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515L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1초

Prevalence of JAK2 V617F, CALR, and MPL W515L Gene Mutations in Patients with Essential Thrombocythemia in Kurdistan Region of Iraq

  • Saeed, Bestoon Muhammad;Getta, Hisham Arif;Khoshnaw, Najmaddin;Abdulqader, Goran;Abdulqader, Aveen M. Raouf;Mohammed, Ali Ibrahim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41-48
    • /
    • 2021
  • Essential thrombocythemia (ET) is a clonal bone marrow stem cell disorder, primarily involving the megakaryocytic lineage. The WHO 2016 guidelines include the molecular detection of JAK2, MPL, and CALR mutations as a major diagnostic criterion for ET.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JAK2 V617F, MPL W515L, and CALR mutations in Iraqi Kurdish patients afflicted with ET, and to analyze their clinical and hematological features. A total of 73 Iraqi Kurdish patients with ET were enrolled as subjects, and analysis was achieved utilizing real-time PCR. The frequency of JAK2 V617F, CALR, and MPL W515L mutations was determined to be 50.7%, 22%, and 16.4%, respectively.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tained when considering the age and gender among different genotypes. The JAK2 V617F mutated pati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white blood cell counts and hemoglobin levels than the CALR-positive patients (P-value=0.000, 0.007, respectively), MPL W515L-positive patients (P-value=0.000, 0.000, respectively), and triple negative patients (P-value=0.000, 0.000, respectively). Also, the JAK2 V617F mutated patients showed higher platelet count as compared to the MPL W515L-positive patients (P-value=0.02) and triple negative patients (P-value=0.04). Furthermore, significantly lower white blood cell count and hemoglobin levels were associated with CALR positivity (P-value=0.000, 0.01, respectively), MPL W515L-positivity (P-value=0.001, 0.000, respectively), and triple negativity (P-value=0.000, 0.000, respectively), as compared to patients with combined mutations. In conclusion, apart from a relatively high frequency of MPL W515L mutation, our data is comparable to earlier reports, 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genotyping the JAK2 V617F, MPL W515L, and CALR mutations for accurate diagnosis of patients with ET.

Analysis of Vaginal Lactic Acid Producing Bacteria in Healthy Women

  • Nam, Hye-Ran;Whang, Kyung-Hee;Lee, Yeon-Hee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6호
    • /
    • pp.515-520
    • /
    • 2007
  • Vaginal lactic acid-producing bacteria of 80 pre-menopausal women were studied by isolation on Blood and DeMan-Rogosa-Sharpe agar, PCR with group-specific primers for Lactobacillus-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and PCR with specific primers for V3 region in 16S rRNA-temporal temperature gel electrophoresis (TTGE). Conventional isolation method on media detected only one lactobacillus (Lactobacillus brevis) while TTGE detected only Lactobacillus sp. DGGE detected seven Lactobacillus species; L. coleohominis, L. crispatus, L. iners, L. reuteri, L. rhamnosus, L. vaginalis, and Leuconostoc lactis. L. acidophilus and L. gasseri, which are prevalent in Western women, were not detected in Korean women. Furthermore, L. rhamnosus, Leuc. lactis, L. coleohominis, and Weissella cibaria, which were not previously reported in the vaginal microbiota of Korean women, were detected. The five most prevalent LABs in vaginal microbiota in Korean women were L. iners, Enterococcus faecalis, L. crispatus, Leuc. lactis, and W. cibaria.

Remazol Black B의 호기성 탈색을 위한 백색부후균의 분해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Aerobic Decolorization of Remazol Black B by White Rot Fungi)

  • 이재화;이은열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11-515
    • /
    • 2003
  • 대표적인 azo계 반응성 염료인 Remazol Black B에 대한 탈색능이 우수한 신규 백색부후균인 Phanerochaete sp. EJ-31L의 탈색 특성을 평가해 보았다. 보조 탄소원 농도, 질소원, pH 등의 배양조건이 염료 탈색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3%(w/v)의 sucrore, 0.05%(w/v)의 $(NH_4)_2SO_4$를 첨가한 배지에서 pH 6.5의 조건에서 탈색능이 우수하였다. 혐기적 조건에서는 호기적 조건 대비 27% 수준의 탈색 효율을 보였으며, 진탕배양에서의 탈색율이 정치배양 대비 2배이상 높아 Phanerochaete sp. EJ-31L은 호기적 조건에서 탈색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초기 Remazol Black B 농도 50 ppm에 대한 회분식 처리시 약 95% 이상의 탈색율을 보여 향후 azo계 염료 처리용 생물공정에 백색부후균인 Phanerochaete sp. EJ-31L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혼합 발광다이오드와 형광등에서 자란 적치마 상추의 생육 및 광 이용 효율 비교 (Comparison of Combined Light-emitting Diodes and Fluorescent Lamps for Growth and Light Use Efficiency of Red Leaf Lettuce)

  • 손기호;송민정;오명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39-14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폐쇄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세가지 혼합 LED와 형광등에서 자란 적치마 상추의 생육과 광이용효율을 비교하는 것이다. 18일간 육묘한 적치마상추묘를 적색(R, 655nm), 청색(B, 456nm), 녹색(G, 515nm), 백색(W, 456nm + 558nm)의 혼합 LED(R:B=8:2, R:W:B=8:1:1, R:G:B=8:1:1)와 형광등이 설치된 폐쇄형 식물생산시스템에 정식하였다. 형광등에서 자란 상추는 모든 LED 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엽형지수를 보였다.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에서 LED 처리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모든 LED 처리가 형광등에 비해 약 34% 지상부 생체중의 증가를 유도시켰다. 한편, 정식 후 4주차에 형광등의 총 소비 전력은 145kW인 반면, LED 처리구들에서 형광등의 약 1/3배인 54kW를 나타냈다. LED 처리구들의 건물중에 대비한 광 이용 효율은 약 34mg/W였으며, 이는 형광등 보다 약 3.5배 높은 값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적절한 조합의 LED 조사는 형광등에 비해 상추 생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에너지 절감을 통해 광이용효율도 극대화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식물생장조절물질 말포민 A동족체의 화학구조 및 생리활성 (Chemical Structur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lant Growth Substance, Malformin A's)

  • 김건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3-84
    • /
    • 1995
  • 종래의 말포민류에 대한 화학구조 연구에 있어서의 난제들이 최신의 각종 기기분석 및 새로운 정제 방법의 적용에 의해 해결되어졌으며, 이 결과 말포민 A로부터 신규의 $A_4$를 포함한 4종의 A동족체들이 단리 구조결정되었다. 본 연구에 의해 말포민 A동족체의 화학 구조는, $A_1$(1)이 cyclo-D-Cys-D-Cys-L-Val-D-Leu-L-Ile, $A_2$(2)가 cyclo-D-Cys-D-Cys-L-Val-D-Leu-L-Val, $A_3$(3)가 cyclo-D-Cys-D-Cys-L-Val-D-Leu-L-Leu, $A_4$(4)가 cyclo-D-Cys-D-Cys-L-Val-D-Ile-L-Val으로서 확정 되었다. 이들 중, 말포민 $A_3$(3)는 말포민 C와 동일한 화합물로 확인되었다. 단리된 말포민 A동족체에 대해서 옥수수 근 부굴곡활성과 녹두 상배축신장활성을 지표로 하여 생물검정을 실시하였다. 옥수수 근부굴곡 활성의 검정으로부터, 모든 A동족체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분자량 529의 동족체는 분자량 515의 동족체보다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녹두 상배축신장활성의 검정에서는 분자량에 따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이들 중 말포민 $A_4$는 활성형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양검정법에서 모두 최고 수준의 활성을 나타낸 말포민 $A_1$은, $0.25{\mu}m$ 에서 83%의 옥수수 근부굴곡활성을 나타냈으며, 녹두 상배축신장활성의 경우, $0.1{\mu}m$에서 대조구에 비해 165%의 신장촉진을 보였다.

  • PDF

식물생장조절물질 말포민 B동족체의 화학구조 및 생리활성 (Chemical Structur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lant Growth Substance, Malformin B's)

  • 김건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5-98
    • /
    • 1995
  • 말포민 B로부터 신규의 $B_3$, $B_4$$B_5$를 포함한 6종의 B동족체들이 단리 구조결정되었다. 본 연구에 의해 말포민 B동족체의 화학구조는, $B_{1a}$(1)가 cyclo-D-Cys-D-Cys-L-Val-D-Leu-L-allo-Ile, $B_{1b}$(2)가 cyclo-D-Cys-D-Cys-L-Val-D-Leu-L-Leu, $B_2$(3)가 cyclo-D-Cys-D-Cys-L-V al-D-Val-L-Leu, $B_3$(4)가 cyclo-D-Cys-D-Cys-L-Val-D-Ile-L-Leu, $B_4$(5)가 cyclo-D-Cys-D-Cys-L-Val-D-Ile-L-Ile, $B_5$(6)가 cyclo-D-Cys-D-Cys-L-Val-D-Val-L-Ile으로서 확정되었다. B's, $B_{1b}$ C 이들 중, 말포민 $B_{1b}$(2)의 화학구조는 말포민 $A_3$ 및 말포민 C와 동일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단리된 말포민 B동족체에 대해서 옥수수 근부굴곡활성과 녹두 상배축산장활성을 지표로 하여 생물검정을 실시한 결과, 모든 B동족체가 활성을 나타내었다. 옥수수 근부굴곡활성의 검정으로부터, 분자량 529의 동족체가 분자량 515의 동족체보다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HPLC상의 retention time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전체 말포민분자의 극성 이 옥수수 근부굴곡활성에 대해서 영향을 마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또한, 말포민의 구조를 유지시켜주는 -S-S-가교구조와 제4-제5 아미노산 잔기에 측쇄구조가 상이한 leucine과 isoleucine의 조합이 말포민 수용부위와의 결합에 있어서 최적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말포민류의 활성 발현에 중요한 구조적 요소들일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말포민 $B_{1a}$$0.25{\mu}m$에서 90%의 옥수수 근부굴곡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녹두 상배축산장활성의 경우 분자량에 따른 활성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말포민 $B_5$의 처리시 $0.1{\mu}m$에서 대조구에 비해 1.54%의 신장촉진을 보여주었다.

  • PDF

SIMULATING NONTHERMAL RADIATION FROM CLUSTER RADIO GALAXIES

  • TREGILLIS I. L.;JONES T. W.;RYU DONGSU
    • 천문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509-515
    • /
    • 2004
  • We present results from an extensive synthetic observation analysis of numerically-simulated radio galaxy (RG) jets. This analysis is based on the first three-dimensional simulations to treat cosmic ray acceleration and transport self-consistently within a magnetohydrodynamical calculation. We use standard observational techniques to calculate both minimum-energy and inverse-Compton field values for our simulated objects. The latter technique provides meaningful information about the field. Minimum-energy calculations retrieve reasonable field estimates in regions physically close to the minimum-energy partitioning, though the technique is highly susceptible to deviations from the underlying assumptions. We also study the reliability of published rotation measure analysis techniques. We find that gradient alignment statistics accurately reflect the physical situation, and can uncover otherwise hidden information about the source. Furthermore, correlations between rotation measure (RM) and position angle (PA) can be significant even when the RM is completely dominated by an external cluster medium.

Characterization and Prognosis Significance of JAK2 (V617F), MPL, and CALR Mutations in Philadelphia-Negative Myeloproliferative Neoplasms

  • Singdong, Roongrudee;Siriboonpiputtana, Teerapong;Chareonsirisuthigul, Takol;Kongruang, Adcharee;Limsuwanachot, Nittaya;Sirirat, Tanasan;Chuncharunee, Suporn;Rerkamnuaychoke, Budsab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0호
    • /
    • pp.4647-4653
    • /
    • 2016
  • Background: The discovery of somatic acquired mutations of JAK2 (V617F) in Philadelphia-negative myeloproliferative neoplasms (Ph-negative MPNs) including polycythemia vera (PV), essential thrombocythemia (ET), and primary myelofibrosis (PMF) has not only improved rational disease classification and prognostication but also brings new understanding insight into the pathogenesis of diseases. Dosage effects of the JAK2 (V617F) allelic burden in Ph-negative MPNs may partially influence clinical presentation, disease progression, and treatment outcome. Material and Methods: Pyrosequencing was performed to detect JAK2 (V617F) and MPL (W515K/L) and capillary electrophoresis to identify CALR exon 9 mutations in 100 samples of Ph-negative MPNs (38.0 PV, 55 ET, 4 PMF, and 3 MPN-U). Results: The results showed somatic mutations of JAK2 (V617F) in 94.7% of PV, 74.5% of ET, 25.0% of PMF, and all MPN-U. A high proportion of JAK2 (V617F) mutant allele burden (mutational load > 50.0%) was predominantly observed in PV when compared with ET. Although a high level of JAK2 (V617F) allele burden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high WBC counts in both PV and ET, several hematological parameters (hemoglobin, hematocrit, and platelet count) were independent of JAK2 (V617F) mutational load. MPL (W515K/L) mutations could not be detected whereas CALR exon 9 mutations were identified in 35.7% of patients with JAK2 negative ET and 33.3% with JAK2 negative PMF. Conclusions: The JAK2 (V617F) allele burden may be involved in progression of MPNs. Furthermore, a high level of JAK2 (V617F) mutant allele appears strongly associated with leukocytosis in both PV and ET.

옻(Rhus verniciflua Stokes)으로 부터 분리한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BALB/c mice에 대한 특성 (Characteristics of Allergy Inducing Materials Isolated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on BALB/c Mice)

  • 남상해;주옥수;이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899-904
    • /
    • 2009
  • 옻 allergy 유발물질을 분리하고 그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국내산, 중국산 및 일본산 생 옻을 사용하였다. 옻의 crude extracts로부터 crude urushiol을 정제하고, 다시 allergy 유발물질로 알려져 있는 3종의 urushiol congeners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urushiol congeners는 RV-1 였으며, 전체의 80%에 해당하였다. RV-1의 함량은 중국산에서 70.07%로 가장 많았으며, 일본산에서 62.38%로 가장 적었다. 반면에 RV-2는 일본산은 9.25%로서 국내산과 중국산의 4.28 및 3.09%에 비하여 약 2$\sim$3 배정도 많았다. Allergy 유발특성을 보면, RV-1은 초기유발강도가 강하고 지속적이어서 회복속도도 늦었다. RV-2는 초기유발강도는 약하지만 회복속도는 늦었다. 반면에 RV-3는 초기유발강도는 비교적 약했지만, 감작 후 48시간 째에 가장 강하게 유발되었고, 회복속도가 빨라서 72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에는 거의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따라서 allergy유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urushiol은 RV-1이었으며, RV-1의 함량이 가장 많은 중국산이allergy의 유발강도가 가장 강하였고 회복속도도 늦음을 알 수 있었다.

키토산이 코팅된 PLGA 나노입자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itosan-coated PLGA Nanoparticle)

  • 유수경;나재운;정경원
    • 공업화학
    • /
    • 제32권5호
    • /
    • pp.509-515
    • /
    • 2021
  • 본 연구는 생체적합성 및 생분해성의 특성을 갖는 PLGA (poly lactic-co-glycolic acid)를 이용하여 이중(w/o/w) emlusion과 유화 용매-증발 기법을 통해 PLGA 나노입자(PNP)를 제조하였고, 이에 키토산을 전하 상호작용을 통해 키토산이 코팅된 PLGA 나노입자(CPNP)를 제조하여 입자의 안정성과 생체이용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경구 투여용 약물 전달체로 사용 가능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CPNP의 화학적 구조는 1H-NMR 및 FT-IR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모든 특성 피크가 나타남으로써 성공적으로 제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CPNP의 입자 크기, 제타 전위 및 형태학적 이미지는 DLS와 TEM을 이용하여 각각 분석하였으며, TGA를 통해 CPNP의 열적 분해 거동을 관찰하였다. 또한, CPNP의 세포 독성은 HEK293 및 L929 세포에서 MTT assay를 수행하여 확인하였고, 모든 농도에서 7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함으로써 독성이 없음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CPNP가 경구용 약물 전달체로써 사용 가능성이 있음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