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rtual Reality education

검색결과 543건 처리시간 0.034초

An Integrated Model for Investigating the Impacts of Telepresence on Cultural Heritage Attachment in Virtual Museum

  • Hong, Kyung-Wan;Kim, Hyeon-Cheo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2호
    • /
    • pp.44-52
    • /
    • 2022
  •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elepresence on cultural heritage attachment in the context of virtual museum. We determined the effect of telepresence on visitors' aesthetic and educational experiences and how these experiences affect visitors' perceptions of virtual museum service value. Moreover,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ived virtual museum service value on museum attachment and cultural heritage attachment. A total of 143 visitors were sampled through an online survey focusing on Chinese virtual museum visitors. The results show that all the paths presented significant effects.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telepresence indirectly influences cultural heritage attachment through education experience and perceived virtual museum valu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also provided. An important implication is that online virtual museum is essential to raise visitors' education experience and their cultural heritage attachment. Thus, virtual museum should take initiative to enhance virtual reality to ensure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and formation their cultural heritage attachment.

온라인 교육을 위한 동영상과 가상현실 데이터의 동기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nchronization of Video and Virtual Reality Data for On-line Education)

  • 선복근;한광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389-397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교육을 위해 사용되는 동영상 데이터와 VRML 컨텐츠간의 동기화 기술에 대해 연구한다. 미디어 동기화를 위한 HTML+TIME과 스크립트(Script), VRML 제 어를 위한 Java EAI 및 applet, VRML의 애니메이션을 조절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 저작 템플릿을 만들어 온라인 교육시스템에 적용한다. 구현된 시스템의 애니메이션 제어성능 및 처리속도와 미디어간의 동기화 성능 평가를 수행하여 기존의 온라인 가상 교육 시스템의 동기화 성능보다 다소 향상된 결과를 얻었다 본 논문을 통해 HTML+TIME 미디어 동기화 기술과 VRML Web3D 가상현실 저작 기술 그리고 자바를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동영상 미디어의 제어와 3D 애니메이션의 제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교육 시스템의 구축이 간단하고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적용 할 수 있는 미디어 동기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실감형 가상현실에서 Head Mounted Display가 과제수행시간 및 가상실재감 요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ead Mounted display on Time-on-task and Virtual Presence for Navigational Tasks in the Immersive Virtual Reality)

  • 류지헌;유승범
    • 감성과학
    • /
    • 제19권3호
    • /
    • pp.71-80
    • /
    • 2016
  • 이 연구는 가상현실 환경에서 디스플레이의 종류가 가상실재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착용형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와 모니터조건이 내비게이션 과제수행시의 가상실재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가상 실재감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으로 공간실재감(spatial presence), 몰입감(involvement), 사실성(realness)을 구성했다. 과제수행시간과 가상실재감에 대한 지각점수를 종속변수로 해서 디스플레이 조건에 의한 차이를 분석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모니터조건과 비교했을 때 HMD조건에서 전반적으로 과제수행시간이 길었다. 이런 결과가 나타난 것은 HMD에서의 몰입감이 높기 때문에 오히려 주변 사물에 대한 탐색활동이 더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가상실재감에서는 HMD 조건이 탁월하게 높았으며, 같은 HMD조건에서는 특히 공간실재감과 몰입감이 사실성 보다 모두 높게 지각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서 HMD와 모니터 조건에 따라서 가상실재감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수준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timing of intervention 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 Jo, Jungh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69-75
    • /
    • 2022
  • 본 논문은 가상현실 기반의 실감 콘텐츠를 활용하여 발달장애인 학생이 바리스타 직업훈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중재가 필요한 시점을 도출하기 위해, 가상현실 공간에 존재하는 각 바리스타 도구들과 학생의 손과의 거리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중재 시점의 판단을 위한 기준을 도출한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발달장애인훈련센터에 등록된 학생 21명을 심사를 통해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바리스타 도구들을 인지하는 훈련을 실시하여 연구대상자가 더 이상의 진행을 하지 못하고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연구원과 사전에 약속한대로 손을 들거나 구두로 중재를 요청하도록 하고 이 시점을 기록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바리스타 훈련 콘텐츠로 발달장애인이 훈련을 수행하는 중에 중재가 필요한 시점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도출하기 위해 손으로부터 각 바리스타 도구들까지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두가지 가설을 수립하고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훈련을 성공한 학생의 손으로부터 관심 바리스타 도구 및 인접 도구들까지의 누적거리는 다른 바리스타 도구들까지의 누적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짧았고 통계적 분석의 결과는 유의미하였다.

심정지 현장에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심폐소생술 교육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 of using virtual reality simulation for CPR education in prehospital setting)

  • 김은애;최진경;조근자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37-148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vide essential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al methods and content, tailored for the prehospital field situation, by analyzing the effects of education regarding the management of cardiac arrest. Methods: This study is a primitive experimental study of 55 new firefighters in C Fire Service Academ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training which was imparted using the CPR virtual reality simulation program (CBS 2.0) in accordance with COVID-19 quarantine rules and social distancing. Data were analyzed utilizing SPSS version 25.0. Results: After VR simulation training, knowledge about performing CPR (14.85) and self-efficacy (4.12) were significantly high (p<.001). Learning immersion was also high (3.99±0.59), but learning satisfaction was even higher (4.34±0.62). Depending on the recruitment field, firefighters showed higher learning immersion (4.04±0.58 vs 3.68±0.63) and self-efficacy (4.16±0.55 vs 3.91±0.84) than 119 EM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In contrast, The quality of performance of CPR by EM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refighters (p=.025). Depending on previous simulation experi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ependent variables. Conclusion: Virtual reality simulation shows positive results in learning immersion, learning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of CPR. Therefore, we propose that virtual reality simulation training can be a new educational paradigm.

가상현실 기반 여성건강간호학 실습교육이 메타인지와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혼합연구 방법 (Effect of Virtual Reality Women Health Nursing Practicum on Meta-cognition and Critical Thinking: Mixed Method Study)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481-48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간호 대학생이 가상현실을 적용하여 여성건강간호학 실습 교육과정을 적용한 후 메타인지와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교육효과를 질적, 양적으로 혼합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는 단일군 사전사후 검증을 사용한 양적 연구와 개별 심층 면담을 활용하여 내용 분석한 질적 연구를 활용한 수렴적 혼합연구이다. 양적 연구 결과 메타인지는 가상현실 프로그램 적용 후에 사후 104.16±12.98, 사전 98.59±18.09 (t=1.85, p=.030)로 사후 점수가 사전 점수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비판적 사고능력은 프로그램 적용 후에 사후 101.66±7.18, 사전 99.18±15.13 (t=1.00, p=.10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가상현실을 활용한 여성건강간호학 실습 교육은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를 증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어 간호학 실습 교육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

Leap Motion을 이용한 전자부품 조립 훈련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Training System Using Leap Motion)

  • 이인철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463-470
    • /
    • 2023
  • In this study, an electronic parts assembly training system using Leap Motion was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processes actually operated in the assembly process of electronic products. Based on Leap Motion and Oculus VR equipment, the system was developed to transfer user's hand movement data in real time and convert it into hand movement in virtual space so that electronic parts assembly simulation can be performed step by step.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r can obtain an experience similar to the actual electronic parts assembly work, prevent errors that may occur during the assembly process, and improve proficiency. It is expected that this thesis will provide directions for the quality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various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virtual reality-based manufacturing processes.

실감형 가상현실 실전훈련 콘텐츠를 위한 관리 평가 시스템 개발 사례연구 (Development of Management and Evaluation System for Realistic Virtual Reality Field Training Exercise Contents : A Case Study)

  • 김종용;박동근;이필연;조준영;윤승현;박상훈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111-121
    • /
    • 2020
  • 가상현실의 높은 몰입감을 활용한 실감형 훈련 콘텐츠가 산업, 교육,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현실에서 실시하기 힘든 고위험, 고비용이 발생하는 교육훈련을 최신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하여 현실과 비슷한 환경에서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체험하여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은 실감형 가상훈련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정의된 평가요소를 기반으로 훈련 결과를 도식화된 그림으로 가시화하는 관리 시스템을 소개한다. 관리 시스템은 콘텐츠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각 훈련생의 훈련 기록을 실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기반 시나리오 생성 방법으로 훈련 목표, 참여인원, 평가요소 등을 설정하여 하나의 콘텐츠를 여러 시나리오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관리 시스템의 제작 방법과 그 결과를 적용 사례인 가상현실 훈련 콘텐츠 기반으로 설명한다.

혼합현실을 활용한 어린이용 디바이스와 콘텐츠 개발 - 어린이 완구 '스마트카' 개발을 중심으로 - (Device and Contents development for children applying Mixed Reality Technology - Based on Children's toy 'Smart Car')

  • 공수경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339-348
    • /
    • 2016
  •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은 지식 확장과 새로운 소통 등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반면 예상치 못한 여러 폐해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 중 어린이에게는 개인 고립, 중독 현상, 과잉 집착, 주의력 결핍 등의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디지털 환경에 알맞은 어린이를 위한 콘텐츠 개발이 시급하다고 여기고, 그에 맞는 새로운 개념의 혼합현실(mixed reality)을 활용한 어린이용 융합 디바이스와 콘텐츠를 제안한다.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융합한 혼합현실은 현실 세계의 만져지는 어린이 장난감 자동차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고 스마트폰의 가상 세계가 연동하여 새로운 개념의 놀이와 교육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혼합현실은 기존의 주입식 교육이 아닌 체험의 교육으로 사고력 증진에 도움이 되며 스마트카는 디지털시대에 맞춰 새로워져야 할 놀이 및 교육 방식에 새로운 비전을 제시한 개발이라고 할 수 있다.

가상훈련 콘텐츠를 사용한 온라인 교육의 사례 연구 (Case Study of Online Education Using Virtual Training Content)

  • 허준영;노혜란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8
    • /
    • 2019
  • 최근에는 가상현실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현실세계에서 직접 경험하지 못하는 상황을 실감적으로 체험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대하고 있다. 특히 고위험, 고비용의 산업훈련을 대체하는 장비실습에 대한 체험형 가상훈련 콘텐츠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가상훈련 교육은 일반적인 기술교육과정과는 그 목적이나 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가상훈련 콘텐츠로 하나의 연수 과정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교보재로 일부 활용하거나 이러닝 콘텐츠와 결합하여 이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온라인평생교육원에서 이러닝 콘텐츠와 결합된 방식으로 2017년에 개발된 장비실습형 가상훈련 콘텐츠인 전기유압 서보제어 과정 및 유사한 과정에 대해 효과적 활용을 위한 개발 방법을 탐색하고 교수학습 전략을 수립하기 위하여 가상훈련 콘텐츠를 사용한 수업사례를 실제로 개발 운영해 보고 해당 수업에서 적용한 교수 학습 전략들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교육적 유용성을 설문 및 사례연구를 통해 조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