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nyl house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9초

시설과채류(오이, 참외)의 뿌리혹선충 종합방제에 관한 연구 (Study on Integrated Control against Root-knot Nematode of Fruit Vegetables (Oriental Melon and Cucumber) in Vinyl House)

  • 박소득;박선도;권태영;최부술;이원식;최영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5-81
    • /
    • 1995
  • 시설 과채류 재배지의 뿌리혹선충의 피해경감을 위해서 경북도내 시설 오이 재배단지인 칠곡과 참외재배 주산지인 성주에서 1992년부터 1994년까지 3년간 방제시험한 결과 뿌리혹선충의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한 토양개량 적기는 모래산흙인 마사토의 경우에 3년 붉은산흙인 경우 4년마다 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농약과 조합한 오이의 방재시험에서 빗사마드 분제가 78.2%, 카보입제+토양반전+담수가 71.2%, 카보입제+담수가 66.3%이었으며 참외에서 살충제처리후 20일에는 77.7~80.6%의 방제효과를 보였으나 60일 후에는 33.7~49.5%로 방제가 낮아 후기에는 효과가 낮았다. 참외재배 논에서의 작부체계에 따른 뿌리혹선충 밀도 억제효과는 참외 재배후 담수하여 벼를 재배할 때에 벼 수확시 방제효과가 91.1%로 대부분의 선충이 사멸되었다. 각 처리구 공히 처리당시에는 뿌리혹선충 증식을 억제하였으나 생육추기로 갈수록 선충밀도가 증가되었다. 그러나 토양개량은 3년간 효과적이였으며 가장 경제적으로 선충의 증식을 억제하 수 있는 처리는 3년마다 한번씩 벼를 재배하는 것이었다.

  • PDF

Root Colonizing and Biocontrol Competency of Serratia plymuthica A21-4 against Phytophthora Blight of Pepper

  • Shen, Shun-Shan;Choi, Ok-Hee;Park, Sin-Hyo;Kim, Chang-Guk;Park, Chang-Seu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1권1호
    • /
    • pp.64-67
    • /
    • 2005
  • The biocontrol agent Serratia plymuthica A21-4 readily colonized on the root of pepper plant and the bacterium moves to newly emerging roots continuously. The colonization of A21-4 on the pepper root was influenced by the presence ofPhytophthora capsici in the soil. When P. capsici was introduced in advance, the population density of A21-4 on the root of pepper plant was sustained more than $10^6$ cfu/g root until 3 weeks after transplanting. On the other hand, in the absence of P. capsici, the population density of A21-4 was reduced continuously and less than $10^5$ cfu/g root at 21 days after transplanting. S. plymuthica A21-4 inhibited successfully the P. capsici population in pepper root and rhizosphere soil. In the rhizosphere soil, the population density of P. capsici was not increased more than original inoculum density when A21-4 was treated, but it increased rapidly in non-treated control. Similarly, the population density of P. capsici sharply increased in the non-treated control, however the population of P. capsici in A21-4 treated plant was not increased in pepper roots. The incidence of Phytophthora blight on pepper treated with A21-4 was 12.6%, while that of non-treated pepper was 74.5% in GSNU experimental farm experiment. And in farmer's vinyl house experiment, the incidence of the disease treated with the fungicide was 27.3%, but treatment of A21-4 resulted in only 4.7% of the disease incidence, showing above 80% disease control efficacy.

우리나라의 확률적설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robable Snowfall Depth in Korea)

  • 이재준;정영훈;이상원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7권2호통권25호
    • /
    • pp.53-63
    • /
    • 2007
  • 국내의 경우 매년 발생하는 홍수에 대해서는 많은 분석과 대비를 하고 있지만, 겨울철 폭설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산하 52개 관측지점의 30년 이상의 최심신적설량 자료를 수집하고 각 지점별 적설량의 최적분포형을 결정하여 확률적설량을 산정하였으며, 지역별 확률적설량의 분포를 파악하기 쉽게 재현기간별 확률적설량도를 작성 제시하였다. 지점별 최심신적설량의 적정분포형으로는 2모수 gamma분포가 우세하였고, 과거 주요폭설기록의 재현기간은 약 500년 내외를 보인 2005년, 재현기간 약 200년 정도를 보인 2004년의 확률적 규모를 볼 때 설하중에 대한 설계기준의 확립이 긴요하다. 우리나라의 확률적설량은 남부지방인 영 호남 지역 보다 중부지방으로 올라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을 경계로 서쪽과 동쪽의 편차가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Properties of Charcoal Board Manufactured from Domestic Wood Waste

  • Seo, In-Su;Lee, Hwa-Hyoung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37-247
    • /
    • 2010
  •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properties of black charcoal board, in order to find the proper manufacturing condition for the black charcoal-board made of the charcoal. The charcoal in this study was distillated from domestic wood waste, and it were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see if the black charcoal-board has the advantageous properties of charcoal as a well-being building material against the sick house problem. Domestic wood waste was consisted of MDF 40%, PB 30%, plywood 15% and wood 15%, respectively. Black charcoal board was produced by hot pressing with following conditions; temperature $170^{\circ}C$, three stage pressing cycle of $40-10-40\;kgf/cm^2$(1min.-2.5min.-5min.) and non formaldehyde adhesives [P15%+M5%:MDI(M), poly vinyl acetate emulsion(P). Fine mixed particle size [#6-12(16.9%), #12-18(16.7%), #12-40(47.2%), #40-60(9.5%), #60-100(5.9%), less than #100(3.8%)] gave better results than larger particle size [over #6(33.8%), #12-18(17.7%), #12-40(37.7%), #40-60(6.4%), #60-100(2.6%), less than #100(1.8%)]. Final moisture content of the mat was best at 36%. Black charcoal-board showed less MOR and IB(internal bond), more WA(water absorption) than that of white charcoal-board. Black charcoal board showed not only the same gas adsorption and dimensional stability as white charcoal board but also good cutting, nailing and drilling for indoor environment systems.

  • PDF

작약 재배년한 단축을 위한 효과적인 재배법 (Effective Cultivation Method for Early Harvesting of Paeonia lactiflora Pall)

  • 김기재;박소득;박준홍;김재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3-87
    • /
    • 2006
  • 작약의 재배 기간을 단축시켜 생산비를 줄이기 위한 시험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하우스재배에서는 노지에 비하여 맹아의 출현과 개화가 촉진되었으나 지상부 및 뿌리의 생육이 불량하였고 2년생의 10a당 수량은 533kg으로 무처리 보다 19% 감수되었다. 분주묘 크기가 $100g{\sim}130g$인 대묘를 식재한 경우 2년생 뿌리 수량이 관행 재배 2년생에 비하여 15% 증수되었다. 대묘(노두 무게 $100{\sim}130g$)를 이랑너비 60cm, 포기사이 25cm로 밀식하고 흑색비닐을 식재부터 수확까지 2년간 피복한 것이 생육과 뿌리 품질이 양호하였고, 10 a당 뿌리수량이 902kg으로 가장 많았다. 작약을 $3{\sim}4$년 만에 수확하던 것에 대치하여 2년 만에 수확할 수 있는 방법은 대묘를 식재하거나, 대묘를 밀식하여 식재부터 수확까지 흑색비닐을 피복하는 방법인데, 이 경우 농가관행 3년생에 비하여 수량의 차이는 있었으나 10 a당 년간소득은 $15{\sim}28%$ 향상되어 재배기간을 1년 단축시키고 경지 이용율을 높이면서 생산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었다.

약용식물인 야우 (Colocasia antiquorum Schott ) 의 주년재배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Year-round Production of Colocasia antiquorum Schott in Medicinal Herb)

  • 이종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9-65
    • /
    • 1991
  • 남부지방에서 무가온 하우스 및 터널등 피복재료로서 재배형을 달리하여 조기생산의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본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하우스내의 반촉성 재배 결과 7월 30일 조기수확이 가능하였으며, 특히 멀칭 + 터널구에서는 엽병수확이 1,600kg/10a을 생산할 수 있었고, 괴경수량도 700kg/10a 수확이 가능하였다. 2. 조숙재배의 1차 (8월 30일) 수확은 멀칭터널구가 엽병수량 4,200kg/10a, 괴경수량 1,900kg/10a을 생산할 수 있어 다른 수확에 비히여 크게 증수되었으며, 2차 (9월 30일) 수확에서도 멀칭과 멀칭 + 터널구가 괴경수량은 현저하게 배수되었다. 그러나 괴경수량은 8월 30일 보다 감소되는 경향으로서 조기재배는 8월 하순경이 식물체 지하부의 생장최성기가 되었다. 이상 결과로 보아 하우스내에서 야우을 3월 상순 안식할 경우 7월 하순경에 초기생산을 할 수 있었으며, 오역에서 조숙재배로 8월하순 조기생산을 할 수가 있어서 약용식물로 조기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오갈피나무의 육묘이식재배(育苗移植栽培)에 따른 생육특성(生育特性) (Growth Characteristics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Seem Seedling Grown under Different Conditions and Seasons)

  • 조선행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2-26
    • /
    • 1999
  • 오갈피나무의 묘목(苗木)을 실생(實生)으로 대량생산 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일환으로 하우스를 이용한 육묘이식재배(育苗移植栽培) 시험을 수행하면서 출아율(出芽率), 활착률(活着率), 득묘율(得苗率) 및 생육특성(生育特性)을 조사하였다. 출아율(出芽率)은 하우스내 파종에서 약 90%의 수치를 보였으나 노지직파(露地直播)에서는 약 40%로 나타났으며, 이식할 때 본엽수(本葉數)에 따른 활착률(活着率)은 본엽 $2{\sim}3$매에서 100%이었으나 그보다 적거나 많으면 감소하였다. 그리고 이식시기에 따른 활착률(活着率)은 4월 하순부터, 5월 초순에는 100%로 나타났으나 그보다 이르거나 늦으면 감소하였다. 또한 득묘율(得苗率), 수고(樹高), 근장(根長) 및 생체중(生體重)은 노지직파재배구(露地直播栽培區)보다 육묘이식재배구(育苗移植栽培區)에서 모두 높은 수치를 보였다.

  • PDF

공중취목 피복재료가 소사나무 분재소재의 발근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otball Media and Covering Materials for Air-layering on Rooting and Growth of Miniature Tree Material of Carpinus coreana)

  • 최병철;홍성각;김종진
    • 임산에너지
    • /
    • 제21권1호
    • /
    • pp.32-40
    • /
    • 2002
  • 본 연구는 공중취목시 환상박피 부위를 감싸는 재료(rootball medium) 및 rootball medium을 다시 둘러싸는 피붕재료가 영향하는 분재 소재의 발근 및 생장 반응을 탐구하고자 소사나무를 대상으로 비닐은실에서 수행되었다. 환상박피 상부 1cm 부위의 직경생장은 피봉재료로 황마테이프를 사용하였을 때 증가하였으며, 당년도 발생한 잎, 가지의 건중량은 rootball 재료로 peatmoss 와 perlite의 혼합 배양토(2:1, v/v)와 피봉재료로 황마테이프를 같이 사용하였을 때가 많았다. 길이 10cm 이하의 가지 발생 수와 그 가지에서 발생된 잎의 수는 rootball 재료로 배양토보다 수태를 사용하였을 때 많았다. 환상박피 부위의 발근 소요일은 황마테이프 사용에 의하여 단축되었고, 또한 황마테이프 사용은 박피 부위에서 세근 발생을 촉진시켰으며 발생 전체 뿌리 건중량을 증가시켰다. 반면에 수태사용은 배양토 사용시 보다 장근 발생수를 증가시켰다.

  • PDF

플라스틱 온실의 강관 이음부 휨성능 분석 (Evaluation of Steel-Pipe Connections in Plastic Greenhouse Using Bending Test)

  • 최만권;류희룡;조명환;유인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91-39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사용되는 온실 강관의 이음 방법에 대해 휨성능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휨성능이 우수한 이음 방법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모든 실험체는 이음이 없는 실험체 보다 휨성능이 작았다. 그러나 모든 실험체의 최대 휨모멘트는 이음이 없는 실험체 소성모멘트의 1.07~1.3정도로 나타났다. 또한 연결방법에 따른 결과는 연결핀 보다 인발 실험체가 상대적으로 큰 휨성능을 보였다. 현장 이음 방법의 파괴 모드는 연결핀과 강관 끝부분의 응력집중에 의한 국부좌굴이 지배적이었다. 현장시공 시 강관을 절단 후 연결할 경우, 이음 없이 사용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휨성능을 발휘하지만 부득이 강관을 절단할 경우는 연결핀보다는 인발 강관에 직결나사로 고정한 이음 방법(SPJ-F)으로 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농촌 자동화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 개발 (Development of a Remote Control Equipment For Farm Automation)

  • 최종준;박상호;최영규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5권4호
    • /
    • pp.19-26
    • /
    • 2008
  • 본 논문은 PLC를 이용하여 화훼재배, 수경재배, 비닐하우스재배 둥에 응용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를 개발하였다. 정보처리 및 자동화 분야의 급속한 발전으로 원격공장 자동화, Home Automation 등이 개발되어 실용화 되었으나 높은 가격으로 인한 경제적인 문제로 농업 응용분야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PLC를 이용하여 간단한 모듈로 고가의 시스템의 기능을 대체함으로서 경제성이 뛰어난 제품을 개발하였고 화훼재배, 비닐하우스 등 농촌지역의 자동화 시스템 개발의 가능성을 보였다. 모터제어기술, 마이크로프로세서, PLC프로그래밍,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을 종합적으로 구현하여 본 자동화기술 시스템의 응용 모듈을 개발함으로써 화훼재배, 수경재배 둥과 같이 사람의 출입이 제한되고 작업이 어려운 곳에 원격제어를 통해 효과적으로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