program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Forest Wetlands located at Sinbul Mountain)

  • 이기철;남정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신불산 고산 습지의 식물상 생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습지 생태계 관리와 : 현명한 이용방안을 수립하였다. 총 167종의 식물이 동정되었으며, 그 중 고산 습지식물인 진퍼리새가 우점종으로 규명되었고, 한국특산종인 개족도리, 감소추세종인 끈끈이주걱, 이삭귀개 등이 분포하고 있어 보존의 가치가 높다. 신불산 고산습지 습지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국가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 습지 보호를 위한 감시 및 단속활동,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현명한 관리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 PDF

도림천 수변지역 조성을 위한 생태적 관리방안 및 하천환경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cological Management and Stream Environment in Dorim Stream for Establishing Eco-wetland Parks)

  • 이상돈;김석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33-139
    • /
    • 2008
  • 도심하천은 도심개발과 오염으로 인해 기능이 점차 상실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림천의 출현 동물상 및 식물상을 파악하여 도심하천의 건강성을 평가하는 지표종을 발굴하고, 습지보전지역의 가능성을 위한 방안을 토론하였다. 도림천에서 안양천에 이르는 구간에 총 113종의 식물종, 포유류 9종, 조류 23종, 양서류 4종, 파츙류 2종과 어류 2종이 관찰되었다. 육상곤충은 71종이 관찰되었으며, 습지식생은 매우 다양하며 총 4개의 권역으로 나누었으며, 도심하천의 특징을 나타내는 수변지역 및 습지식물권역(습지식물권역, 반습지식물권역, 습지주변초지 지역, 습지주변교목지역)에 대한 관리방안이 도출되었다.

  • PDF

Estimation of micro-biota in the Upo wetland using eukaryotic barcode molecular markers

  • Park, Hyun-Chul;Bae, Chang-Hwan;Jun, Ju-Min;Kwak, Myoung-Hai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4권3호
    • /
    • pp.323-331
    • /
    • 2011
  • Biodiversity and the community composition of micro-eukaryotic organisms were investigated in the Upo wetland in Korea using molecular analysis. Molecular ident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cytochrome oxidase I (COI) and small subunit ribosomal DNA (SSU rDNA). The genomic DNA was isolated directly from soil samples. The COI and SSU rDNA regions were amplified using universal primers and then sequenced after cloning. In a similarity search of the obtained sequences with BLAST in the Genbank database, the closely related sequences from NCBI were used to identify the amplified sequences. A total of six eukaryotic groups (Annelida, Arthropoda, Rotifera, Chlorophyta, Bacillariophyta, and Stramenopiles) with COI and six groups (Annelida, Arthropoda, Rotifera, Alveolata, Fungi, and Apicomplexa) with SSU rDNA genes were determined in the Upo wetland. Among 38 taxa in 20 genera,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amplified sequences, 10 genera (50%) were newly reported in Korea and five genera (25%) were shown to be distributed in the Upo wetland. This approach is applicable to the development of an efficient method for monitoring biodiversity without traditional taxonomic processes and is expected to produce more accurate results in depositing molecular barcode data in the near future.

강우시 인공습지를 이용한 유기물관리 (Management of Organic Matters by Constructed Treatment Wetlands during Rainfall Events)

  • 이상팔;박제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01-410
    • /
    • 2017
  •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the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ters in constructed treatment wetlands, coming from discharge water from a sewage treatment plant and non-point pollutant sources during rainfall events. At the beginning of a rainfall event, a massive amount of particulate organic matter flowed in, and was removed from the sedimentation basin (S1, S2); dissolved organic matter was removed after passing through stepwise treatment processes in the wetland. During dry period in the wetland, the removal efficiency rate for COD and TOC was -21 and -7%, respectively; during the rainfall event, the removal efficiency rate for COD and TOC were 47 and 43%, respectively. The highly-concentrated organic matters that flowd in at the beginning of the rainfall event was stabilized by various structures in the wetland before water discharge. Cyanobacteria blooms annually at the confluence of the So-ok stream and Daecheong Lak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wetland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 reducing cyanobacteria and improving water quality in the area.

생태관광자원으로서의 우포늪의 지속가능성 평가모형 (The Sustainability Assessment Model for Upo Wetland as a Eco-Tourism Resources)

  • 류정섭;이재달
    • 환경정책연구
    • /
    • 제11권1호
    • /
    • pp.3-25
    • /
    • 2012
  • 생태생태관광자원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생태관광과 관련한 전문가 집단 1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지속가능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요인에 대한 가중치의 산정, 평가지표의 개발 및 수리적 평가모형을 정의하여 우포늪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행하였다. 그 결과 현재 상태의 우포늪에 대한 지속가능성 등급수준을 확인하였으며, 등급수준의 상향을 위해 세부항목별 향상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우포늪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생태관광자원의 지속가능성 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모형과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과학적이며 체계적으로 지속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PDF

인공습지를 이용한 하구담수호 유입하천수의 4년간 실험결과 분석 (Analysis of 4-year experimental data from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inflow stream in estuary using wetland)

  • 김형철;윤춘경;한정윤;이새봄;신현범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557-562
    • /
    • 2005
  • The field scale experimen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f plant coverage on the constructed wetland performance and recommend the optimum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macrophyte communities. Four sets(each set of 0.88ha) of wetland (0.8ha) and pond(0.08ha) systems were used. Water flowing into the Seokmoon estuarine reservoir from the Dangjin stream was pumped into wetland system. Water depth was maintained at $0.3{\sim}0.5m$ and hydraulic retention time was managed to about $2{\sim}5$ days; emergent plants were allowed to grow in the wetlands. After three growing seasons of the construction of wetlands, plant coverage was about 95%, even with no plantation, from bare soil surfaces at the initial stage. Dead vegetation affected nitrogen removal during winter because it is a source of organic carbon which is an essential parameter in denitrification. Biomass harvesting is not a realistic management option for most constructed wetland systems because it could only slightly increase the removal rate and provide a minor nitrogen removal pathway due to lack of organic carb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