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4.576

Fieldworkers' Perceptions of the Policies and the Strategies for Promoting Elderly Volunteering Actions and the Exploring Alternatives in the Volunteering Work: Focused on Elderly-barrier and Practical Suggestions  

Lee, Hyen-Joo (한림성심대학교 사회복지과)
Song, Min-Kyoung (경기대학교 공공안전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As a 'Senior Citizen' by applying an active theory based on a role model, elderly volunteers may seek to impart health to the local communities through volunteer activities. In addition, the strategies for promoting the elderly participation volunteering actions may apply with the lifelong education/learning model for citizenship development, which intends to expand the elder volunteer activity participants and the areas of volunteering actions.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find out how volunteering fieldworkers experience and perceive volunteer-promoting strategies for senior volunteers drawn from previous literatures and studies on promoting elderly volunteer action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2 fieldworkers who worked senior-welfare centers and volunteer centers in Seoul and Kyeong-gi area. We used the directed-content analysis, which categorized 12 themes/categories commonly mentioned from previous literatures and studies. Within these categories, the analysis was made to derive issues and improve promoting strategies specified from the interviewees. The outcomes of the study included the insights regarding what promoting-strategies might be necessary to enrich existing senior volunteer actions. The study highlighted not only reviews volunteer fieldworkers' current experiences with senior volunteers but also barrier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continuous advances of senior volunteer programs and strategies.
Keywords
Promoting Senior Volunteering; Directed-Content Analysis; Volunteering Fieldworker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G. Barrow and S. Hillier, Aging, the individual and society, MN: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2015.
2 박태영, "노인자원봉사 활동의 활성화 방안," 사회복지개발연구, 제5권, 제2호, pp.267-288, 1999.
3 이은자, 최유미, "사회참여(social participation)로서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노인자원봉사자의 주관적 인식연구: Q방법론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8권, 제2호, pp.143-173, 2016.
4 김창래, "노인자원봉사현황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경영연구, 제4권, 제1호, pp.125-153, 2017.
5 W. J. Potter and D. Levine-Donerstein, "Rethinking validity and reliability in content analysis," Journal of Applied Communication Research, Vol.27, No.3, pp.258-284, 1999.   DOI
6 K. Charmaz,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Thousand Oaks, London: SAGE Publication, 2006.
7 고양곤, 김동배, 임춘식, 모선희, 원영희, 이금룡, 박준기, "노인자원봉사활동 활성화 방안," 한국노년학, 제21권, 제1호, pp.147-166, 2001.
8 정경희, 오영희, 강은나, 김경래, 이윤경, 오미애, 황남희, 김세진, 이선희, 이석구, 홍송이,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9 이현숙, "행복한 노년을 위한 사회참여활동 프로그램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2권, 제3호, pp.317-332, 2017.
10 나용선, "자원봉사와 노인일자리사업의 역할정립을 통한 활성화 방안," 임상사회사업연구, 제1권, 제1호, pp.121-132, 2004.
11 이금룡, "한국 노인자원봉사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 한국노년학연구, 제26권, 제1호, pp.37-45, 2017.
12 이소정, "노인의 사회적 역할 유형과 삶의 만족," 한국사회정책, 제20권, 제4호, pp.9-35, 2013.   DOI
13 민복기, "고령화 사회의 노인자원봉사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하남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지원학회, 제2권, 제2호, pp.165-200, 2006.
14 전용호, "베이비부머 자원봉사자의 활용경험에 대한 연구: 자원봉사센터와 시민단체 실무자의 관점에서," 노인복지연구, 제71권, 제4호, pp.243-266, 2016.
15 지은정, 금현섭, 하세윤, 고령화사회 노인의 사회참여 활성화 방안: 노인일자리사업과 자원봉사를 중심으로,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2.
16 심미영, 정정숙, 염동문, "여성노인의 자원봉사참여활성화에 관한 연구," 학국가정과학회지, 제7권, 제2호, pp.115-126, 2004.
17 권구영, 박공식, "노인 일자리사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제27권, 제3호, pp.527-547, 2007
18 김창래, "한국 자원봉사센터 운영체계 분석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사회질적연구, 제2권, 제1호, pp.65-97, 2018.
19 지은정, "노인 일자리사업과 자원봉사의 잠식관계에 대한 소고," 사회복지연구, 제43권, 제4호, pp.31-61, 2012.
20 서재용,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21 나용선, "자원봉사와 노인일자리사업의 역할 정립을 통한 활성화방안," 임상사회사업연구, 제1권, 제1호, pp.121-132, 2004.
22 이금룡, "한국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 한국노년학연구, 제26권, 제1호, pp.37-45, 2017.
23 임종린, "선배시민 사회참여 및 역할인식 증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선배시민대학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9권, 제4호, pp.1-31, 2017.   DOI
24 정경희, 오영희, 석재은, 도세록, 김찬우, 이윤경, 김희경,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부, 2005.
25 이은자, 최유미, "노인의 주관적 인식 유형에 따른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 사회과학연구, 제28집, 제6호, pp.144-173, 2016.
26 강민영, 김춘경, " 노인의 자원봉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K시 노인종합사회복지관 노인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한국노년학, 제30권, 제4호, pp.1408-1427, 2010.
27 H-J, Hsish and S. E. Shannon, "Three approached to qualitative content anals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Vol.15, No.9, pp.1277-1288, 2005.   DOI
28 통계청. 고령자통계, 2020.
29 임종린, "선배시민 사회참여 및 역할인식 증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선배시민대학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9권, 제4호, pp.1-31, 2017.   DOI
30 N. R. Hooyman and H. A. Kiyak, Social Gerontology: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Boston, M.A.: Pearson Education Inc., 2010.
31 이소정, "노인의 사회적 역할 유형과 삶의 만족," 한국사회정책, 제20권, 제4호, pp.9-35, 2013.   DOI
32 윤종주, "노인과 사회참여: 그 현황과 전망," 한국노년학, 제14집, pp.169-178, 1994.
33 박정은, 원영애, 최은영, 초기노인여성의 사회참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995.
34 이현기, "노인자원봉사활동과 사회자본: 사회자본 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0권, pp.263-290, 2010.
35 최경인, 노년기 사회참여의 변화궤적: 심리사회적 기능과의 관계 및 예측요인, 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36 권중돈, 노인복지론, 학지사, 2016.
37 현다경, 김형모,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참여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7호, pp.264-278. 2016.   DOI
38 조성숙, "지역사회 복지자원 개발을 위한 노인자원봉사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사회과학논총, 제28권, 제1호, pp.307-331, 2009.
39 이현숙, "행복한 노년을 위한 사회참여활동 프로그램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2권, 제3호, pp.317-332, 2017.
40 강용규, "노인 자원봉사활동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지원학회, 제7권, 제1호, pp.1-28, 2012.
41 L. G. Boluton, L. Buys, and J. Loviekitchin, "Leraning and active aging," Educational Gerontology, Vol.32, pp.271-282, 2006.   DOI
42 현다경, 김형모,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참여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7호, pp.264-278, 2016.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