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RM TEMPERATE

검색결과 327건 처리시간 0.02초

산촌 활성화를 위한 산림권역의 경영단위분석 - 일본 이시가와현의 예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Management Unit on Forest Area for Active Mountain Villages - Case of Ishigawa-gen in Japan -)

  • 이성기;손석규;정진현;신병철;정영교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10호
    • /
    • pp.989-995
    • /
    • 2006
  • Using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lustering Forest resources are consistently necessary in the future. It takes much time to produce and breed them. However it is difficult to do due to recent social situation. Considering global environment, forest policy should be considered as a global scale rather than a regional one. At least, the policy needs a national scale concern. In order to support forestry, elementary data are needed. In this study, forest characteristics in Ishigawa-gen province have been analyzed through main component analysis and clustering. The results are shown in fig.5 and fig.6.

Nutrient Concentration and Stoichiometry in Plant Organs of Four Warm-temperate Forests in Southern Korea

  • Choonsig Kim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3권1호
    • /
    • pp.66-72
    • /
    • 2024
  • Determining the nutrient stoichiometry in plant organs is critical for understanding nutrient uptake and cycling in forest ecosystems. This study evaluated nutrient concentrations and stoichiometry in various plant organs (stem, bark, branches, and foliage) of species found in four warm-temperate forests in southern Korea. Cryptomeria japonica D. Don (CJ), Quercus serrata Thunb. (QS), evergreen broadleaved tree species (EB), and bamboo spp. (BB) were destructively sampled to measure nutrient (C, N, and P) concentrations in the plant organs. The mean C concentration in the ste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J than in QS, BB, or EB, whereas the C concentration in the foliage was the lowest in BB. The mean foliar N and P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BB than in EB or CJ. The mean stem C:N and C:P ratios were highest in CJ but were lowest in the foliage of BB. Overall, stems of all species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 concentration and dry weight, but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N and dry weight. The N and P concentrations of foliage and bark were strongly correlated, whereas those of the stem and branches were poorly correlated. Positive correlations were detected between the C:N and C:P ratios in bark and foliage. These results indicate the existence of intraspecific differences in nutrient requirements in warm-temperate forest species and add to the understanding of nutrient uptake and storage patterns in the organs of species growing in warm-temperate forests.

한국 난온대 식생분포대의 식물기후학적 재검토 (A Phytoclimatic Review of Warm-temperate Vegetation Zone of Korea)

  • 엄병철;김종원
    • 생태와환경
    • /
    • 제53권2호
    • /
    • pp.195-207
    • /
    • 2020
  • 난온대 동백나무군강의 한국 내 분포 북한계는 연평균 기온 13℃와 14℃, 한랭지수 -10℃로 제안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들 기후요소의 지리적 공간분포 실체를 검토하였다. 세 기후요소의 공간분포 양상은 티센망법과 크리깅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세 가지 기후도를 생산하여 난온대 주요 상록활엽수종의 현존분포와 그 대응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로 난온대 식생의 분포 북한계는 한랭지수 -10℃가 연평균기온 14℃보다 일치하였으나, 연평균기온 13℃가 더욱 정교한 일치를 보여주었다. 한반도에서 연평균기온 13℃를 북한계로 한 난온대 식생역의 잠재 분포 면적은 20,334 ㎢로 다른 두 온도요소의 경우보다 넓었다. 본 연구는 가공하지 않은 직접 기후요소인 연평균기온 13℃가 가공으로부터 생겨난 간접 기후요소인 한랭지수 -10℃보다 난온대 식생 분포 북한계에 대응하는 특정 온도 요소인 것으로 밝혀졌다. 더불어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의 평가 기준으로 사용되는 난온대 경계선에 대한 학술적 재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보전실태 및 복원(I) - 상록활엽수림 분포 및 훼손등급 기준 - (Conservation Status and Restoration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the Warm Temperate Region, Korea( I ) - Distribution of the Evergreen Broad-laved Forests and Category of Degraded Levels -)

  • 박석곤;오구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09-320
    • /
    • 2002
  • 대부분 훼손된 한반도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의 보전실태 파악 및 복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상록활엽수림 분포와 산림식생유형을 파악하고, 훼손등급 기준을 설정하였다. 기존 문헌과 현존식생도를 토대로 파악한 한반도의 상록활엽수림 면적은 약 10,285ha이었다 난온대 지역인 남해안과 내륙일대 등의 32개 지역에서 산림식생유형을 파악한 결과 상록활엽수림은 26개 유형, 준상록활엽수림은 13개 유형, 낙엽활엽수림은 9개 유형, 상록침엽수림은 4개 유형, 총 52개 산림식생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난온대 수종의 상대우점치와 수종 수에따라 훼손등급을 8개 등급, 14개 세부훼손등급으로 세분하여 훼손등급 기준을 설정하였다.

Sciaphila secundiflora Thwaites ex Benth. (Triuridaceae): An unrecorded species from Korean flora

  • Yim, Eun-Young;Hyun, Hwa-Ja;Kim, Chang-Uk;Kim, Chan-Soo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96-198
    • /
    • 2017
  • Sciaphila secundiflora occurs on Jeju Island as a second species of the genus Sciaphila in Korea. This is an important finding in relation to the flora of Korea, as species of the genus Sciaphila are concentrated mainly in Indonesia and Malaysia. Few species are found on the mainland of Asia, in Japan, Taiwan, China (Hainan), tropical Africa, Australia, and on the Pacific islands. In this paper, the species S. secundiflora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a new record from Korea. In addition, we suggest that the species of the genus Sciaphila should be protected with regard to its habitat characteristics and for its phytogeographic and climatic significance.

Classification ofWarm Temperate Vegetations and GIS-based Forest Management System

  • Cho, Sung-Mi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1호
    • /
    • pp.216-224
    • /
    • 2021
  • Aim of this research was to classify forest types at Wando in Jeonnam Province and develop warm temperate forest management system with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and GIS. Another emphasis was given to the analysis of satellite images to compare forest type changes over 10 year periods from 2009 to 2019. We have accomplished this study by using ArcGIS Pro and ENVI. For this research, Landsat satellite images were obtained by means of terrestrial, airborne and satellite imagery. Based on the field survey data, all land uses and forest types were divided into 5 forest classes;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Evergreen Coniferous forest,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Mixed fores, and others. Supervised classification was carried out with a random forest classifier based on manually collected training polygons in ROI. Accuracy assessment of the different forest types and land-cover classifications was calculated based on the reference polygons. Comparison of forest changes over 10 year periods resulted in different vegetation biomass volumes, producing the loss of deciduous forests in 2019 probably due to the expansion of residential areas and rapid deforestation.

제주도 난대림에서 노루 뿔의 성장과정에 의한 어린나무 박피에 관한 연구 (Peeling Damage of Sapling caused by the Developing Process of Roe Deer Antlers in Warm-temperate Forests of Jeju Island)

  • 김은미;박영규;권진오;김지은;강창완;이치봉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54-259
    • /
    • 2012
  • 산림에서 나무껍질이 벗겨지는 피해는 노루를 비롯한 사슴과에 속하는 포유류에 의해 발생하며 먹이 부족이 주요 원인이다. 그러나 제주도에서는 뿔이 녹각으로 되는 과정에서 벨벳을 벗겨내는 행동에 의해 나무껍질이 벗겨지는 피해가 발생하여 이들을 살펴보았다. 국립산림과학원 한남시험림내의 해발 400m에서 500m 사이에 위치한 6km구간의 임도 주변 5m지역을 대상으로 2011년 9월 9일부터 10월 4일까지 맑은날을 택하여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노루가 뿔로 긁은 피해목은 총 25종, 267본이었으며 낙엽활엽수가 18종 134본, 상록활엽수가 5종 71본, 나머지 2종 62본은 침엽수였다. 뿔 긁기로 가장 선호하는 수종은 굴거리나무(Daphniphyllum macropodum),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 비목(Lindera erythrocarpa), 누리장나무(Clerodendrum trichotomum), 산초나무(Zanthoxylum schinifolium) 순이었다. 피해목은 주로 3~4년생의 어린나무이며 평균 수고는 $120.7{\pm}42.4cm$이었고, 지상 5cm 높이에서의 직경은 $1.5{\pm}0.5cm$, 피해 시작점(최저점)은 지상에서부터 평균 $22.1{\pm}10.1cm$ 지점이었고, 피해길이는 평균 $27.5{\pm}10.6cm$이었다. 나무껍질이 벗겨지면 이차적으로 균류의 침입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해 어린나무의 외형이 변하거나 죽게 되어 난대림의 향후 종 구성에 영향을 야기할 수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 산림의 식생변화가 예견되는 시점에서 노루의 뿔에 의한 피해는 난대림의 자연 갱신은 물론 조림과 묘목생산 그리고 지속적인 산림경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도 목본식물자원의 분포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Woody Plants Resources in Jeiu, Korea)

  • 김찬수;손석규;도재화;김지은;황석인;정진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24-436
    • /
    • 2007
  • 여기에서는 제주도에 분포하는 임목유전자원에 대하여 앞으로의 개발과 보존전략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제주도에 분포하는 목본식물은 62과 136속 279종 28변종 13품종으로 계 320 분류군이었다. 그 중 침엽수인 나자식물은 3과 5속 7종으로 전체의 2.2%였으며, 나머지인 59과 131속 272종 28변종 13품종 계 313 분류군이 활엽수였다. 활엽수 중 상록수는 31과 45속 72종 7변종 5품종으로 84 분류군으로 활엽수종의 26.8%이며, 낙엽수는 42과 93속 200종 21변종 8품종 계 229 분류군으로 73.2%였다. 이들은 교목 122 분류군(38.1%), 관목 177 분류군(55.1%), 만경 21 분류군(6.8%)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휴면형, 번식형, 산포기관형 및 생육형에 의한 스펙트럼이 분석되었다. 제주도에 분포하는 목본식물 320 분류군 중 17과 21속 14종 16변종 30 분류군이 한국특산이었으며, 그 중 22 분류군은 제주특산이었다. 제주도에 분포하는 목본식물 중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종은 V 등급 10 분류군, IV 등급 24 분류군, III 등급 53 분류군이었다. 이 결과는 V 등급은 전국의 12%, IV 등급은 7.6%, III 등급은 17.2%에 해당하는 것이다.

차광 처리가 빌레나무(Maesa japonica)의 개화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tificial Shading on Flowering and Growth of Maesa japonica Seedlings)

  • 박민지;서연옥;최형순;최병기;임은영;양주은;이채빈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62-469
    • /
    • 2021
  • 본 연구는 제주도 곶자왈 지역에 자생하는 빌레나무를 대상으로 차광 처리를 통해 세 가지 수준의 차광 조건(35%, 55%, 75%)에 따른 개화 및 생장 특성을 분석하였다. 차광률 증가에 따라 개화 시기가 지연되었고, 55% 차광 처리구에서 가장 많은 개체가 개화하였으며, 개체당 화서의 수도 높게 나타났다. 차광률이 증가할수록 묘고가 감소하였고 잎과 줄기의 수는 75% 차광 처리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및 부위별 생물량도 차광률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35% 차광 처리구에서 75% 차광 처리구 대비 지상부 생물량 2.1배, 지하부 생물량 1.7배, 총 엽면적 2.0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빌레나무는 건전한 생육을 위하여 차광 처리가 필요하며 개화는 55% 차광 수준, 생장은 35% 차광 수준에서 가장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반도 도서지역의 난온대림 식생유형 특징 및 복원전략 (Characteristics and Restoration Strategies of Warm-Temperate Forests Vegetation Types in Island Area on the Korean Peninsula)

  • 강현미;강지우;성찬용;박석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07-524
    • /
    • 2022
  • 우리나라 난온대 도서지역을 광범위하게 조사해 TWINSPAN분석을 통해 식생을 유형화한 후에 유형별 입지환경과 군집구조 특성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식생유형별 복원전략을 도출하여 난온대림 복원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식생유형은 명료하게 8개로 나뉘었는데 군락 I~IV는 후박나무, 구실잣밤나무 등이 우점한 양호한 상록활엽수림 이었다. 반면, 군락 V~VIII은 곰솔림과 낙엽활엽수림, 인공조림지로 난온대 지역의 퇴행천이 식생이었다. DCA분석 결과로 도출된 환경요인은 해발고(최한월 평균기온)와 해안선에서 거리(내염성)였다. 2가지 환경요인에 따라 후박나무림, 구실잣밤나무림, 가시나무류림 유형으로 난온대림 분포패턴이 명료해졌다. 3가지 식생유형을 복원대상지의 입지환경을 고려해 복원목표 식생으로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군락 V~VIII에는 곰솔, 낙엽활엽수 등이 수관층을 형성했는데 종자 확장력이 강한 상록활엽수종이 하층에 빈번하게 출현해, 상록활엽수림으로 식생천이 가능성이 컸다. 도서지역에 산림이 사라진 황폐지는 협소하지만, 곰솔림과 낙엽활엽수림 등의 퇴행천이된 식생이 대면적을 이룬다. 이곳을 상록활엽수림으로 갱신하는 복원전략이 탄소중립 실현과 생물다양성 증진 측면에서 효과성이 더 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