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8.18.09.544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A Classification of Reality-Virtual Media Connection System and Case Studies on Dance Performing Arts  

Cho, Sung Hee (강원대학교)
Kim, Eun Jung (예술창작 날좀보소)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Reality-Virtual Media Connection System in dance field and to analysis cases of dance pieces using Reality-Virtual Media Connection System based on a literature study. It is limited to interactive media dance performances, such as "Glow"(2006) of Chunky Move, "S.U.N"(2011) and "Dalhangari"(2013) of Young ho Nam, "PIXEL"(2014) of ADRIEN M & CLAIRE B, "Midas Space"(2011) of Midas Project. As a result, first, Reality-Virtual Media Connection System is composed with motion tracking system and projection mapping system. Second, each dance piece has various and unique Reality-Virtual Media Connection System. It has influenced on movement and its subjects.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use Reality-Virtual Media Connection System actively by developing of artificial intellectual, awaring potential of internet of things for motion tracking, and increasing communication between dancers and engineers. It is necessary to proceed supplement research on more cases.
Keywords
Dance Content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ality-Virtual Media Connection System; Connectivity; Automation; Interactive Media Performance; Reality-Virtual Media Connection System;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강순, "ICT를 활용한 초등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체육교육학회지, 제18권, 제2호, pp.77-89, 2013.
2 조병제, 김하석, "제7차 교육과정 중 ICT 활용이 수업에 미치는 영향 및 개선," 대불대학교 논문집, 제9권, 제1호, pp.477-499, 2003.
3 김형숙, 황정환, "ICT기반 인터랙티브 아트 STEAM프로그램 개발: 고등학교중심," 한국무용과학회지, 제32권, 제2호, pp.47-57, 2015.
4 신은경, "과학기술 발달과 고등 무용교육의 추진 과제," 한국무용교육학회, 제28권, 제3호, pp.5-21, 2017.
5 이의신, 김선영, "4차 산업혁명 시대, 공연예술산업을 위한 공연예술통합전산망 고찰," 한국과학예술포럼, 제28권, pp.227-224, 2017.
6 정영미, "4차 산업혁명 시대-대체인간 실연의 지식재산권에 관한 연구," 문화예술경영학연구, 제10권, 제1호, pp.77-94, 2017.
7 맹주영, 로봇산업과 문화예술산업의 융합 활성화 방안 연구: 4차 산업혁명의 관점에서, 카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8 프리더 웨이스 홈페이지, http://www.frieder-weiss.de/
9 김미애, 무용테크놀로지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10 이진영, 키넥트 방식의 3D 모션캡쳐를 통한 김백봉 부채춤 동작 분석 및 활용 방안,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11 김성호, "Kinect Sensor를 이용한 실시간 3D 인체 전신 융합 모션캡쳐,"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1호, pp.189-194, 2016.   DOI
12 라세영, 디지털 매체예술(Digital Media Art)과 협업을 통한 무용공연의 확장성에 관한 고찰,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3 Compagnie CoreeGraphie, S.U.N.Seon (zen) Universel Numerique, A STUDY ON DANSE AND KOREAN TRADITIONAL, MARTIAL ARTS, 2011. http://www.ran-dan.net/eng/wp-content/uploads/2011/10/RAN-projet-def-anglais-compagnie-Cor%C3%A9eGraphie.pdf
14 B. Chung, "Watch Dancers Wander Through A Digital Dream World," Creators, 2014.12.20. https://creators.vice.com/en_us/article/53w3xd/watch-dancers-wander-through-a-digital-dream-world, 2018.07.01.
15 A. Nasonov and A. Krylov, "Grid warping in total variation image enhancement methods," 2014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mage Processing (ICIP), pp.4517-4521, 2014.
16 허가영, "프로젝션 맵핑, 새로운 무용의 가능성을 펼치다: 무용공연 및 융복합공연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논문집, 제75권, 제3호, pp.163-184, 2017.
17 Madmapper 홈페이지, https://madmapper.com
18 주선희, 디지털 테크놀러지가 무용창작 환경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9 청키 무브 홈페이지, https://chunkymove.com/
20 남영호 홈페이지, http://compagnie-coreegraphie.com
21 S.U.N 프로그램북, 남영호 무용단, 2011.
22 오하영, 감성논리 관점에서 본 국내 융복합 무용 작품 분석,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3 김민관, "2011SPAF 남영호무용단 S.U.N 리뷰 :사운드로 번역되는 호흡," Review/Dance, 2011.11.6.
24 cosmos circus, "CIE YOUNG HO NAM 2," youtube.com, 2013.08.16. https://www.youtube.com/watch?v=dY1jJJuJqCA)
25 2013 SIDance 프로그램북, 국제무용협회 한국본부, 2013.
26 신사빈, "<달항아리> 공연의 음양오행적 융합 경향: 무용음악을 중심으로," 음악과 민족, 제47권, pp.107-137, 2014.
27 ADRIEN M & CLAIRE B 홈페이지, https://www.am-cb.net/en/projets/pixel
28 김은정, 조성희, "실시간 인터렉티브 미디어 시스템을 활용한 무용공연의 사이버 물리 시스템 구조,"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pp.279-280, 2018.
29 C. Tim, "Microsoft bets big on Kinect for Windows, but splits its community," Arstechnica, 2012.12.1. https://arstechnica.com/information-technology/2012/01/microsoft-bets-big-on-kinect-for-windows-but-splits-its-community/
30 MIDASpaces, "The MIDAS Project: MIDAS #1," youtube.com, 2011. https://www.youtube.com/watch?v=lF2AR_y9s3s
31 한탁돈, "미래의 스마트 공간 여행," 한국연구재단 금요일에 과학터치 2017년 06월 09일 강연자료, 2017. from: http://sciencetouch.nrf.re.kr/
32 김대호, 4차 산업혁명: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CommunicationBooks, 2016.
33 김소영, 인터미디어 활용과 무용작품 변화양상 : Chunky move 작품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4 박명숙, 태혜신, 오하영, "감성논리 관점에서 본 국내 최근 융복합 무용작품분석," 한국체육학회지, 제53권, 제5호, pp.393-409, 2014.
35 이승주, "국내 디지털 멀티미어와 관련된 무용학 분야의 연구동향," 한국무용과학회지, 제12권, 제1호, pp.75-83, 2012.
36 이원미, 백현순, "3D홀로그램을 이용한 무용공연콘텐츠," 한국무용연구, 제35권, 제1호, pp.47-67, 2017.
37 조양희, 디지털매체 시대의 무용작품 분석을 통한 안무방법 확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38 태혜신, 박명숙, "디지털시대 무용학 연구패러다임과 미래전망," 한국체육학회지, 제51권, 제1호, pp.411-427, 2012.
39 백주미, 김화례, "ICT기반 노인건강 증진을 위한 무용 콘텐츠 개발에 대한 제언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423-429, 2017.   DOI
40 양진숙, 차수정, "뉴 실버세대를 위한 ICT기반 댄스게임의 교육적 가치와 활용가능성 연구 -미국 ICT기반 댄스게임을 중심으로-," 한국무용연구, 제34권, 제2호, pp.89-120, 2016.
41 오레지나, 설자영, "ICT활용 초등 한국무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무용교육학회지, 제15권, 제2호, pp.35-51, 2004.
42 홍미성, "ICT를 활용한 초등학교 무용학습이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학회지, 제3권, pp.53-62,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