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Feedback Training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8초

시각, 청각 피드백을 이용한 디지털 페그보드 훈련 작업치료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 및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Digital Pegboard Training Program With Visual and Auditory Feedback on Hand Function and Visual Perception in Patients With Stroke)

  • 홍장우;유찬욱;강미영;장기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4호
    • /
    • pp.85-97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시각, 청각 피드백을 이용한 디지털 페그보드 훈련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과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뇌졸중 환자 22명으로 실험군(시각, 청각 피드백을 이용한 디지털 페그보드 훈련 작업치료 프로그램 및 전통적인 작업치료) 11명과 대조군(전통적인 작업치료) 11명으로 무작위 할당되었다. 실험군은 1회당 30분씩 주 3회 6주간 총 18회의 시각, 청각 피드백을 이용한 디지털 페그보드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1회당 30분씩 주 2회는 12회의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받아 총 30회의 치료를 시행 하였다. 대조군은 1회당 30분씩 주 5회, 6주간 총 30회를 작업치료사를 통하여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받도록 하였다. 평가는 중재 전, 후로 손 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Nine-hole pegboard test와 뇌졸중상지기능검사(MFT)를 시행하였다. 결과 :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중재 전과 후 Nine-hole pegboard test와 MVPT-3에서 유의한 상승을 보였다 (p<.05). 두 군 간의 비교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Nine-hole pegboard test와 MVPT-3결과 변화량 차이에 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시각 및 청각 피드백을 이용한 디지털 페그보드 훈련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과 시·지각기능의 향상을 위한 재활 프로그램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선천성 청각장애성인의 시각적피드백 이용 음도치료 효과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Intervention on Voice Pitch of Adult with Hearing Impairment)

  • 어수지;윤미선
    • 음성과학
    • /
    • 제12권4호
    • /
    • pp.215-226
    • /
    • 2005
  •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vestigate effect of pitch treatment program using visual feedback for profound deaf adults. Dr. Speech program was applied as a training t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 profound deaf adults. Speech samples for evaluation were vowel prolongations and connected speech. Analysis was performed under the principle of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As results of this study, all subjects showed the treatment effects which were represented by lowering fundamental frequency and speaking fundamental frequency.

  • PDF

The effects of providing visual feedback and auditory stimulation using a robotic device on balance and gait abilities in persons with stroke: a pilot study

  • Park, Jae Ho;Chung, Yijung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5권3호
    • /
    • pp.125-131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viding visual feedback and auditory stimulation using a robotic device on balance and gait abilities in stroke patients.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Methods: Fifteen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where five subjects were in the visual feedback robotic device assist gait training (VRGT) group, five subjects in the auditory stimulation robotic device assist gait training (ARGT) group, and five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Subjects received visual feedback and auditory stimulation while undergoing robotic gait training for 45 minutes, three times a week for 2 weeks, and all subjects had undergone general physical therapy for 30 minutes, five times a week for 2 weeks. All subjects were assessed with the Berg balance scale (BBS), timed up and go (TUG) test, and 10-meter walking test (10MWT) pre- and post-intervention. Results: All subjects showed that BBS, TUG test, and 10MWT scores significantly improved post-intervention (p<0.05), and the control group also had significantly improved post-treatment (p<0.05). The VRGT and the ARG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BS, TUG, and 10MWT score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5). The VRGT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BBS, TUG, and 10MWT score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5). In addi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VRGT had significantly improved in BBS, TUG test, and 10MWT scores compared with the auditory stimulation and control group (p<0.05).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improved balance and gait abilities after VRGT and ARGT groups compared with general physical therapy and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the functional activity of persons affected with stroke.

가상 자전거 시스템을 이용한 자세균형 훈련의 정량적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Postural Balance Training using Virtual Bicycle System)

  • 김종윤;송철규;홍철운;김남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7-216
    • /
    • 2002
  • 본 논문은 가상 자전거 시스템을 이용한 자세균형 훈련의 정량적 평가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실험은 20명의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자세균형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측정 파라메터로서 주행시간. 주행속력. 주행경로 이탈의 횟수. 압력중심, 그리고 체중이동에 대한 변수들을 추출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균형훈련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체중이동에 따른 시각적 피드백 정보의 유용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반복훈련결과. 체중이동 분포의 visual feedback 정보를 제시했을때 COP의 총길이가 줄어들어 동요도가 줄고 체중이동값이 50 %에 가까워져 자세제어 및 조절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가상 자전거 시스템은 효율적인 자세균형 재활 훈련 장비로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재활훈련 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Muscle Activity Based on Real-time Visual Feedback Training Methods by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e in Elderly and Relationship between Heckmatt Scale, Muscle Thickness and Tone : A Pilot Study

  • Shin, Janghoon;Lee, Wanhee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82-89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uscle activity based on real-time visual feedback training methods by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e in elderly and correlation between Heckmatt scale grade, muscle tone and thickness. Design: Cross-sectional study: Pilot study Methods: 6 elderly participated in the study with 2 conditions. Under the condition of rehabilitation ultrasound imaging equipment, all subjects performed voluntary maximal muscle contraction of the quadriceps 3 times using visual feedback based on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ing 1.0 (RUSI 1.0). Under the condition of only ultrasound images, all subjects performed voluntary maximal muscle contraction of the quadriceps 3 times using ultrasound image-based visual feedback. The muscle thickness and tone of the quadriceps were measured and the grades were classified by Heckmatt scale and all variables were comparative analyzed. Results: Heckmatt scale grad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uscle thickness at relaxation (p<0.05),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differenc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muscle thickness at relaxation from muscle thickness at contraction in ultrasound image condition (p<0.05). The muscle tone during relaxa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muscle thickness during relaxation (p<0.05). Conclusion: In the case of voluntary maximum muscle contraction of the quadriceps muscle in the elderly, it can be seen that the muscle thickness is getting larger when the RUSI 1.0-based visual feedback is provided than with only ultrasound image provided. And the lower Heckmatt scale grade is, the thicker the muscle is, and the lower the muscle tone is.

가상현실과 힘판을 통한 시각적 되먹임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sual Feedback Treadmill Gait Training Program Combined with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a Force Plate Measurement System on Gait A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 이동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63-373
    • /
    • 2020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엔터테인먼트요소가 가미된 가상현실과 시각적 되먹임 보행 훈련 프로그램을 병행하여 보행능력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에 휘돌림 보행을 하는 뇌졸중 환자 10명을 선정하여, 가상현실과 힘판을 통한 시각적 되먹임 트레드밀보행훈련을 일일 30분씩, 주5회, 5주간 총 25회 실시하였다. 이러한 보행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관절가동범위검사, 근활성도 검사, 버그 균형 척도(BBS), 보행분석, 삶의 질(SS-QOL) 평가를 중재 전·후 시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보행 흔듦기 시기에 마비측 관절가동범위와 근활성도, 동적균형능력, 보행능력, 삶의 질이 중재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05).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보행훈련이 휘돌림 보행을 하는 뇌졸중 환자의 발처짐, 근활성도, 동적 균형 및 보행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한 삶의 질도 개선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휘돌림 보행을 하는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 향상과 삶의 질 개선을 통한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해 가상현실과 힘판을 통한 시각적 되먹임 트레드밀보행훈련 프로그램 적용을 권장한다.

시각 되먹임을 이용한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 시 몸통의 동작과 지면 반발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unk Movement and Ground Reaction Force during Sit to Stand Using Visual Feedback)

  • 고영건;오태영;이재호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07-219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runk movement and ground reaction during sit to stand motion using visual feedback. Methods : Fifteen adults (average age: 23.53±1.77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 infrared reflective marker was attached to the body each participant for motion analysis, and the participants performed sit to stand motion while wearing a hat attached with a laser pointer, which provided visual feedback. First, the sit to stand action was repeated thrice without obtaining any visual feedback, followed by a three minute break. Next, the laser pointers attached to hats were irradiated on a whiteboard, located at a distance of 5 m in front of the chairs, on which the participants sat; a baseline was set, and the participants performed stand up movements three times under this condition. A visual feedback was provided to the participants to prevent the laser pointers from crossing the set baseline. During each stand-up movement, the position of the reflective marker attached to the subject's body was recorded in real time using an infrared camera for motion analysis. The trunk movement and ground reaction force were extracted through recorded data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visual feedback. Results :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 the presence of a visual feedback during the sit-to-stand movements, the range of motion of the trunk and hip joints decreased, whereas that of the knee and ankle joints increased in the sagittal plane. The rotation angle of the trunk in the horizontal plane decreased. The left and right movement speed of the center of pressure increased, the pressing force decreased,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peed of the trunk decreased.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iciency and stability of the stand up movement of a body increase when a visual feedback is provided.

VR 기반 시기능 강화 콘텐츠 설계 및 제작 (Desing of VR Contents for Visual Function Enhancement)

  • 김용주;정상중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70-75
    • /
    • 2022
  • 각종 디지털 기기의 보급으로 현대사회는 기기들이 일상화되었다. 더욱이 COVID-19라는 팬데믹 동안 실내에 머무르면서 기기 사용량의 증가와 온라인 학습의 증가로 눈 피로도에 따른 어린이들의 근시 증가, 젊은 노안 증가, 안구 건조증과 같은 증상이 증가하고 있고, 이제는 눈 건강에 대한 관심이 예전과 다르다. 눈 건강에 대한 처방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VR 콘텐츠를 활용한 시기능 강화 훈련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시기능 강화 훈련에 관한 기존의 교구에 의한 아날로그 방법들을 디지털 콘텐츠로 기획 및 제작하였으며, 일반 시기능 훈련센터에서 교구를 가지고 진행하는 다양한 방법 중 콘텐츠화가 가능한 7가지의 방법을 선택하여 VR 기반의 훈련콘텐츠로 개발하였다. 각 콘텐츠의 훈련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훈련의 참여에 대한 피드백을 주기 위해 VR 기기에 아이트래킹을 적용하여 훈련 과정에 대한 관리와 집중도를 분석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12주 동안의 시각 되먹임 균형 훈련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12-week balance training with visual feedback on balance and walking functions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 정명균;오덕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537-544
    • /
    • 2013
  • 본 연구는 만성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대한 12주간의 시각 되먹임 균형 훈련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총 20명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에 10명씩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실험군은 근력, 자세조절 그리고 기능적 훈련을 포함한 보존적 물리치료와 시각 되먹임을 이용한 균형훈련을 각각 15분씩 시행하였으며, 대조군은 30분안 보존적 물리치료를 시행하였다. 균형 및 보행 능력에 대한 측정은 기능적 도달 검사(Function Reach Test, FRT), 일어서서 걷기 검사(Timed Up and Go Test, TUGT), 6분 걷기 검사(6 Min Walk Test, 6MWT) 사용하여 시행되었다. 집단 내 비교에서 실험군은 모든 변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5), 대조군은 모든 변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집단 간 비교에서 있어서는 FRT와 6MWT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본 연구의 결과는 시각 되먹임을 사용한 균형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 향상을 위해 긍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대상자들을 포함시킨 장기간의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할 것이다.

압력센서를 이용한 감각피드백 균형 훈련이 노인의 정적 균형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ensory Feedback Balance Training using Pressure Sensor on the Static Balance of the Elderly)

  • 권일호;김호;신원섭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9-136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feedback condition for static balance in elderly subjects. METHODS: Thirty-eight elderly subjects (12 men and 26 women with a mean age of 77.21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each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excluding personal identification codes. The static balance ability of the participants was evaluated using a Wii Balance Board and the Balancia program (version 2.0). The following three feedback conditions were considered: condition 1 (tactile feedback), condition 2 (visual feedback), and condition 3 (no feedback). One-way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for the comparisons according to sway length and sway velocit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α = .05 for all variables.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way length and sway velocity were observed between the three conditions (p < .05).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way length were noted in the order of conditions 1, 2, and 3 (p < .05),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way velocity in the order of conditions 3, 2, and 1 (p < .05). CONCLUSI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ic balance ability were observed between the three conditions. In this study, tactile feedback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feedback for balance training. Owing to aging and impairment of the senses, such as that observed in the tactile receptors, visual receptors, and proprioceptors, it is recommended that elderly subjects participate in balance trai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