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tamin $B_6$ intake

검색결과 384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 일부 성인의 연령별 식사 다양성 비교 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f Meal Variety in Korean Adults by Age Groups)

  • 배윤정;전예숙;최윤희;최미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87-39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nutritional meal variety of self-selected diet in Korean adults with different age groups. Subjects were recruited and divided inf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age, which included 20$\sim$49 yrs group(n=129), 50$\sim$64 yrs group(n=134), and $\geq$65 yrs group(n핀8). Subjects were interviewed using a general questionnaire and 24-hour recall method for dietary intake.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ere 40.8 years for 20$\sim$49 yrs group, 57.1 years for 50$\sim$64 yrs group, and 70.7 years for $\geq$65 yrs group. The daily food, energy and nutrient intakes ere decreased with increment of age. The intakes of vitamin B2, folate, vitamin C, and calcium were under the 75% of RIs, respectively. The numbers of food items in diet of 20$\sim$49 yrs group, 50$\sim$64 yrs group and $\geq$65 yrs group were 14.2, 17.0, 13.2 for breakfast, 16.3, 15.4, 13.5 for lunch, 13.1, 15.1, 13.9 for dinner, respectively. And the numbers of dish items in these groups were 4.0, 4.6, 3.8 for breakfast, 4.4, 4.2, 3.9 for lunch, 4.0, 4.0, 3.6 for dinner, respectively. The KDDS of 20$\sim$49 yrs group, 50$\sim$64 yrs group and $\geq$65 yrs group were 3.9, 3.6 and 3.4 respectively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p<0.001).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could be suggested aged group take a undesirable meal in the right of insufficient nutrient intake to DRIs and lower food and dish items, and therefore showing a strong need of proper dietary management for them.

  • PDF

인터넷 영양교육 참여 대학생의 질병유무에 따른 식행동, 식이섭취 및 인터넷 사용에 관한 연구 (The Dietary Behavior, Dietary Intakes and Internet Searches Reagarding by Disease in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a Nutrition Education Web Class)

  • 유혜은;성현이;곽진오;장경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696-70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behavior, dietary intakes and internet searches regarding diseas by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a nutrition education web class. The study subject were 1184 college students and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deal with anthropometric data, diseas, dietary behaviors, dietary intakes, and the use of nutrition information via the internet.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 SPSS PC program. Disease group was 19.6% (male: 17.1%, female: 21.9%) and non-disease group was 80.4% (male: 82.9%, female: 78.1%) of subjects. As for the kinds of diseas, the male disease group had stomach diseas (15.7%), ozena (15.7%), hepatitis (10.8%) and allergic disease (7.8%), etc, and the female disease group had stomach diseas (32.8%), allergic diseas (12.0%), bronchitis and bronchial asthma (10.4%), anemia (7.2%), and constipation (1.6%), etc. Non-diseas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rregularity of meal time compared to disease group. Also, Diseas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ncern about nutrition and health, worse recognition of theirown nutrition and health satus, and made greater efforts to prevention diseas compared to the non-diseas group. In the male subjects, the average intake of Calories, Vitamin $B_2$ and calcium was lower than the Korean RDA and in the female subjects, those of Calories, calcium and Fe were lower than the Korean RDA. Most of the diseas (97%) and the non-disease (98.2%) groups had positive attituds toward the usefulness of internet nutrition information. The disease group showed a higher confidence in the internet nutrition information and recognition of internet information on poisons compared to the non-diseas group. However,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ientifically proven nutrition of information via the internet for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promote healthful lifestyles and to prevent diseas.

성인여성의 체지방률에 따른 영양소섭취, 렙틴, 아디포넥틴, 코티졸 및 인슐린농도 (Nutrient Intake, the Concentrations of Leptin, Adiponectin, Cotisol & Insulin by the Body Fat Content of Women)

  • 이순례;배현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714-723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nutrient intakes, serum hormones (leptin, adiponectin, insulin), salivary cortisol and ${\alpha}$-amylase of middle-aged women by the percentage of body fat (% fat). Subjects were assigned to 3 groups by body fat (%) group I (27.5%), group II (32.5%), group III (37.7%). WHR of group II (0.97)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f group I, III (0.95) (p < 0.05). Nutrient intakes were not different among 3 groups. Serum leptin levels of group III ($16.53{\mu}g/ml$) were higher than in group I ($10.07{\mu}g/ml$), group II ($12.24{\mu}g/ml$) (p < 0.05). Salivary cortisol levels of group II ($0.39{\mu}g/dl$) were higher than in group I ($0.17{\mu}g/dl$) and group III ($0.15{\mu}g/dl$) (p < 0.05). Adiponectin concentration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AS (r = -0.29)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HDL cholesterol (r = 0.27). Insulin level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otal cholesterol (r = -0.33), Zn intake (r = -0.31)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WHR (r = 0.31). The overall anthropometric indices showed positive relations with leptin levels. Salivary cortisol levels were positively corelated with WHR (r = 0.28), total cholesterol (r = 0.31), MDA (r = 0.29) and intakes of SFA (r = 0.35) and MUFA (r = 0.3). Salivary amylase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overall nutrient intakes (energy, CHO, fat, cholesterol. Fe, SFA, MUFA, Zn, Na, vitamin $B_2$, r = 0.24-0.5)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HDL cholesterol (r = -0.34).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1) WHR would be a helpful index in the assessment of metabolic risk diseases. 2) Understanding of individual stress exposure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strategie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부산지역 대학생들의 식습관 및 식이섭취 실태에 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Food Habits and Dietary Intakes of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rea)

  • 강희정;강희정;조경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0-82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ood habits and dietary intakes of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reas. The survey was carried out by self-questionnaires with 130 male and 156 female student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ellows. 1. 95.3% of male and 76.4% of female students answered they are moderate or healthy. The rates of alcohol drinking in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94.5% and 81.0% and the rates of smoking were 73.2% and 2.0% respectively 34.6% of male and 56.9% of female students didn't regular exercise. 2. 21.3% of male and 10.5% of femal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body image and 74.3% of female students wanted thinner figure. Male students attempted to weight control by exercise and females did by exercise and fasting. 3. The average BMI of students were 22.60 in males and 19.53 in females respectively and 78.0%, of female students were underweight. 4. Breakfast was skipped in 79.5%, of male and 83.7% of female students and it appeared male students eat faster than female students. 5 Male students preferred beverage and noodles and females preferred bread, biscuit, snack and beverage as snack food and female students had a higher tendency to enjoy snack time. The frequency of eating out was higher in female students and the standard of food choice was preference > price > convenience > nutritional value. The favorite dishes were meats > poultry > fruits > fishes, cereals, noodles in male and fruits > meats > cereals > poultry > noodles > fishes in female students. 6. The average energy intake were 1715.70kca1 in male and 1588.71kcal in female students respectively and the intakes of Ca, vitamin A and B2 were lower than RDA in male and female students.

고혈압 환자와 정상인의 이소플라본 섭취와 혈중 지질상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Isoflavone Intakes and Blood Lipids between Hypertensive and Normotensive)

  • 최미경;전예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71-278
    • /
    • 2006
  • It has been suggested that isoflavones protect the cardiovascular system, in part by attenuating blood pressu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compare the isoflavone intake and blood lipids between hypertensive and normotensive and to examine dietary management for prevention of hypertension. Anthropometrical measurements, blood pressures, nutrients and isoflavone intakes using the 24-hour recall method, and serum lipids of 81 hypertensives and 77 normotensives were estimated. The average age, height, weight, and BMI were 58.2 years, l58.5 cm, 64.3 kg, and $25.6kg/m^2$ for the hypertensive and 58.0 years, 159.4 cm, 63.0 kg, and $24.8kg/m^2$ for the normotensive, respectively.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of the hypertensiv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ormotensive (p<0.001, p<0.001). The daily food intake of the hypertensiv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ormotensive (p<0.01). The daily energy intakes of hypertensive and normotesive were 1479.8 kcal and 1590.9 kcal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arbohydrate intake of the hypertensiv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rmotensive (p<0.05). However, daily intakes of plant protein, fiber, ash, calcium, sodium, potassium, and vitamin $B_1$ of the hypertensiv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normotensive (p<0.05, p<0.01, p<0.01, p<0.01, p<0.05, p<0.05, p<0.05). The daily intakes of daidzein, genistein, isoflavone of the hypertensiv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normotensive (p<0.05, p<0.05, p<0.05). However, isoflavone intakes per 1000 kcal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erum lipids of the hypertensive and normotensive were l89.6 mg/dL and l87.2 mg/dL for total cholesterol, 157.3 mg/dL and 161.9 mg/dL for triglyceride, 42.9 mg/dL and 43.5 mg/dL for HDL-cholesterol, 115.2 mg/dL and 111.4 mg/dL for LDL-cholesterol, and 3.5 and 3.4 for atherogenic index. In the total subjects, there was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ystolic blood pressure and genistein intake (p<0.05).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daily intakes of food, energy, and isoflavones of hypertensives were lower than normotensives. Therefore,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proper dietary management considering these dietary factors for prevention of hypertension.

학영기전아동(學齡期前兒童)의 영양실태조사(營養實態調査) (A Survey of Nutritional Status on Pre-School Children in Korea)

  • 주진순;오승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9권2호
    • /
    • pp.68-86
    • /
    • 1976
  • 1. 식품(食品) 섭취(攝取) 상태(狀態) 각(各) 지역별(地域別) 남녀(男女) 아동(兒童)의 전(全) 연령(年齡)을 통(通)한 1차(次) 및 2차(次) 조사(調査)의 1일(日) 1인당(人當) 평균(平均) 식품(食品) 섭취(攝取) 상태(狀態)는 다음과 같다. 1) 양구지역(楊口地域)의 아동(兒童)의 총(總) 식품(食品) 섭취량(攝取量)은 $508.1g{\sim}647.1g$ 범위(範圍)로서 이중(中) 식물성식품(植物性食品) 및 동물성식품(動物性食品)의 섭취비율(攝取比率)은 각각(各各) $83.0{\sim}91.3%$% 및 $5.5{\sim}11.7%$범위(範圍) 이었다. 2) 여주지역(麗州地域) 아동(兒童)의 총식품(總食品) 섭취량(攝取量)은 $586.6g{\sim}697.9g$ 범위(範圍)로서 이중(中) 식물성식품(植物性食品) 및 동물성식품(動物性食品)의 섭취비율(攝取比率)은 각각(各各) $88.2{\sim}89.0%$$6.3{\sim}7.6%$ 범위(範圍) 이었다. 2. 영양소(營養素) 섭취(攝取) 상태(狀態) 각(各) 지역별(地域別) 남녀(男女) 아동(兒童)의 전(全) 연령(年齡)을 통(通)한 1차(次) 및 2차(次) 조사(調査)의 1일(日) 1인당(人當) 평균(平均) 각(各) 영양소(營養素)의 섭취(攝取) 상태(狀態)는 다음과 같다. 1) 열량(熱量) 섭취량(攝取量)은 권장량 1500 kcal에 비(比)하여 양구지역(楊口地域) 아동(兒童)이 $1120{\sim}1415kcal$ 범위(範圍)이었고 여주지역(麗州地域) 아동(兒童)이 $1407{\sim}1556kcal$ 범위(範國)이었다. 2) 단백질(蛋白質) 섭취량(攝取量)은 권장량 45g 에 비(比)하여 양구지역(楊口地域) 아동(兒童)이 $33.1{\sim}42.6g$ 범위(範圍)이었고 여주지역(麗州地域) 아동(兒童)이 $35.5{\sim}42.6g$ 범위(範圍)이었다. 그러나 이들 단백질(蛋白質) 섭취량중(攝取量中) $5.5{\sim}11.7%$만이 동물성(動物性) 단백질(蛋白質) 이였다. 3) 지방(脂肪) 섭취량(攝取量)은 권장량 20g 에 비(比)하며 양구지역(楊口地域) 아동(兒童)이 $13.9{\sim}24.3g$ 범위(範圍)이었고 여주지역(麗州池域) 아동(兒童)이 $10.4{\sim}12.1g$ 범위(範圍)이었다. 4) 당질(糖質) 섭취량(攝取量)은 양구(楊口) 및 여주지역아동(麗州地域兒童) 각각(各各) 총열량(總熱量) 섭취량(攝取量) 의 $70.6{\sim}83.8%$ 범위(範圍)를 차지 하였다. 5) 칼슘 섭취량(攝取量)은 권장량 500 mg 에 비(比)하여 양구지역(楊口地域) 아동(兒童)이 $282.4{\sim}355.0mg$이었고 여주지역(麗州地域) 아동(兒童)이 $284.6{\sim}429.0mg$ 이었다. 6) 철(鐵) 섭취량(攝取量)은 권장량 10mg에 비(比)하여 양구지역(楊口地域) 아동(兒童)이 $6.0{\sim}12.1mg$ 범위(範圍)이었고 여주지역(麗州地域) 아동(兒童)이 $6.4{\sim}16.7mg$ 범위(範圍)로 상당수의 아동(兒童)이 권장량에 미달(未達) 되었다. 7) 비터민 A 섭취량(攝取量)은 양구지역(楊口地域)이 $703.4{\sim}1495.6\;IU$ 범위(範圍)이었고 여주지역(麗州地域) 아동(兒童)이 $750.5{\sim}1521.2\;IU$ 범위(範圍)로서 ${\beta}-carotene$으로서의 권장량 5100 I.U,에 비(比)하여 매우 부족되었다. 8) 비타민 $B_1$ 섭취량(攝取量)은 권장량 0.8mg에 비(比)하여 양구지역(楊口地域) 아동(兒童)이 $0.6{\sim}0.8mg$ 범위(範圍)이었고 여주지역(麗州地域) 아동(兒童)이 $1.0{\sim}1.3mg$ 범위(範圍)이었다. 9) 비타민 $B_2$ 섭취량(攝取量) 0.9mg에 비(比)하여 양구지역(楊口地域) 아동(兒童)이 $0.4{\sim}0.7mg$ 범위(範圍) 이었고 여주지역(麗州地域) 아동(兒童)이 $0.8{\sim}1.0mg$ 범위(範圍)이었다. 10) 비타민 C 섭취량(攝取量)은 권장량 40mg에 비(比)하여 양구지역(楊口地域) 아동(兒童)이 $17.6{\sim}37.0mg$ 범위(範圍)이었고 여주지역(麗州地域) 아동(兒童)이 $43.3{\sim}58.0mg$ 범위(範圍)이었다. 11) 나이아신 섭취량(攝取量)은 권장량 10mg에 비(比)하여 양구지역(楊口地域) 아동(兒童)이 $9.3{\sim}15.2mg$ 범위(範圍)이었고 여주지역(麗州地域) 아동(兒童)이 $10.8{\sim}16.9mg$ 범위(範圍)이었다. 3. 체위(體位) 1) 신장(身長) : 양구지역(楊口地域) 남자아동(男子兒童)은 4세(歲) 및 5세(歲)에서 표준치(標準値)보다 다소(多少) 작았고 6세(歲)는 컸는데 여자아동(女子兒童)은 각(各) 연령별(年齡別) 모두 표준치(標準値) 보다컸다. 이에 비(比)하여 여주지역(麗州地域) 남자아동(男子兒童)은 각(各) 연령별(年齡別) 표준치(標準値)에 비(比)하여 컸으나 여자아동(女子兒童)은 5세(歲)에 다소(多少) 작았다. 2) 체중(體重) : 양구지역(楊口地域) 남자아동(男子兒童)은 4세(歲) 및 5세(歲)에서 표준치(標準値)보다 다소(多少) 미달(未達) 되었으나 6세(歲)는 높았는데 여자아동(女子兒童)은 각(各) 연령별(年齡別) 모두 표준치(標準値)와 비슷하였다. 이에 비(比)하며 여주지역(麗州地域) 남자(男子) 아동(兒童)은 각(各) 연령별(年齡別) 표준치(標準値)와 비슷 하거나 다소(多少) 높았으나 여자(女子) 아동(兒童)은 다소(多少) 낮았다. 3) 상완위(上腕圍) : 남녀(男女) 아동(兒童)의 전(全) 연령(年齡)을 통(通)하여 1차(次) 및 2차조사(次調査) 성적(成績)은 양구지역(楊口地域) 아동(兒童)이 $15.1cm{\sim}16.8cm$ 범위(範圍)이었고 여주지역(麗州地域) 아동(兒童)이 $15.6cm{\sim}16.6cm$ 범위(範圍) 이었다. 4) 흉위(胸圍) : 양구지역(楊口地域) 남녀(男子) 아동(兒童)은 각(各) 연령별(年齡別) 표준치(標準催)와 큰 차이(差異) 없었는데 여자(女子) 아동(兒童)은 다소(多少) 낮았다. 5) 좌고(座高) : 남자(男子) 아동(兒童)의 전(全) 연령(年齡)을 통(通)하여 양구지역(楊口地域) 아동(兒童)은 $54.2cm{\sim}61.8cm$ 범위(範圍)이었고 여주지역(麗州地域) 아동(兒童)은 $54.8cm{\sim}61.1cm$ 범위(範圍)이었다. 4. 임상증상(臨床症狀) 1) 양구지역(楊口地域) : 남자(男子) 아동(兒童)은 구각염이 약(約) 30% 충치가 약(約) 20%이었으며 여자(女子) 아동(兒童)은 전(全) 대상자(對象者) 31명중(名中) 1명(名)이 갑상선 비대 이었고 구각염이 약(約) 10%, 충치가 약(約) 20%이었다. 2) 여주지역(麗州地域) : 남자(男子) 아동(兒童)도 구각염이 약(約) 20%, 충치가 약(約) 22%이었으며 여자(女子) 아동(兒童)은 구각염이 약(約) 47%, 충치가 약(約) 20%이었다. 5. 생화학적(生化學的) 검사(檢査) 상태(狀態) 1) Hemoglabin 함량(含量)은 양구(楊口) 및 여주지역(麗州地域)의 전(全) 연령별(年齡別)을 통(通)하여 남자(男子) 아동(兒童)은 $11.0g{\sim}11.6g%$ 범위(範圍)이었고 여자(女子) 아동(兒童)은 $10.3g{\sim}11.5g%$ 범위(範圍)이었다. 2) 빈혈해당치(貧血該當値)를 WHO 가 정(定)한 l1g/100ml 이하(以下)로 보았을때 양구지역(楊口地域)의 남자아동(男子兒童)은 $16.7%{\sim}26.7%$, 여자아동(女子兒童) $33.3{\sim}50.0%$ 및 여주지역(麗州地域)의 남자(男子) 아동(兒童)은 33.3%, 여자(女子) 아동(兒童)은 $73.3%{\sim}100.0%$가 빈혈해당자(貧血該當者)에 속했다. 그러나 빈혈(貧血)의 정도(程度)는 심(深)한 경우는 거의 없고 거의 대부분(大部分)이 경(輕)한 빈혈(貧血)임이 특이(特異)하였다. 3) Hematocrit 치(値)는 전(全) 대상자(對象者)를 통(通)하며 $39.9%{\sim}41.6%$ 범위(範圍)이었다. 4) 혈장단백질(血奬蛋白質) 함량(含量)은 전(全) 대상자(對象者)를 통(通)하여 평균(平均) $6.6{\sim}7.4%$ 범위(範圍)이었는데 ICNND의 결핍해당치(缺乏該當値) 6.0g% 이하(以下)에는 양구지역(楊口地域) 4세(歲) 여자아동(女子兒童) 1명(名) 뿐이었다. 6. 기생충 상태(狀態) 1) 양구지역(楊口地域) : 남자아동(男子兒童)은 회충이 약(約) 62%, 편충이 약(約) 62%이었고 여자(女子) 아동(兒童)은 회충이 약(約) 73%, 편충이 약(約) 60%가 충란이 검출(檢出)되었다.

  • PDF

남성 근로자들의 알코올 섭취에 따른 영양소 섭취상태 연구 (An Investigation of the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the Alcohol Consumption Level in Male Workers)

  • 최선영;강영순;김경업;박미영;김성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69-67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nthropometry, nutrient intakes, dietary - related behaviors and health - related behaviors of male workers that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ir alcohol consumption. The mean height, weight and BMI of all subjects were 172.0$\pm$5.8 cm, 67.8$\pm$9.3 kg and 22.9$\pm$2.6 kg/$m^2$, respectively. The WHR was higher in the heavy drinking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p<0.01), while the other anthropometric indic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The calorie intake was highest(p<0.001) in the heavy drinking group(3,270.4$\pm$686.5 kcal), followed by moderate(2,602.8$\pm$415.8 kcal) drinking group and light drinking group(2,341.5$\pm$449.4 kcal). As alcohol consumption increased, there was a decrease in the percent of energy derived from carbohydrates and lipids, while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percent of energy derived from proteins and alcohol(p<0.001). The heavy and moderate drinking groups had a highers intake of protein compared to the light drinking group, and the heavy drinking group had a higher intake of lipid compared to the light and moderate drinking groups(p<0.01). The intakes of vitamin $B_2$, niacin and phosphorus were lower in the moderate group than the other groups(p<0.01). The average MAR(Mean adequacy ratio) was 1.44$\pm$0.35 and the intake of all nutrients, except for folic acid, was much higher than the Korean RI(Recommended intake). The fruit intake frequency and sleeping hours were the lowest in the heavy drinking group(p<0.05) and the subjects preferred the following order of food products when they drink: meat(42.5%), fish & shellfish(30.0%), fruit & vegetable(22.5%) and others(5.0%) as a side dish. The average rates of smoking and exercise for all the subjects were 77.5% and 67.5%,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heavy alcohol drinkers were more prone to abdominal obesity and related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indicating the need for extensive nutritional education for heavy alcohol drinkers.

대구지역 학교급식 식단에 대한 고등학생의 기호도와 섭취율 (High School Students' Preferences and Food Intake on Menu Items Offered by School Foodservice in Daegu)

  • 김소희;차명화;김유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945-954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메뉴 기호도를 분석하고 학생들의 실제 섭취상태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학교급식 식단 계획 시 유용한 기초 자료로 이용함으로써 학교급식 운영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고 학생들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과 영양섭취의 질을 높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구지역 직영급식을 하는 16개 고등학교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조리형태에 따른 빈도를 분석하면 국류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밥류, 김치류가 비교적 자주 제공되었다. 2) 급식 메뉴에 대한 기호도를 살펴보면, 쌀밥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일품 요리류는 비빔밥과 볶음밥, 국 및 찌개류에서는 수제비만두국과 미역국, 그리고 무침류에서는 과일샐러드나 야채샐러드의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찜류 및 조림류에서도 갈비찜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튀김 구이류의 기호도는 돈가스, 탕수육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볶음류와 찜류, 조림류, 튀김 구이류에서 육류를 재료로 한 음식에 대한 기호도가 야채를 재료로 한 음식보다 전체적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특히 남학생의 육류에 대한 기호도가 여학생보다 높았다. 3) 기호도와 세공빈도를 비교한 결과는 학생들의 음식에 대한 기호도와 실제로 학교에서 급식되는 메뉴의 제공빈도 사이에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호도와 섭취율을 비교한 결과 기호도와 섭취량 사이에는 유의적으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4) 고등학생의 영양소 섭취 함량 분석결과 단백질, 인, 철분, 아연, 비타민 A, 비타민 $B_1$, 비타민 $B_6$, 나이아신, 비타민 C, 비타민 E를 초과섭취하고 있었다. 반면 열량, 칼슘, 비타민 $B_2$, 엽산은 권장량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칼슘의 권장량 대비 섭취율이 남자는 54.93%, 여자는 51.32%로 가장 취약한 섭취를 보였으며, 또한 철분은 월경을 경험하는 여학생들에게 특히 유의해야 하는 영양소임에도 불구하고 여학생의 섭취량이 권장량 대비 90.28%에 그쳐 청소년들의 영양증진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대책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학교급식식단 기호도와 섭취율 사이에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학교급식의 메뉴선정에 있어 기호도가 매우 중요한 원인이 됨을 알 수 있다. 학교급식의 메뉴별 섭취율을 높이고 필요한 영양을 섭취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식단 작성 시 기호도 조사를 통한 대체식품이용, 메뉴개선, 새로운 조리법 개발, 영양교육의 실시와 함께 배식량의 표준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국과 찌개류는 우리 전통식단의 일부로 거의 고정적으로 제공되는 메뉴이기는 하지만 학생들의 기호도가 낮고, 이들 식품의 잔반이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과 식염함유량을 고려해서 식단형태를 재구성할 필요도 있다고 본다. 현재 학교급식을 제공받는 고등학생들의 영양소 섭취량 분석결과 과잉 또는 부족한 영양소가 있었고 특히 칼슘의 실제 섭취는 권장량의 53% 정도의 섭취율을 보여 우유급식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교육하는 등 칼슘섭취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신체계측, 식행동,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영양소 섭취상태에 관한 연구 (Anthropometric Measurement, Dietary Behaviors, Health-relate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Lifestyles of College Students)

  • 정선희;나영주;이은희;장경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560-1570
    • /
    • 2007
  • 본 연구는 2003년에 행해진 연구이나 일반적으로 라이프스타일은 미시적 차원인 특정개인으로부터 거시적 차원인 사회전체에 이르기까지 여러 규모의 차원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이는 개인의 전반적인 활동이나 인식에 영향을 주는 생활양식의 개념으로 여겨지는 점과 다른 선행연구들을 살펴볼 때 일반적으로 10년을 주기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변화를 살펴본 연구들이 많은 점으로 미루어 볼 때 본 연구 결과가 현재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남녀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신체계측, 식행동,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영양섭취실태를 비교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연령은 남학생 평균 23.7세, 여학생 평균 21.6세였다. 남학생의 경우, 체중은 '개방적 유행추구형'군이 64.1 kg으로 다른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여학생의 경우, 신장과 체중은 '성취적 가족추구형'군이 평균 160.9 cm, 50.7 kg으로 '소극적절약 외모지향형'군의 평균 162.7 cm, 52.7 kg과 '개방적 유행추구형'군의 평균 163.1 cm, 53.0 kg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균형 잡힌 식사 여부에 관한 질문에서 "항상 균형 잡힌 식사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적극적 건강추구형'군이 23.3%로 다른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응답율을 보였다. 신용카드로부터 식비 지출금액의 경우 '개방적 유행추구형'군이 월 평균 23.7만원을 사용한데 비해 '비소비 대인관계추구형'군은 월평균 8.5만원을 식비로 지출한다고 응답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건강관련 생활습관과 관련하여 '적극적 건강추구형'군이 다른 군에 비해 운동량은 많은 반면 음주와 흡연은 적게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식의 경우 '소극적절약 외모지향형'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적은 결식율을 보였으나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상관없이 모든 대학생들의 하루 중 3끼 이상 결식하는 경우가 80% 이상으로 나타나 대학생들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영양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체중조절을 하는 이유로는 '비소비 대인관계추구형'의 16.2%가 "건강을 위해서"라고 응답한 반면 '소극적절약 외모지향형'과 '개방적 유행추구형'의 24.8%와 26.3%가 "외모를 위해서"라고 응답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체중조절 방법으로는 대부분이 "약물복용", "운동요법", "비만클리닉" 등의 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영양소 섭취상태는 남학생의 경우 '개방적 유행추구형'군이 '적극적 건강추구형'과 '성취적 가족추구형'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비타민 C의 섭취량을 보였으며 여학생의 경우 '적극적 건강추구형'군이 '성취적 가족추구형'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비타민 $B_2$, 칼슘 및 철분 섭취량을 보였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볼 때 라이프스타일에 관계없이 남녀 대학생 모두 에너지와 칼슘 섭취량이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70%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학생의 경우 철분의 섭취량이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80% 수준으로 매우 낮은 섭취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경제발전과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라 대학생들의 식행동,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영양소 섭취실태도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대학생 시기의 올바른 라이프스타일의 확립 및 영양밀도가 높은 식품섭취를 통해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학교나 지역사회 및 정부차원에서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일단 성립된 바람직하지 않은 라이프스타일은 쉽게 변화하지 않으므로 이론 위주의 영양교육보다는 실제적인 행동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적극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사회 코호트 여성의 요골과 경골에서의 골다공증 유병률과 관련 요인 분석 (Osteoporosis Prevalence of Radius and Tibia and Related Factors Using Multiple Bone Sites Quantitative Ultrasound Measurement of the Korean Health and Genome Study Cohort Women)

  • 박선주;안윤진;민해숙;오경수;박찬;조남한;김규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36-545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osteopenia and osteoporosis prevalence of radius and tibia using Quantitative Ultrasound (QUS) and to identify affecting factors of osteoporosis. A total of 4,340 women aged 40 - 69 years, living in Ansung (rural) and Ansan (mid-sized) area, and free of illnesses affecting bone metabolism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based cohort study. Among them 4,059 subjects measured radius bone density and 4,089 measured tibia. The T-score threshold, defined as < -1.0 and $\le$-2.5, was used to identify subjects with osteopenia and osteoporosis by WHO criteria. The crude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 radius and tibia was $8.4\%$ and $23.3\%$ respectively; after adjustment for age, it changed $6.3\%$ and $18.8\%$. In si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creased by aging, non-marital status, low education, low income. Otherwise, high intakes of Ca/P, thiamin, riboflavin, vitamin B6, and vitamin E were decreased osteoporosis prevalence. Compared to the normal BMI (body mass index) group 08.5 $\le$ BMI < 23), the odds ratio (ORs) of the low BMI group (BMI < 18.5), and high BMI groups (BMl25-30, BMI $\ge$ 30)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OR of osteoporosis decreased across increasing quartiles of intakes of Ca, P and Ca/P. Therefore, maintaining normal BMI and increasing Ca intake and Ca/P ratio may have a beneficial effect on bone health of Korean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