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rtual Movement

검색결과 398건 처리시간 0.033초

몰입형 가상현실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 글러브 개선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 Virtual Reality Glove Improvement Algorithm for Immersive Virtual Reality contents)

  • 송은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807-812
    • /
    • 2021
  •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은 현실 세계처럼 체험하는 것이 목적이다. 몰입감과 상호 작용은 콘텐츠를 실제처럼 경험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여 실제처럼 체험할 수 있으려면 인간의 오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입·출력 장치가 필요하다. 다양한 입·출력 디바이스 중에 가상현실에서는 시각과 청각을 자극하는 장치가 가장 대표적이다. 최근에 보다 실제와 같은 체험을 위해 촉각을 자극하는 슈트와 장갑이 출시되고 있지만, 기술적 한계로 실제 콘텐츠에 적용되는 사례는 많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 세계에서 손의 움직임과 터치를 감지 할 수 있는 가상현실 장갑을 분석한다. 분석을 바탕으로 기존 가상현실 장갑에 사용 된 피드백 방식의 진동을 이용하여 UI/ UX를 개선하고 촉각으로 VR(Virtual Reality) 객체와의 충돌의 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알고리즘을 통해 구현 된 시스템을 실제 사례에 적용하고 검증한다.

엣지 컴퓨팅 기반 가상 IoT 시스템 연구 (A Study of Virtual IoT System using Edge Computing)

  • 김민아;석승준
    • KNOM Review
    • /
    • 제23권1호
    • /
    • pp.51-62
    • /
    • 2020
  • 통신 인프라를 공유하고 클라우드 자원을 유연하게 제공하는 개방형 IoT 플랫폼을 활용함으로써 스마트 서비스 개발 시간과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물리 IoT 디바이스를 가상의 IoT 디바이스로 구현하고 서비스 개발자가 가상 디바이스와 연동하도록 하는 엣지 컴퓨팅 기반 가상 IoT 시스템을 개방형 IoT 플랫폼으로 제안한다. 물리 IoT 디바이스 인근 엣지 클라우드 내 관리 서버는 물리 IoT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가상 IoT 디바이스의 생성, 이동, 제거를 관리한다. 논문에서는 가상 IoT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인 관리 서버와 물리 IoT 디바이스 그리고 가상 IoT 디바이스의 동작을 정의하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통신 프로토콜을 설계한다. 마지막으로 모의실험을 통해 각 구성 요소가 정의된 상태와 동작을 설계된 것과 같이 수행함을 확인함으로써 엣지 클라우드 기반 가상 IoT 시스템 성능을 검증한다.

가상 현실 게임 환경에서의 가상 손 제어를 위한 사용자 손 인식 방법 (A Method of Hand Recognition for Virtual Hand Control of Virtual Reality Game Environment)

  • 김부년;김종호;김태영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49-5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손을 인식하여 가상현실 게임 환경에서 가상의 손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통하여 사용자의 손 이동과 가리키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가상의 손을 게임 화면에 나타낸다.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은 가상의 손이 물건을 선택하고 옮기도록 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로 활용할 수 있다. 제안하는 방법은 비전 기반 손 인식 기법으로 먼저 RGB 컬러영역에서 HSV 컬러영역으로 입력영상을 변환하고 H, S 값에 대한 이중 임계값과 연결 요소 분석을 이용하여 손 영역을 분할한다. 다음으로 분할된 영역에 대하여 0, 1차 모멘트를 적용하고 이를 이용하여 손 영역에 대한 무게 중심점을 구한다. 구해진 무게중심점은 손의 중심에 위치하게 되며, 분할된 손 영역의 픽셀 집합 중 무게중심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픽셀들을 손가락의 끝점으로 인식한다. 마지막으로 무게중심점과 손 끝점에 대한 벡터를 통하여 손의 축을 구한다. 인식 안정성과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누적 버퍼를 이용한 떨림 보정과 경계상자를 이용한 처리 영역을 설정하였다. 본 논문의 방법은 기존의 비전 기술을 통한 손 인식 방법들에 비하여 별도의 착용 마커를 두지 않고 실시간으로 처리가 가능하다. 다양한 입력 영상들에 대한 실험 결과는 제안 기법으로 정확하게 손을 분할하고, 안정된 인식 결과를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운동관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3차원 인체모형의 동작제어 (Motion Control of 3D Human Character Using Motion Database)

  • 김시중;국태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62-267
    • /
    • 1998
  • A hierarchical motion control system for animation of 3D human character is implemented using the motion database in realtime. The proposed motion control system consists of coordination controller for gait timing and balancing of walking motion, joint servo controller for realistic limb movement, and motion database for goal-directed character animation which makes time-consuming animation relatively easy task. As one example among the various applications of the proposed motion control system. We present a simple virtual reality system in which the motion control system plays a central role in generating realistic motion of virtual human character.

  • PDF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서의 이미지 가상화 연구 (A Study on the Image-Virtualization in Fashion Illustration)

  • 김순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05-516
    • /
    • 2008
  • Image which appears in fashion illustration on the late twentieth century is not the representative image as an equivalence to the real fashion styles but the virtual image which bears no relation to any re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view the concept of virtuality and analyze in which way virtual image is expressed in fashion illustrations on the background of Jean Baudrillard's simulacre theory. In post-modem paintings the expression methods of image-virtualization were image mixing through photo-image appropriation, image overlapping, and the icons inserted unreasonably, the focus-out effect through scrubbing and the over-painting on the photograph. Image-virtualization in fashion illustration was expressed through image mixing and expression of image uncertainty. Image mixing was made by photo-image appropriation, image overlapping, connection of heterogeneous images and using interface image, and uncertain image was expressed through the expression of visual ambiguity and virtual movement.

A Study on MTL Device Design and Motion Tracking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 Oh, Am-Suk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7권3호
    • /
    • pp.205-212
    • /
    • 2019
  • Motion tracking and localization devices are an important building block of motion tracking systems in a virtual reality (VR) environment. This study is about improving the accuracy of motion and location for enhancing user immersion in experience type VR environment to position tracking technique. In this study, we propose and test a design of such a device. The module data test of the attitude and heading reference system shows that the implementation with the MPU-9250 sensor is successful and adequate to be used with short operation time. We consider various sensor hardware dependencies of VR, and compare various correction methods and filtering methods to lower the motion to photon (MTP) time that user movement is fully reflected on the display using sensor devices. The Kalman filter is used to combine the accelerometer with the gyroscope in the sensing unit.

4차 산업혁명시대 ; 무용공연예술의 현실-가상미디어 연결시스템 분류 및 사례연구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A Classification of Reality-Virtual Media Connection System and Case Studies on Dance Performing Arts)

  • 조성희;김은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544-554
    • /
    • 2018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무용분야의 현실-가상 미디어 연결 시스템을 분류하고 무용작품에서의 현실-가상 미디어 연결 시스템 활용을 사례 분석한 문헌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인터렉티브 미디어 무용공연으로 제한하여 청키 무브(Chunky Move)의 "Glow"(2006), 남영호 "S.U.N"(2011)와 "달항아리"(2013), 아드리안 앤 클레이레(ADRIEN M & CLAIRE B)의 "PIXEL"(2014), 미다스 프로젝트(Midas Project)의 "Midas Space"(2011)에서 사용된 현실-가상미디어 연결시스템의 사례들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현재까지 이루어진 무용공연에서의 현실-가상미디어연결시스템은 크게 동작 트레킹 시스템과 프로젝션 맵핑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사례 연구에서는 작품별로 다양하고 독창적인 현실-가상미디어 연결시스템이 고안되었고, 이 시스템은 움직임과 영향을 주고 받았으며, 시스템은 작품의 주제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따라서 앞으로 인공지능의 개발을 통해 현실-가상미디어연결시스템의 적극적인 사용, 모션 트레킹이 가능한 사물인터넷의 발달 가능성을 인지, 무용가와 엔지니어 간의 소통, 사례연구를 추가적으로 진행하여야 한다.

3차원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감성 유발 화면 구성 요소에 대한 사용자 인식 분석 연구 (The Study of the Analysis of a User's Perception of Screen Component for Inducing Emotion in the 3D Virtual Reality Environment)

  • 한형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65-176
    • /
    • 2018
  • 다양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기존 이러닝 등의 2차원적 학습 콘텐츠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한 가지 방안으로 3차원적 가상현실 활용 가능성에 대한 모색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가상현실에서의 화면 구성은 학습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감성을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다. 하지만 화면의 어떠한 측면이 감성을 유발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감성을 유발할 수 있는 가상현실 학습 환경에서의 화면 구성 요소에 대한 사용자 인식을 분석하는 목적을 지닌다. 대표적인 가상현실 학습 환경 플랫폼 주요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다차원척도(Multi Dimensional Scaling, MDS)분석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사용자는 화면에서의 공간의 깊이 차원과 아바타 등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역동성 차원에서 감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가상현실에서의 화면 요소중 감성을 유발할 수 있는 기술적 변인을 탐색해 보는데 의의를 지닌다.

뇌기능 장애 환자의 가상 환경 움직임(Virtual Moving Surround) 자극에 따른 자세 균형 제어 (Postural Control During Virtual Moving Surround Stimulation in Patients with Brain Injury)

  • 김연희;최종덕;이성범;김종윤;이석준;박찬희;김남균
    • 감성과학
    • /
    • 제5권4호
    • /
    • pp.67-75
    • /
    • 2002
  • 뇌기능 장애 환자에서 자세균형 제어능력의 저하는 보행 및 일상생활동작 수행 등에 어려움을 초래하며 이에 대한 정확한 평가 및 치료를 위하여 일상의 환경변화와 유사한 상황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자세균형 조절 능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뇌기능 장애 환자에서 가상적 움직이는 환경에 따른 자세균형 조절 기능을 정확히 평가하고 환경의 움직임이 자세균형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15명의 뇌기능 장애 환자들과 정상인 15명을 대상으로 실생활과 유사한 환경의 조성을 위하여 HMD를 이용한 가상 환경 움직임(Virtual Moving Surround)을 네 가지 다른 패턴으로 제공하였다. 자세동요의 정도는 힘판을 이용하여 신체압력중심의 변화를 전체이동거리, 동요주파수, 최대 빈도 COP 위치로 측정하였으며 가상 환경의 차이에 따른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검사 재검사 신뢰도평가에서 일관된 분석결과를 나타냈고 뇌 기능장애 환자와 정상인의 분석에서는 두 그룹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전후로 빠르게 변하는 가상 환경에서 가장 큰 자세동요를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뇌기능 장애 환자에서 가상 환경 변화가 자세균형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환자들을 위한 치료와 평가 환경 조성 등에도 유용한 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가상현실과 전통적 균형훈련이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Training and Traditional Balance Training on Balance in Patient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 김수현;박소희;김다정;곽유진;신연진;김수진
    • PNF and Movement
    • /
    • 제18권2호
    • /
    • pp.183-194
    • /
    • 2020
  • Purpose: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FAI) causes tension in the joints, ligaments, and tendons, and the impact on visual and vestibular organs leads to imbalance.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a traditional balance training program to virtual reality training to improve FAI. Methods: Twenty-four participants with FAI (CAIT score < 24) were assigned to a virtual reality training group (n = 13) and a traditional balance training group (n = 11). Both groups pursued their respective training program for four weeks. After a ten-minute warm-up, participants completed a 30-minute training session, three times per week. The traditional balance training group underwent static and dynamic training using a balance board and a stability trainer pad while the virtual reality group underwent balance training using a virtual reality program. Biorescue was used to measure changes in the speed and length of center of pressure (COP) for single-leg stance pre- and post-training. Results: The speed and length of COP improv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after training as compared to before (p < 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se outcomes between the virtual reality training group and the traditional balance training group (p>0.05).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both virtual reality training and traditional balance training in reducing ankle instability, with no difference in treatment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