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tis labrusca L.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9초

포도근 열수 추출액 및 약침액이 항산화에 미치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the Root of Vitis labrusca Water and Aqua-acupuncture Solution)

  • 임성철;문진영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6-82
    • /
    • 2006
  • This study was purposed to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effects of water (VLWS) and aqua-acupuncture solution (VLAS) from root of Vitis labrusca. VLWS and VLAS was were assessed to determine the mechanisms of its antioxidant activities. The VLWS and VLAS exhibitde a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of DPPH free radicals. This VLWS-mediated antioxidant activity was similar to that L-ascorbic acid (vitamin C). In addition, the VLWS and VLAS showed dose-dependen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luding superoxide anions and hydroxyl radicals, using different assay systems. The VLWS and VLAS were also found to be strongly inhibited linoleic acid oxidation in a ferric thiocyanate assay (FTC) system. Finally, the VLWS and VLAS significantly prevented Fenton's reagent-induced DNA nicking.

포도근 에탄올 추출물이 Hep G2 세포의 자연사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 of Vitis labrusca Root on Apoptosis in Hep G2 Cells)

  • 이동교;이강파;김혁;최병진;장해룡;박원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77-384
    • /
    • 2008
  • The root of Vitis labrusca, is used as a source of health promoting drug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It has been reported that root of Vitis labrusca has antioxidant, anti lipid peroxidation and anti-reactive nitrogen species (RNS) activit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molecular changes of apoptotic signaling pathways in phorbol 12-myristate 13 acetate (PMA)-induced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 line (Hep G2). The root of Vitis labrusca, ethanol extract (RVLEE) was tested for cell viability on Hep G2 cell using the MTT assay. RVLEE exhibited weak cytotoxic activity. However, treatment of Hep G2 cells with RVLEE suppressed PMA-induced cell proliferation. Also, dramatic changes of cell death signals in cellular molecules such as Chk2/Cds1, CIDE-B, CLIMP-63, Bax, Bcl-xL, C-myc, Bcl-2, Bric-5, NIP-3, TRAF2 and BAR but not CIDE-B and DR4. Futhermore, our results showed that the treatment of Hep G2 cells with 25 and $50\; {\mu}g/ml$ of RVLEE suppressed PMA-induced COX-2 gene activity. These data suggest that RVLEE have inhibitory effect of cell proliferation, induction of apoptosis and, thus, may offer therapeutic potential in Hep G2.

적포도주들의 발효와 후발효 중 물리화학적 성질과 항산화활성의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Red Wines during Fermentation and Post-fermentation)

  • 노재덕;이대형;황용수;이상한;이종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7-7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고품질의 새로운 적포도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거봉, 켐벨 어리, 마스캇 베리 A와 세레단 포도 품종들을 이용하여 4종류의 적포도주들을 제조한 후 이들의 발효와 후발효중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항산화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4종류의 적포도주들의 에탄을 함량은 발효기간이나 품종간에 큰 차이없이 11.412.8%를 보였고, 생리활성물질로 알려진 총 안토시아닌과 페놀함량은 켐벨 어리 적포도주에서 가장 높았다. 항산화활성은 켐벨 어리 적포도주에서 발효 10일 후 88.9%로 제일 높았고 다른 포도주에서는 36.661.7%의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이들 항산화활성은 후발효 120일 후에는 33.164.1%까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요약해볼 때 켐벨 어리 적포도주가 높은 항산화활성과 좋은 기호도를 보여 새로운 가능성 적포도주로 기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전자선 조사한 캠벨얼리 포도(Vitis labrusca L.)의 휘발성 유기성분 변화 (Effect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Vitis labrusca L.)

  • 심성례;노기미;김경수;송기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51-159
    • /
    • 2010
  • 전자선 조사에 따른 캠벨얼리 포도의 휘발성 유기성분의 조성과 저장 후(0, 30일)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캠벨얼리 포도에 0.25, 0.5, 0.75 및 1 kGy의 선량으로 전자선 조사한 후 SDE 방법으로 휘발성 유기성분을 추출하고 GC/MS로 분석하였다. 포도와 전자선 조사된 포도의 주요 화합물로는 butanol, hexanal, [E]-2-hexenal, hexanol, 3-methyl-butanol 등이 동정되었으며 전자선 조사에 따른 전체적인 휘발성 유기성분의 조성은 변화가 없었고 정량적인 변화만 관찰되었다. $4^{\circ}C$에서 30일 동안 저장된 포도에서는 대부분의 화합물의 함량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추숙의 영향으로 일부 ester 류 및 aldehyde 류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일부 화합물의 감소와 증가는 조사선량과 관계없이 불규칙적인 양상을 나타내어 전자선 조사가 저장된 포도의 휘발성 유기성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전자선 조사된 포도의 휘발성 유기성분은 1 kGy 이하 선량의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나 위생화 처리 방안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실험 방법을 통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포도 주요 품종간 노균병 저항성 검정 (Downy Mildew Resistance of Grape Cultivars (Vitis spp.) under Greenhouse and Field Condition)

  • 윤해근;박교선;노정호;정상복;김휘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1호
    • /
    • pp.54-59
    • /
    • 2001
  • 포도 노균병 저항성 품종육성에 필요한 포도 품종간 저항성 검정체계를 확립하고 품종간의 저항성을 비교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포도 노균병에 대한 품종간 저항성 검정에는 $10^4-10^5spores/mL$의 포자현탁액을 분무접종하여도 큰 차이는 없었으나 $5{\times}10^4spores/mL$로 조절된 포자현탁액을 분무접종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포도 노균병균을 온실에서 분무접종한 결과 Campbell Early, Niagara 등의 품종은 저항성, Sheridan, 청수(淸水) 등의 품종은 중도저항성, Kaiji, Red Queen, Ruby Okuyama 등의 품종은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포장에서의 저항성은 V. vinifera에 속하는 포도 품종이 V. vinifera-labrusca hybrids, V. vinifera-labrusca-aestivalis hybrids, V. vinifera-labrusca-aestivalis에 V. riparia, V. rupestris, V. lincecumii 등이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추가된 hybrids에 비해 감수성이었으며, 특히 V. vinifera-labrusca hybrid에서는 4배체 품종이 2배체 품종에 비해 감수성이었다. 온실 내에서 병원균 포자의 분무접종을 통한 품종간 저항성 검정 결과와 포장상태에서의 저항성 결과는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므로 온실 내에서의 저항성 검정방법이 포도 노균병 저항성 검정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포도 (Vitis labrusca L.)의 직접 재분화 방법을 이용한 식물체 재분화와 형질전환 (Plant regeneration and transformation of grape (Vitis labrusca L.) via direct regeneration method)

  • 김세희;신일섭;조강희;김대현;김현란;김정희;임선형;김기옥;이향분;도경란;황해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0권4호
    • /
    • pp.210-216
    • /
    • 2013
  • 포도(Vitis labrusca L.)와 같은 영양번식 작물에서 성공적인 유전자 도입을 위해서는 효율적인 재분화 방법과 형질전환 체계 구축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식물생장조절물질에 따른 두 가지 종류의 배지를 사용해서 포도의 신초 재분화 체계를 구축하였다. IBA 0.1 mg/L와 TDZ 2 mg/L, IBA 0.1 mg/L와 TDZ 2 mg/L의 조합에 Linsmaier and Skoog(LS) vitamin을 따로 첨가한 Murashige and Skoog (MS) 배지에서 '캠벨얼리', '탐나라', '흑구슬', '흑보석'의 재분화율을 조사하였더니 IBA 0.1 mg/L와 TDZ 2 mg/L를 첨가한 배지에서 '캠벨얼리'의 재분화율이 5%로 나왔다. '캠벨얼리'와 공동배양한 Agrobacterium strain은 CaMV 35S promoter와 GUS reporter 유전자, kanamycin에 저항성을 갖는 유전자가 있는 PBI121 vector가 도입된 LBA 4404와 안토시아닌 생합성을 조절하는 유전자로 알려진 mPAP1D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pB7WG2D vector 가 도입된 GV3101이다. 포도와 같은 과수에서 형질전환체를 선발하는 방법으로 항생제 및 제초제 저항성을 대신할 수 있는 방법은 분자육종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mPAP1D유전자가 도입된 '캠벨얼리'의 재분화된 신초는 붉은색으로 쉽게 식별이 될 수 있는데 이는 안토시아닌의 축적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 '캠벨얼리'의 형질전환 효율 향상에 있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전해산성수에 의한 저장기체살균이 포도의 품질특성과 부패균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tmosphere Sterilization Using Acidic Electrolyzed Water on Storage Quality and Microbial Growth in Grapes)

  • 김성환;정헌식;이주백;강준수;정신교;최종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49-554
    • /
    • 2003
  • 산성 전해수를 이용하여 포도(Vitis labrusca L.)의 저장 안정성을 향상 시킬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Campbell Early와 Sheridan 포도를 저장고 내부기체를 산성 전해수에 통과시켜 살균시키는 $0^{\circ}C$ 조건에서 저장하면서 환경기체의 살균처리가 포도의 품질특성과 미생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저장환경기체의 살균처리는 포도 품종에 따른 차이가 없이 객관적 품질특성인 가용성 고형물, 적정산도, 가용성 탄닌, 안토시아닌, 에탄올 및 아세트 알데하이드 등의 함량 변화와 관능적 품질특성인 color, aroma, texture, juiciness 및 sweetness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저장기체의 살균처리는 포도 품종에 약간 의존적이긴 하지만 곰팡이를 포함하는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산성 전해수에 의한 저장환경기체의 살균처리는 포도의 품질에는 해가 없으면서 부패를 억제시켜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판단된다.

High Level of Trans-Resveratrol, a Natural Anti-Cancer Agent, Found in Korean Noul Red Wine

  • KIM, KWANG-SEOK;SA-YOUL GHIM;YOUNG-BAE SEU;BANG-HO S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5호
    • /
    • pp.691-693
    • /
    • 1999
  • Resveratrol (trans-3,5,4'-trihydroxystilbene), a phenolic substance present in both grapes and wines, has been reported to have certain pharmacological effects. Using an ethylacetate-phase extraction followed by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analysis, the concentration of trans-resveratrol was measured in 9 red wines commercially available in Korea, including the Korean red wine (Noul). Noul red wine with a 1998 vintage had a trans-resveratrol concentration of 3.3 ㎎/l, which was rather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s found in other wines (0.19-2.45 ㎎/l) with the exception of the French wine, J. P. Chenet (3.39 ㎎/l). In addition, the grapes of Vitis labrusca cv. Sheridan cultivated in the Kyungsan area showed a trans-resveratrol content of 6.4 ㎎/㎏.

  • PDF

노지 포도재배에서 토양검정시비량을 이용한 질소관비가 수체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Fertigation by Soil Testing on the Growth and Yield of 'Campbell Early'(Vitis labrusca L.) Grapevine in Field Cultivation)

  • 강석범;이인복;임태준;박진면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19
    • /
    • 2010
  • 노지 캠벨얼리(Vitis labrusca L.) 포도원에서 관비재배시 토양검정시비량을 이용한 질소관비가 수체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년간 사양토 노지 포도원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처리를 위해 먼저 토양검정을 통한 질소시비량(195 kg/ha)을 산출 후 질소시비량의 50%(97.5 kg/ha)는 기비로 모든 처리구에 시용 후 나머지 추비 시용량에 대해 표층 시비구는 농가 관행대로 질소를 생육기간 중에 나눠서 추비 (N, 97.5 kg/ha)하였으며, 관비 처리구는 기존 과원에 시설되어있는 점적관수라인을 이용하여 추비 시용량의 25%(N 25 mg/L, 24.4kg/ha)를 공급한 N 1/4, 50%(N 50 mg/L, 48.8 kg/ha)를 공급한 N 1/2, 추비 시용량 100%(N 100 mg/L, 97.5kg/ha)를 전량 관비로 공급한 N1 처리 등 4처리를 난괴법 3반복으로 배치하여 포도 눈이 발아 후부터 수확 1개월 전까지 12주 동안 주 2회 (관비량 2.1 mm/ 회) 관비 처리를 하였다. 질소 이외의 인산과 칼리에 대해서는 관행적인 방법으로 인산은 전량 기비로 시용하였고 칼리는 기추비로 나눠 관행적으로 시험기간 중 분시 하였다. 시험기간 중 질소 관비량이많아짐에 따라 엽내 질소함량과 SPAD 지수 값은 높아졌다. 질소관비에 따른 신초의 생육은 처리 간 유의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표층시비구 대비 N 1/2처 리구에서 신초장과 엽수의 생육이 좋았으며 신초의 경경은 관리비처리구에서 전체작으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과실의 수량은 해마다 처리 간 차이가 있었으나 검정시비량의 N 1/4 (25 mg/L)처리구가 '05년과 '06년에 관행구보다 유의하게 수량이 많았으며 3년간의 평균수량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않았지만 표층시비구 대비 N 1/4 관비구가 수량에 있어서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과실 품질에 있어서는 처리 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으며질소 관비량이 많았던 N1 처리구에서착색이 지연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살펴보았을 때 노지 캠벨열리 포도 관비재배시 먼저 토양검정시비를 통한 기비 시용 후 추비에 대해서 질소 시용량의25%를 N 25 mg/L의 농도로 질소관비 한다면 질소시비량도 줄이고 양호한 수량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온 재배 시 '피오네' 포도(Vitis vinifera × V. labrusca)의 엽과비에 따른 과실 특성 (Fruit Characteristics Based on Leaf to Fruit Ratio in 'Pione' Grapevine (Vitis vinifera × V. labrusca) during Cultivation with Heating)

  • 윤석규;박서준;정성민;김정배;윤익구;남은영;유덕준;이희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7-62
    • /
    • 2014
  • BACKGROUND: Defoliation in grapevine cultivation is practically used to improve light environment within the canopy and thereby fruit quality. Effects of defoliation in five-year-old 'Pione' grapevine during cultivation with heating were investigated to find out optimum ratio of leaf area to fruit cluster weight (L/F). METHODS AND RESULTS: The grapevines were defoliated with berry-thinning 20 days after full bloom to provide various levels of L/F. At harvest, total leaf area values of fruit bearing branches were between 0.23 and $0.60m^2$. With increasing L/F, soluble solids and anthocyanin contents curvilinearly increased ($R^2=0.76^{**}$). At L/F over $0.6m^2/kg$, soluble solids content (SSC) leveled off. With increasing L/F, titratable acidity (TA) linearly decreased ($R^2=0.87^{**}$), but the ratio of SSC to TA linearly increased ($R^2=0.86^{**}$). Anthocyanin conten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SC and the ratio of SSC to TA ($R^2=0.80^{**}$ and $0.82^{**}$, respectively). When total leaf area per fruit bearing branch was maintained $0.40m^2$, soluble solids and anthocyanin contents linearly decreased ($R^2=0.79^{**}$ and $0.85^{**}$, respectively), but TA linearly increased with increasing fruit cluster weight ($R^2=0.70^{**}$). Fruit was low in quality when the L/F was below $0.6m^2/kg$. CONCLUSION: L/F is recommended to be maintained at least $0.6m^2/kg$ in 'Pione' grapevine during cultivation with heating to produce higher-quality fru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