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itor Satisfaction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32초

자연휴양림(自然休養林) 매력물(魅力物)의 기대불일치(期待不一致)가 이용만족도(利用滿足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 자연휴양림의 휴양자원과 시설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Expectancy-Disconfirmation of Attraction Affecting Visitor's Satisfaction in Natural Recreation Forests - Focused on Recreational Resources and Facilities -)

  • 이주희;배민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4호
    • /
    • pp.459-467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휴양림 매력물의 기대불일치가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자연휴양림의 자원과 시설, 기대불일치, 이용만족도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자연휴양림의 매력물을 도출하고 개념적 틀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04년 여름철에 3개의 자연휴양림 이용자 41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분석결과, 1) 각 매력물 중 이용자 흥미자원의 기대도와 성취도 수준이 가장 높았다. 2) 자연휴양림 매력물에 대한 기대도와 성취도간에는 1% 유의 수준에서 통계적 차이가 있었다. 3) 기대불일치가 가장 심한 매력물은 안전시설이었으며, 기대불일치가 적은 매력물은 생물적 자원(식물)으로 나타났다 4) 이용만족도는 매력물의 기대불일치가 클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5) 다변량 분석결과, 물리적 자원, 사회문화적 자원, 숙박시설, 기반시설, 안전시설, 위생시설, 교육시설의 기대불일치가 1% 유의수준에서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규명되었으며, 매력물 중 이용만족도의 값의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기반시설의 기대불일치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미술관의 방문자 특성과 방문 후 평가에 따른 효율적 경영에의 시사점 (Study on Museum Visitor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for Effective Management Reflecting on Visitor's Feedback)

  • 정형식;김영심;정겨운
    • CRM연구
    • /
    • 제3권1호
    • /
    • pp.29-47
    • /
    • 2010
  • 본 연구는 미술관의 방문자의 특성 및 방문형태가 미술관의 상대적 위상지각 및 심미적 반응, 그리고 미술관의 제공 혜택지각에 영향을 미쳐 후속하여 방문자의 만족 및 개인.사회적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미술관을 방문한 방문자를 대상으로 약 4주 동안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15부를 배포하여 308부를 회수하였으나 이 중 불성실한 응답으로 분석대상으로 적합하지 않는 자료 15부를 제외한 29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방문자의 특성은 미술관의 상대적 위상지각 및 미술관 제공 혜택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심미적 반응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술관의 방문형태는 상대적 위상지각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심미적 반응과 미술관의 제공 혜택지각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 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관의 상대적 위상지각은 심미적 반응에 긍정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미술관의 제공 혜택지각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미술관의 상대적 위상지각은 방문자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심미적 반응 및 미술관 제공 혜택지각은 방문자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술관의 방문자가 만족할수록 향후 미술관의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도 높게 나타났다. 이로써 미래의 미술관은 방문자의 교육, 자선행사, 기부행사 등 내외적인 참여행동을 이끌어 일반 대중과 함께하는 공간으로 인식시키는 것이 방문자의 만족을 이끌 뿐만 아니라 개인.사회적 참여까지도 이끌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축제만족도가 재방문의사와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estival Visitor's Satisfaction on Revisit and Word of Mouth Intention)

  • 민동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356-363
    • /
    • 2008
  • 축제의 양적 팽창에도 불구하고 지역축제에 대한 만족도는 몇몇 축제를 제외하곤 그리 높은 편이 아니다. 이는 지역축제의 본질적 목적에 비해 경제성을 강조한 나머지 지역축제의 개최목적인 지역관광산업의 발전, 지역문화의 보전, 지역주민의 여가기회확대, 지역공동체 의식의 함양, 지역이미지 제고 등을 고려하지 못한 축제들이 우후죽순 생겨나고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만족을 높일 수 있는 행사내용과 형식들이 차별화되어 있지 못한 것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문화체육관광부의 축제평가기준을 토대로 제24회 김포문화예술제에 참여한 관광객과 지역주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지역축제 만족도 결정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지역주민과 관광객간의 재방문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김포문화예술제가 성공적인 지역축제가 될 수 있도록 축제마케팅 전략수립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경주 토함산과 남산 국립공원의 이용만족 평가 -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중심으로 - (Evaluation of Use Satisfaction for Tohamsan and Namsan National Parks in Kyongju - Focused o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 이영경
    • 환경영향평가
    • /
    • 제17권3호
    • /
    • pp.153-165
    • /
    • 2008
  • Recently the use demand for national parks has been rapidly increased due to the change of leisure patterns in Korea. The intensive use of national parks, however, can cause serious management problems both in resource conservation and in visitor satisfaction. In order to prepare the effective management plan for the sustainable use of national parks, it is essential to evaluate the visitor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strategies for Namsan and Tohamsan national parks in Kyongju.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adopted to analyze the visitor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to the 420 visitors of the three sites (Namsan Sam-reung, Namsam Yong-jang, and Tohamsan) that are the most popular areas in Kyongju national park. The IPA for the 18 satisfaction items shows that all the values for importance are higher than those for performance in the three sites. This results indicates that visitors' satisfactions for the 18 items are lower than their expectations. The IP matrix reveals that the management effort should be concentrated on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nature and culture in Yong-jang, on the convenient access to park in Sam-reung. and on the availability of cool drinking water in Tohamsan.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for the management strategies were summarized for the three sites in conclusion.

제천 한방관광축제 참가자 만족도 연구 (Visitors Satisfaction for Jechon Medicinal-Herb Festival)

  • 최승국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0-376
    • /
    • 2006
  • 최근 웰빙에 대한 대중적 관심이 점증하면서 한방산업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게 되었으며 한방과 관련된 산업들은 물론 문화관광축제로서 한방축제가 전국 여러 지역에서 경쟁적으로 개최되고 있다. 당 논문은 충북 제천에서 개최하는 제천 한방축제의 여러 환경적 여건을 검토하고 축제에 참가하는 지역주민들과 외래관광객의 만족도를 비교 조사하여 내용과 운영면의 향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바이즈만의 길 찾기 요소와 방문객 만족도와의 관련성 분석 -서울 역사박물관을 중심으로- (Analysis of Correlation G. D. Weisman's Way Finding Elements and Visitor Satisfaction -Focus on Seoul Historical Museum-)

  • 김형준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21-432
    • /
    • 2014
  •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G. D. Weisman's Way finding 4 elements the accessibility and efficiency of consumers as to eternal area for Seoul historical museum.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G. D. Weisman's Way finding element introduced in this stud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visitor satisfaction.. It leads to the following conclusion: The higher the impact is, the greater accessaccessibility and efficiency are. Second, among 4 elements, the factor that had the biggest impact on the accessibility was 'visual-perceptual accessibility'. Thus, 'visual-perceptual accessibility' should be considered first to boost the accessibility to consumers. Third, among 4 elements, the factor that had the biggest impact on the efficiency was 'sign system'. Thus, 'sign system' should be considered first to boost the efficiency to consumers.

온양온천관광지 방문객 만족이 재방문 및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Visitors' Satisfaction on Revisit and Recommend Intention to Other in Onyang Spa Destination)

  • 김시중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66-575
    • /
    • 2016
  • 본 연구는 온양온천관광지 방문객 만족이 재방문 및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에 목적이 있다. 충남 온양 온천 이용객 대상 설문조사 토대의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천관광지 선택속성에 대한 요인분석결과 6개 요인[온천공간 시설, 온천 접근성, 온천수 및 주변지역, 온천 비용, 쇼핑 및 친절성 및 관광공간]이 추출되었다. 둘째, 온천관광지 선택속성이 방문객 전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요인 "관광공간", "온천수 및 주변지역", "온천 공간시설" 및 "온천 접근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방문객의 전체 만족도는 온천관광지 재방문의도 및 타인추천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전통문화축제의 스토리텔링이 축제매력성과 방문객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강릉단오제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raditional Cultural Festival Storytelling on Festival Attractiveness and Visitor Satisfaction(Focusing on Gangneung Danoje Festival))

  • 이제용;이광옥;유광우;김명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396-40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2014 '천년의 힐링로드 강릉단오제'를 방문한 이용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방문객의 의사소통을 이끌어주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새로운 축제 표현기법으로서 축제요인을 상호작용(interaction), 이야기(story), 표현(telling)으로 구성하여 축제의 매력성과 방문객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전통문화축제 스토리텔링은 축제매력성과 방문객 만족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축제매력성에는 프로그램의 다양성, 교통 및 접근성, 서비스 및 숙박이 유의한 영향을 보였고, 방문객의 만족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통문화축제와 방문객과의 상호작용과 스토리텔링을 통한 지속적인 문화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자연휴양림과 수목원 방문객의 이용특성 비교 연구 (Comparison of Visitor Characteristics in Recreational Forests and Arboretums)

  • 유리화;장윤선;이정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4호
    • /
    • pp.532-543
    • /
    • 2020
  • 본 연구는 자연휴양림과 수목원 간의 방문 이용특성과 서비스 만족도, 전반적 만족도 및 충성도(재방문의향, 권유의향)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휴양림의 서비스 만족도, 전반적 만족도, 이용객 충성도 모두 수목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서비스 만족도가 전반적 만족도나 이용객 충성도에 비해 평균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자연휴양림의 서비스 만족도는 전반적 만족도, 이용객 충성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반면, 수목원의 서비스 만족도는 전반적 만족도와 이용객 충성도에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목원 이용객의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산림 및 휴양경관'이었으며 재방문의향은 '자연경관 체험콘텐츠'와 '시설이용요금'이, 권유의향은 '자연경관 체험콘텐츠'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전국에 분포한 자연휴양림과 수목원 방문 이용객을 대상으로 공통된 항목을 동시에 조사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여 두 산림휴양공간 간에 이용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향후 이러한 전국 규모의 이용객 실태조사 결과가 산림휴양공간 유형별 차별화된 운영전략 제시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산림휴양공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전반을 아우르는 공통 조사항목의 개발이 필요하다. 더불어 각각의 산림휴양공간의 조성목적에 부합하는 기능 발휘를 위해 서비스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므로 해당 항목을 추가적으로 개발, 모듈화하여 공통 조사항목과 병행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미술관 전시에서의 사진 촬영이 체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Selfie in the Museum Exhibition on Customer Experience Satisfaction)

  • 고정민;신한나;최지원
    • 예술경영연구
    • /
    • 제49호
    • /
    • pp.37-63
    • /
    • 2019
  • 본 연구는 미술관 전시장 내에서 사진 촬영이 관람객 체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전시장을 방문한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셀피, 작품사진 촬영이 관람객의 체험 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하였고, 관여도 및 나르시시즘 성향에 따른 조절효과와 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진 촬영과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진 촬영은 했지만 셀피 촬영을 하지 않은 집단은 전시장 내에서 사진과 셀피 촬영을 모두 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관람객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작품에 대한 사진 촬영은 관람객들에게 체험을 통한 만족감을 주지만, 셀피 촬영을 한다고 해서 만족감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몰입도는 전시장 내에서 사진과 셀피 촬영 유형과 관람객의 체험 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은 모두 기각되었다. 셋째, 전시장 내에서 사진 촬영은 했지만 셀피 촬영은 하지 않은 집단과 전시장 내에서 사진과 셀피 촬영을 모두 하지 않은 집단에 따른 체험 만족도 차이에서만 관여도의 정(+)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셀피를 찍는 관람객들은 미술에 대한 관여도에 따라 만족도가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술관의 전시장 내 사진 촬영의 허용에 대한 정책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