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unteering Activity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8초

간호대학생의 방문이동목욕 봉사경험 연구 (A Study on Nursing Students' Volunteer Experience in Visiting Ambulatory Bathing Service)

  • 황승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08-322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understand students' experiences from their standpoint, to identify relevant variables and to examine into their relations by analyzing and describing what phenomenon 'nursing students' visiting ambulatory bathing service' is, what are the reasons for the phenomenon, and what interactions are in the phenomenon. Method: The subjects were thirteen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by Strauss and Corbin's analysis method. Result: With regard to ambulatory bathing service, participants responded 'lack of education', 'inexperienced personal relations' and 'disappointment with recipients families'. They recognized 'burden' and 'compassion'. The intensity of generated 'burden' and 'compassion' was determined by volunteering persons, the degree of health care service, recipients' response and interaction of climate. When 'burden' and 'compassion' were generated, participants selected their own coping strategies. Strategies in the situation of 'burden' and 'compassion'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burden' and 'compassion' and structural situation - 'mutual relation structure,' 'volunteers' capability,' 'the degree of volunteering guidance,' 'community participation,' 'recipients' environment,' 'information sharing,' 'special vehicle equipment' and 'economical burden.' Strategies include' service training,' 'receiving volunteering training,' 'preliminary service preparation,' 'volunteering.' 'connection to local medical center,' 'intention,' 'information sharing,' 'passive response to recipients' apprecia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publicity'. The results of selected 'burden' and 'compassion' are described with 'worthiness' and 'cohesion' as follows.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ly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bathing service welfare in its initial stage. There are not much outcome from previous studies.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intended to develop theories on the nature of experiences and the relations among concepts derived from the visiting ambulatory bathing service process of nursing students. Professors who taught social volunteering in universities understood th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who did the visiting ambulatory bathing service. Consequently, professors will provide an effective instruction to enable these students to carry out visiting ambulatory bathing services efficiently in order to meet demands when they conduct the services. For the volunteering service activity in major-related fields among college students' social volunteering activities, the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systematic education and preparation.

  • PDF

자본 및 생태환경 요인이 노인자원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apital and Ecological Variables on Volunteering Among Older Adults)

  • 김명숙;고종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236-24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인적, 사회적, 문화적 자본 및 생태환경 요인이 노인들의 자원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에서 인적 자본 변수는 학력, 소득 및 신체적 건강의 세 변수를, 사회적 자본 변수로는 비공식적 상호작용과 공식적 상호작용의 두 변수를, 문화적 자본 변수로는 종교, 문화단체참여 및 삶의 질의 세 변수를 그리고 생태환경변수로는 배우자 유무, 주택점유형태 및 거주지역의 세변수를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수인 노인자원봉사 변수로는 자원봉사 참여여부 및 지속적 자원봉사 참여의도의 두 변수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노인인력개발원에서 수집한 "2012년도 노인일자리사업참여노인 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주된 자료분석방법으로는 로짓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인적 자본 요인들인 학력, 소득, 및 신체적 건강은 자원봉사 참여여부와 지속적 자원봉사 참여의도에 모두 긍정적인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자본 요인들 중에서 비공식적 상호작용은 자원봉사 참여여부와 지속적 자원봉사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공식적 상호작용은 지속적 자원봉사 참여의도에만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며, 문화적 자본 요인들인 종교, 문화단체참여 및 삶의 질은 자원봉사 참여여부와 지속적 자원봉사 참여의도에 모두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생태환경 요인들 중에서 주택점유형태와 거주지역은 자원봉사 참여여부와 지속적 자원봉사 참여의도에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배우자 유무는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와 삶의 의미 (Satisfaction for Voluntary Activity and the Meaning of Life in Hospice Volunteers)

  • 박금자
    • 종양간호연구
    • /
    • 제6권2호
    • /
    • pp.104-110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for voluntary activity and the meaning of life in hospice volunteers. Method: Data were obtain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102 volunteers and were analyzed using a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Result: The mean score of the satisfaction for hospice volunteer activity was $2.48{\pm}0.38$. Of the domains of the satisfaction, the experience domain had the highest mean score $(2.93{\pm}0.53)$, and the social exchange domain had the lowest mean score $(1.65{\pm}0.63)$. The mean score of the meaning of life was $3.20{\pm}0.33$. The score of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economic status, and volunteering time per week. The score of meaning of life was statically different by financial statu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for voluntary activity and the meaning of life. Conclusion: Satisfaction for hospice volunteer activ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meaning of life.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volunteer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ir financial aspect and the volunteering time.

  • PDF

재난구호 자원봉사활동체계 실태분석 및 정책적 함의 (Analysis and Implications on Volunteer Activity System of Disaster Relief)

  • 성기환;한승환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5호
    • /
    • pp.93-102
    • /
    • 2008
  • 자원봉사자 활동을 분석하여 자원봉사활동체계를 정비하는데 기여코자 하였는데, 주요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관리체계에서는 민관산학의 통합적 협력체계, 구호품관리체계 개선, 봉사활동 운영 매뉴얼 개발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그리고 교육체계에서는 재난분야별 전문교육, 현장 오리엔테이션교육, 자원봉사자관리자 양성교육 등의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지원체계에 대해서는 국가안전관리정보시스템, 봉사자관리전산프로그램, 봉사자 상해보험, 봉사활동 시간확인서 발급, 봉사활동 행정지원, 비상통신체계 확보 그리고 예방 예산 및 의연금 등에 대한 개선을 제시하였다.

신입사원 채용시 사회봉사실적 반영방안 (The Method of Voluntary Record Reflection for New Employment)

  • 이성철;이은승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03-313
    • /
    • 2010
  • As more and more the social environment change, the companies try to improve industrial structure. The role of enterprise changed direction from position power to communication power. Social contributed activity - representative of social responsible activities in companies - is means of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ty and new marketing strategy.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successful social contributed activity is member's volunteering minds. Volunteer mind based on practical behavioral philosophy. This is right people for company. In this paper, we discussed company social responsibility and suggested standard guide line for voluntary record reflection when the company hire new employees.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 사회참여 의향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Forecasting Factors of Baby Boomer's Social Participation Desire After Retirement)

  • 김종인;김윤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655-66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붐 세대를 대상으로 노후 사회참여 의향 예측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성별과 거주지에 따른 할당표본을 한 강현정(2012)의 데이터 1115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첫째, 현재의 사회참여는 경제활동 77.7%, 자원봉사활동 27.0%, 여가활동 79.3%로 경제활동과 여가활동에 비해 자원봉사활동에의 참여가 상당히 낮았다. 그러나 노후 사회참여 의향은 경제활동 80.9%, 자원봉사활동 76.7%, 여가활동 82.2%로 고른 분포를 보였다. 둘째, 현재 사회참여를 하는 베이비붐 세대는 노후에도 사회참여를 하려는 의향이 높았다. 그런데 현재는 사회참여를 하지 않으나 노후에는 사회참여를 하고자 하는 베이비붐 세대가 경제활동의 경우에는 55.8%, 자원봉사활동의 경우에는 70.6%, 여가활동의 경우에는 66.5%였다. 셋째, 현재 사회참여여부가 노후 사회참여 의향의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지속성의 이론의 관점에서 논의하였으며, 노후 삶의 만족도에 중요 변수로 알려진 사회참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중년기부터의 준비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서울·경인지역 노인자원봉사 활성화 방안 연구 - 장애요인 및 실천적 대안을 중심으로 - (Fieldworkers' Perceptions of the Policies and the Strategies for Promoting Elderly Volunteering Actions and the Exploring Alternatives in the Volunteering Work: Focused on Elderly-barrier and Practical Suggestions)

  • 이현주;송민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576-590
    • /
    • 2021
  • 기존의 노인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들의 구상은 역할관점에 기반 한 활동이론(active theory)을 적용하여 '선배 시민(Senior Citizen)'으로서 노인이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지역사회공동체에 건강성을 부여하는데 있다. 또한 시민성 개발을 위한 평생교육/학습모델을 전제로 노인 자원봉사자 및 활동영역을 확대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해 제시된 제도 방안들을 자원봉사 실천현장의 실무자들이 이를 어떻게 인식하고 적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들이 당면하고 있는 장애요인들과 실천대안들을 면밀히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수도권 지역의 노인복지관 및 자원봉사센터 12개 기관의 실무자와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직접적 내용분석'을 활용하여, 활성화 방안의 주제 범주로 12개를 도출하여 실무자들의 인식을 노인 자원봉사 활성화 주제범주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노인 자원봉사 정책방안과 실천 현안에 대한 현장 실무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통해 재점검하였으며, 향후 노인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장애요인과 실천적 대안들을 실무자들의 견지에서 제시하였다.

자원봉사자의 참여동기 및 대인관계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충북 ○군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impact of volunteers' participation motiv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the volunteer satisfaction - Fucusing on ○-gun in Chungcheongbuk-do -)

  • 강희진;조성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11
    • /
    • 2015
  • 본 연구는 자원봉사자의 참여동기 및 대인관계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중부권 ${\bigcirc}$군에 소재한 자원봉사단체 회원 313명이며, 2014년 4월2일부터 8월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실증분석은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일반적 특성에서는 여성, 고학력, 기혼자의 봉사활동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지역특성에 따른 봉사활동 만족도는 장기거주자, 봉사활동이 지역발전에 기여한다는 인식이 높은 봉사자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자원봉사 활동 참여동기가 높은 자원봉사자는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원봉사자들의 대인관계가 원만할수록 봉사활동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봉사활동 참여동기와 대인관계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향후 자원봉사자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개선정책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과 사회성 및 도덕성에 관한 연구 (Volunteer activity, sociality, and morality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 이혜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927-933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oluntary activity, sociality, and morality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563 dental hygiene students in Jeonbuk from May 20 to June 20, 2013.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volunteer activity, sociality, and morality. The instrument of sociality was adapted from Kim and reconstructed. Sociality was scored by Likert 5 scale and consisted of autonomy(4 questions), assiduousness(4 questions), sociability(4 questions), stability(4 questions), and leadership(4 questions). Cronbach alpha was 0.655 in the study. Morality instrument was adapted from Kim and Cho and reconstructed. The instrument was score by Likert 5 scale. Morality consisted of altruistic(8 questions) and social responsibility(8 questions). Cronbach alpha was 0.786 in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program for descriptiv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P value was set at p>0.05. Results: Among the dental hygiene students, 50.4% participated in the volunteer activity. 22% of the students tended to help oth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volunteer activity, sociality, and morality. Conclusions: The volunteer activity experience and soci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articipation in helping others. Sharing with help is the most important attitude toward the positive thinking and the right way of living. So the professors and students must try to share knowledge and volunteering mind in clinical practice for the patients.

가족자원봉사 프로그램개발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새싹으로 나누는 사랑, 함께하는 기쁨" 프로그램과 참여자를 중심으로 (Study in Development and Satisfaction of the Family Volunteer Activity Program: Focused on "Sharing Love and Joy with Growing Sprouts" Program and the Participants)

  • 김혜령;정민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51-6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field programs to activate family volunteering and thereby promote healthy family life. The programs were based on a review of family ecological theories of family volunteering activities.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about satisfaction of the program with five volunteers who were experiencing the same family life cycle. The results of study showed that growing sprouts, which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activities in family, and family volunteer activities lead to family leisure, table, community sharing cultures and cooperation culture between the family and the community. These effects can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 healthy family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