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ization Method

검색결과 1,658건 처리시간 0.031초

Best Practice on Software Traceability Environment based on PaaS Cloud Service

  • Jang, Woo Sung;Kim, Janghwan;Kim, R. Young Chu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9권4호
    • /
    • pp.149-155
    • /
    • 2020
  • In the software industry of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ME)s, the development process is often not mature. This may lead to failures in quality control and output management. As a result, the quality of the software can be degraded. To solve the problem, the software visualization technique, which is from the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Software Engineering Center can be applied. We have experienced with mentoring not only the visualization of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but also various visualization process of SMEs. However, the existing software visualization method was difficult to install environment and its time cost was high. This paper proposes a software visualization environment through a cloud service along with a case of building a software visualization environment. We expect that this method will make it easier to build a visualization environment and improve the quality of SME software.

Tracing Facility for Visualization system of Distributed Java Object Application

  • Lee, Dong-Woo;R.S. Ramakrishna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3)
    • /
    • pp.783-785
    • /
    • 1999
  • Distributed Object Systems are very complex. So, it is difficult to see overall relationship among objects participated in the system. Moreover the performance tuning or maintenance are also important issues of it. So, it needs a way to view the system with low-cost and an efficient method. One of solutions is a visualization tool or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d a tracing facility for Java-based distributed object system, especially RM(Remote Method Invocation). Our up-coming visualization system will use two phase hybrid post-mortem/on-the-fly technique. To support it, the fundamental tracing part must have some flexible and dynamic mechanism. The main idea of our tracing technique is the Plug-in Sensor Model(PSM). The relationship between tracing (monitoring) part and visualization part is closely related. So, we considered the appropriate factors for visualization. We developed 'Traced RMI(TRMI)'. For more precise visualization of a working system, the casuality of events has to be preserved. TRMI can support global event ordering.

  • PDF

Visualization of Tooth for Non-Destructive Evaluation from CT Images

  • Gao, Hui;Chae, Oksam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07-213
    • /
    • 2009
  • This paper reports an effort to develop 3D tooth visualization system from CT sequence images as a part of the non-destructive evaluation suitable for the simulation of endodontics, orthodontics and other dental treatments. We focus on the segmentation and visualization for the individual tooth. In dental CT images teeth are touching the adjacent teeth or surrounded by the alveolar bones with similar intensity. We propose an improved level set method with shape prior to separate a tooth from other teeth as well as the alveolar bones. Reconstructed 3D model of individual tooth based on the segmentation results indicates that our technique is a very conducive tool for tooth visualization, evaluation and diagnosis. Some comparative visualization results validate the non-destructive function of our method.

이 러닝 콘텐츠에 효과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시각화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 Computer Program Visualization Method Effective for the e-Learning Contents)

  • 하상호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3호
    • /
    • pp.109-124
    • /
    • 2007
  • 인터넷과 컴퓨팅 기술의 진보와 함께 사이버 공간에서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이 러닝(e-learning)에 대한 관심이 국, 내외적으로 매우 높다. 그러나 오늘날 대부분의 이 러닝 컨텐츠는 주로 텍스트 위주이며, 이미지, 동영상, 음성 등과 같은 간단한 수준의 멀티미디어 요소가 추가되는 정도의 수준에 불과하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이 러닝에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순서도를 이용한 프로그램 시각화에 기반한다. 제안된 방법의 특징은 문장 수준 단위의 단계적, 계층적 프로그램 시각화, 언어의 제어 구조에 대한 순서도 기반 시각화, 프로그램 전체 구조로의 시각화 범위 확대, 소스 프로그램 대비 시각화,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등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방법을 실현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고, 예제 프로그램에 대해서 그 실행 예를 보인다.

대용량 유동해석 데이터에서의 중요도 기반 스트림라인 생성 방법 (Method for Importance based Streamline Generation on the Massive Fluid Dynamics Dataset)

  • 이중연;김민아;이세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27-37
    • /
    • 2018
  • 스트림라인 생성은 유동해석 데이터에서 유동의 흐름을 해석하기 위한 대표적인 가시화 기법이다. 그러나 효과적인 스트림라인 배치를 위한 씨드 포인트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한편, 대용량의 유동해석 데이터에서 씨드 포인트 결정과 스트림라인 생성 계산은 매우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스트림라인 배치를 위해 유동해석 데이터의 중요도를 기반으로 한 씨드 포인트 결정 방법과 분산병렬 가시화 시스템 환경에서의 병렬 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GLOVE 가시화 시스템에서 실제 유동해석 데이터를 이용한 구현 결과를 소개하고 이를 통해 본 논문의 제안 방법을 검증하고자 한다.

스트로보스코픽 전자 스페클 패턴 간섭법을 이용한 디스크 브레이크의 진동 모드의 정량적 가시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antitiative visualization of Vibration Mode Shape of Disk Brake by Using Stroboscopic ESPI)

  • 강영준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7권9호
    • /
    • pp.97-104
    • /
    • 1999
  • Brake squeal noise has been a problem since the early days of motoring . It is important to obtain vibration mode shape for reduction of brake noise . Stroboscopic Electronic Speckle Pattern Interferometry is a very powerful measuring method for study of vibrating objects in static state compared with conventional methods because this method can give both resonance frequency and quantitative visualization of vibration mode shape at the same time. In this paper, we performed qualitative visualiz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vibration mode shpae of disk brake by using stroboscopic ESPI and phase shifting method. The stroboscopic wavefronts are obtained by chopping continuous wave laser beam using acousto-optic modulator .Experiments were performed at the same constraint conditions as disk brake of the practical vehicle as far as possible.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is paper show quantitative measurement of vibration mode shape and quantiative visualization of vibration amplitude of disk brake with 3D plotting.

  • PDF

고문헌 속 언어를 통한 한국의 고전화장 시각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of Classic Makeup in Korea through the Language in Old Documents)

  • 방기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25권1호
    • /
    • pp.96-10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to visualize classic makeup through Korean visual language in old literature. It provides consumers with creativity to understand and communicate and proposes a new conceptual visualization model. The research method was carried out by drawing from old literature studies, previous reproduction records, examples, and international standard diagram text language expression. First, the visualization work expressed in visual language in old literature was an objective and efficient method of information delivery as a characteristic of information design. Second, visual language expressed in old documents could be divided into makeup materials and actions. Also, the diagrams were appropriate for visualizing materials and materials for storytelling. Third, in the visualization of Korean classic makeup in old literature, images were more appropriate than diagrams in the case of action. The researcher proposed a method of visualizing historical knowledge that went one step beyond the existing simple event timing method. Timeline, correlation diagram, image, and text were combined in various ways to find the most effective historical knowledge visualization method.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classic makeup goes beyond the meaning of language or text and is the cultural content of re-creation, which requires systematic globalization.

미세수적과 레이저 평면광에 의한 와류장의 가시화 연구 (Investigation of Vortical Flow Field Visualization by Micro Water Droplet and Laser Beam Sheet)

  • 이기영;손명환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5-62
    • /
    • 2002
  • 미세수적과 레이저 평면광을 사용하여 새로운 유동의 가시화 방법을 제안하였다. 미세수적은 약 5 내지 $10\mu\textrm{m}$ 크기로 가정용 초음파 가습기를 사용하여 생성시켰다. 조명은 3 W의 알곤 이온 레이저와 원통형 렌즈를 사용하여 레이저 평면광을 특정 와류장 단면에 형성시켰다. 이와 같은 새로운 유동의 가시화 방법을 측정부의 크기가 $0.9 m(W){\times}$0.9 m(H){\times}2.1 m(L)$$인 공군사관학교의 소형 풍동을 통하여 적용하였다. 가시화 결과를 통하여 미세수적을 이용한 새로운 가시화 방법이 풍동실험에 적용하기에 비교적 용이하며, 안전한 방법임을 보였다. 아울러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풍동실험에 적용되고 있는 스모크 가시화의 단점들을 보완함은 물론, 좀 더 높은 유동속도에서도 적용할 수 있었다.

사운드 데이터의 3D 시각화 방법 (Method for 3D Visualization of Sound Data)

  • 고재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331-33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운드 데이터를 3차원 입체 이미지로 시각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사운드 데이터의 시각화는 사운드데이터의 음역채널을 텍스트베이스형태의 스크립트 제작한 후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수행한다. 알고리즘은 음역 채널 설정단계, 사운드 시각화용 화면프레임 설정단계, 단위 입체이미지 구현체 특성정보 설정단계, 사운드 데이터 음역 채널 검출단계, 사운드 시각화단계등 총 5단계로 이루어지며, 마우스등의 입력장치로 최소한된 입력신호조작으로 3D 시각화를 수행한다. 일반적인 방법으로 애니메이터가 할 수 없는 양을 가진 사운드 파일을 이용해, 애니메이터가 작업하는 시간과 제시한 연구방법을 이용한 작업시간을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3D 시각화 방법이 창의적 예술적 이미지를 제작에 저비용, 고효율 방법임을 부각하였다. 향후, 게임엔진에서 렌더링 과정을 거치지 않는 방법으로 사운드 데이터의 실시간 시각화 방법을 연구할 예정이다.

LIC 기반의 유동 가시화 기법에 대한 조사 연구 (Survey on the LIC based flow visualization)

  • 이중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30-534
    • /
    • 2007
  • 유동 가시화란 가시화 기술의 한 영역으로, 벡터 데이터를 2차원 또는 3차원의 형태로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일반적으로 벡터 데이터는 (x, y, z)의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는 수열의 집합인데, 이를 사람이 그 특징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그림 또는 애니메이션으로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유동 가시화는 가시화 기법, 대상 데이터의 차원, 대상 유동의 종류 등 여러 가지 기준으로 분류가 가능하다. 가시화 기법은 크게 직접 기법, 인티그레이션(integration) 기법, 파생 데이터 기반 기법 등으로 나눌 수 있고, 데이터의 차원은 2차원, 2.5차원, 3차원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유동의 종류는 일정한(steady) 유동과 불규칙한(unsteady) 유동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유동 가시화는 그 종류가 매우 많고 다양한데,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인티그레이션 기법인 LIC 기법에 초점을 맞추고 각 기법들을 데이터의 차원으로 분류하고 각 기법의 장단점을 논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