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llage Forest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27초

문화역사마을가꾸기 사업의 역사문화자원 활용 방식 고찰 - 덕봉마을, 회촌마을, 효동마을, 입산마을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History Culture Resources of Cultural Historic Village Project - Targeting Deokbongmaeul, Hoechonmaeul, Hyodongmaeul and Ipsanmaeul -)

  • 김둘이;소현수
    • 농촌계획
    • /
    • 제24권1호
    • /
    • pp.33-44
    • /
    • 2018
  • This study, targeting Deokbongmaeul, Choonchonmaeul, Hyodongmaeul and Kangsanmaeul, drew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y culture resource utiliz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project plans and performance reports and field surveys. First, Deokbongmaeul is a rural village with scattered Confucian facilities. Ipsanmaeul conforms to Confucian order and has an attractive housing area landscape. Hoechonmaeul has forest landscape and distinguishing intangible recourses like Maeji farmer's music and traditional techniques and legends. Hyodongmaeul shows folk resources and folk behavior like traditional play and techniques. Second, the history culture resources chosen from the project plans focus on intangible history resources like individual historic buildings & structures and customs & traditional techniques. Third, cultural historic village projects are categorized by repair and restoration of historic buildings and structures, development of experience program and building facilities and maintenance and establishing the village landscape elements. From the research results, it is explained that history culture resource utilization methods of cultural historic village project are hard to be expected to have the project results based on the landscape identities of four villages.

조경식재를 통한 농촌마을 경관조성에 관한 연구 - 함안군 여항면 내곡리를 사례로 - (Landscape Design for the Rural Village - A Case Study of Naegokri, Yeohang-myeon, Haman-gun -)

  • 김상범;이승주;이상영
    • 농촌계획
    • /
    • 제14권1호
    • /
    • pp.59-71
    • /
    • 2008
  • The landscape commonly refers to the appearance of the land, including its shape, texture, and colours. Among many factors contributing to the landscape, tree and plants factors playa significant role in rural landscape as a colours. Therefore the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 where had been designated under the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 since 2007 in Naegok-ri, Eohang-myeon, Haman-gun has planned to design the tree plant planning for creating a unique rural landscape. The landscape proposal for the new Rural Village in Naegokri, Yeohang-myeon, Haman-gun suggests three main strategies; 1) The riverside area and reservoir area adjoined forest was required to be prepared to offer organization waterside landscape and forest landscape through landscape planting and selecting trees i.e. able to reflect sense of the season that promote high quality values of landscape area in rural. 2) The area adjoined stable was required to strengthen the screen planting and buffer planting with multiple plant layer structure and trees of branches and leaves closeness, shrubs of beauty flowers in order to improve disamenity landscape and odours. 3) The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 adjoined entrance was required to open space such as multipurpose garden, specialized or themed garden which include Landmark factors and prepared to the space with the various theme and visual diversity in order to take charge of function as landmark characteristic in Naegok-ri, Eohang-myeon, Haman-gun, and so on. In conclusion, this winning principal purpose of this study is applied to basic tree plant model for sustainable rural landscape creation in rural areas by selecting beautiful landscape plants and the tree plant planning.

산촌(山村)의 노동력(勞動力)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Labor Change in Mountainous Villages)

  • 유병일;박명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37-45
    • /
    • 1979
  • 본(本) 연구(硏究)는 임업(林業) 생산(生産)의 주축(主軸)을 형성(形成)하고 있는 산촌(山村)이란 특수지역(特殊地域)을 대상(對象)으로 산촌입구(山村入口)의 대량(大量) 유출(流出) 현상을 고찰하고 산촌(山村) 노동력(勞動力)의 변화(變化)가 농가경영(農家經營)과 임업생산(林業生産)에 미치고 있는 파급(波及) 양상(樣相)을 분석(分析) 검토(檢討)하고자 시도 되었으며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산촌내(山村內) 입구(入口)의 대량(大量) 유출(流出)은 70년대(年代) 중반(中半)부터 표면화(表面化)되고 있으며 전출(轉出) 속도(速度)는 점차 가속화(加速化) 하고 있다. 2. 입구(入口) 유출(流出)은 임업생산(林業生産)이 활발(活發)치 못한 지역(地域)에서 임업생산(林業生産)이 활발(活發)한 지역(地域)보다 더욱 심하다. 3. 임업(林業)이 선진(先進)한 산촌(山村)에서는 임업생산(林業生産) 활동(活動)을 통(通)해 농가(農家)의 잉여축적(剩余蓄積)이 가능(可能)하였고 농민층(農民層)의 분화(分化) 현상(現象)이 나타나고 있으며 농촌업(農村業)을 중심(中心)으로 하는 농가(農家)의 겸업화(兼業化)가 진행(進行)중에 있다. 4. 산촌(山村)의 입구유출(入口流出)은 16~30재(才) 계층(階層)이 82~85%를 차지하고 있으며 결과적(結果的)으로 노동력(勞動力)의 노령화(老令化) 부녀화(婦女化) 등 질적(質的) 저하(低下) 현상이 현재화(顯在化)하고 있다. 5. 임업노동(林業勞動) 시장(市場)의 성격(性格)은 유촌지역내(由村地域內)에서 수급(需給)이 조절되던 과거(過去)의 폐쇄적(閉鎖的)인 모습에서 개방적(開放的)인 모습으로 변화(變化)되어 가고 있다.

  • PDF

지리산국립공원 내 사유림이용에 있어서 이해당사간의 갈등과 산림이용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Differences about Using the Private Forests and Conflicts among the Stakeholders related with Mt. Jiri National Park)

  • 김의경;김동현;김현근;김성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4호
    • /
    • pp.494-501
    • /
    • 2007
  • 지리산국립공원 내 사유림이용에 있어서 이해당사자 간 갈등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산국립공원의 가치와 갈등에 대해 이해주체 간 인식차이를 규명하고 갈등해결을 위한 합의점을 도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립공원의 가치와 갈등인자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각각 4가지 요인으로 축약하였다. 그리고 이해주체 간 인식 차이는 t-검정과 Duncan다중검정으로 구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국립공원의 가치에 대한 인식은 마을주민과 산림청 지자체는 인식을 같이 하고 있었으나, 국립공원은 대립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갈등에 대한 인식은 국립공원과 산림청 지자체가 인식을 함께하고 있었으나, 마을주민은 대립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갈등해결을 위한 방향으로 협의체 구성과 이유에 있어서 이해주체 모두 인식을 함께 하였고, 산림이용을 위한 명확한 행위기준이 필요하며, 규제정책의 집행에 있어서 규제수단은 용도지구에 따라 차등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국가지정 문화재 민속마을의 외래식물 식재 및 발생현황 - 하회.양동.한개마을을 대상으로 - (The Planting and Occurrence Status of Exotic Plants of the Folk Village as National Cultural Heritage - Focus in Hahoe.Yangdong.Hangae Villages -)

  • 노재현;오현경;한윤희;박경욱;변무섭;허준;최영현;신상섭;이현우;김효정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9
    • /
    • 2013
  • 역사공간의 진정성 제고와 보존관리에 활용될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국가지정 문화재인 경상북도 소재 안동 하회마을, 경주 양동마을, 성주 한개마을 등 3개 민속마을의 외래식물 분포현황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민속마을의 전체식물상은 127과 430속 614종 5아종 100변종 33품종으로 총 75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그 중에 목본식물은 263분류군(35.0%), 초본식물은 489분류군(65.0%)으로 나타났다. 하회 양동 한개마을의 전체 식물상은 각각 총 534 479 408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외래식물률은 30.1 38.2 37.0%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관상외래식물이 135분류군, 풍치외래식물이 21분류군, 경작외래식물이 64분류군 그리고 귀화외래식물이 80분류군 으로 나타나, 관상외래식물의 비율이 탁월하게 높았다. 마을별로는 하회마을 161분류군(30.1%), 양동마을 183분류군(38.2%), 한개마을 151분류군(37.0%)으로 양동마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의 외래식물이 확인되었다. 2. 하회마을내 단위문화재로 지정된 고택 정원에 식재된 관상외래식물은 총 30분류군이고, 옥연정사(8분류군) 양 진당(7) 하동고택(6) 충효당(5) 등의 순으로 외래식물수가 높았으며, 백목련 능소화의 식재율이 탁월하였다. 양동마을에서는 총 51분류군이 관찰되었는데, 두곡고택(16분류군) 수졸당(14) 무첨당(13) 상춘헌고택(12)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국 불두화 상사화 등의 출현율이 높았다. 그리고 한개마을의 관상외래식물은 총 62분류군으 로 진사댁(35분류군), 교리댁(25) 한주종택(20) 하회댁(16) 등의 순이었으며, 골담초 뚝향나무 백목련 불두화 산당화 등의 출현률이 높았다. 3. 정원 외부를 살펴보면 하회마을에서는 만송정 숲 하부에는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식물인 돼지풀이 높은 우점도로 생육하고 있어, 겸암정사 인근의 가시박과 함께 제거대책의 마련이 시급하다. 또한 만송정숲 주변 낙동강 하상으로는 아까시나무림과 양버들군락 등의 풍치외래식물이 하안식생으로 띠숲을 이루고 있다. 양동마을에서는 마을 안길에 자연 발생한 가죽나무군락과 아까시나무와 족제비싸리가 비향토식생경관으로 인지된다. 또한 한개마을 외곽에 산발적으로 분포하는 가죽나무와 아까시나무의 세력 확산이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민속마을 간 발생 외래식물의 유사도는 47.0~48.6%로 이와 같은 이유는 연구대상지가 모두 경상북도에 위치하여 있는 관계로 식물의 생육조건이 유사하며, 관상용으로 판매되는 외래식물이 제한적이기 때문으로 판단됨에 따라 외래식물에 대한 마을별 관리대책과 공통 관리대책의 병행이 요구됨을 암시하였다.

의성 사촌리 가로숲의 현황 및 천연기념물 명칭에 관한 고찰 (Current State of the Roadside Forest in Sachon-ri, Uiseong and the Perspectives on the Name of the Natural Monuments)

  • 최재웅;김동엽;김미희;강방훈;정명철;조록환;김상범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2-60
    • /
    • 2011
  • 전통마을숲인 당산숲 비보숲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경관(cultural landscape)으로서, 수백 여년 전 마을주민들에 의해 조성된 후, 현재까지 주민들에 의해 보전 관리되고 있는 국가적 문화자산이다. 천연기념물 제405호(명칭: 의성 사촌리 가로숲(義城 沙村里 街路숲))로 지정되어 있는 경북 의성군 사촌리 전통마을숲은 당산숲으로서, 사촌리 입향조에 의해 600여년 전 조성된 유서 깊은 숲으로 알려져 있다. 숲에서 지내던 당산제는 1700년대에 기령산 자락의 당집으로 옮겨 지내게 되었고, 현재도 이 당집에서 지낸다. 숲 안에서 지내던 당산제가 숲 밖으로 바뀌어졌다고하여, 당산숲으로서의 성격, 위상이 상실된 것은 아니라고 파악된다. 그러나, 현재 이 숲은 당산숲으로서 이해되지 않고 있으며, 가로숲이라는 이름으로 비보숲으로서만 소개되고 있다. 문화유산이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진정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문화유산의 크기와 특색의 관계를 바꾸는 새로운 축조, 파괴 또는 변형은 허용되어서는 안된다. 뿐만 아니라 거기에 부여된 의미, 가치가 변형되지 않아야 한다. '의성 사촌리 가로숲'은 약 $920{\times}90m$ 규모로서, 건개천인 하천변 양쪽에 갈참나무, 상수리나무, 회화나무 위주의 낙엽활엽수림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특히 학자수(學者樹)로 알려진 회화나무 거목을 통해 이 숲의 역사, 유래가 유교문화(儒敎文化)와도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촌리 당산숲은 하천변 수변림(水邊林, riparian buffer)으로서 현재의 명칭인 가로숲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명칭인 '의성 사촌리 가로숲'은 '의성 사촌리 당산숲'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이곳은 현재 가로숲으로 소개되고 있으나, 당산숲으로서 올바로 명명되어 전통문화 유산으로서의 위상과 가치가 보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세계문화유산 잠재지로서 순천 낙안읍성 일원 당산숲의 경관 특성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Sacred Dangsan Forests in the Neighborhood of Naganeupseong in Suncheon as a Potential World Heritage Site)

  • 최재웅;김동엽;이창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2권3호
    • /
    • pp.345-354
    • /
    • 2015
  • In this study,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culture of the sacred Dangsan forests at Dongnae-ri, Seonae-ri, Namnae-ri, Pyeongchon-ri and Gyochon-ri were investigated. And the potential for registration in the World Heritage List has been discussed by linking the Dangsan forests at the five sites. Dangsan forest, a traditional village forests of rural Korea is a representative cultural heritage with a history of more than several hundred years of Dangsan ritual. The Dangsan forests in the neighborhood of Naganeuoseong have retained the landscape of town fortress during Choseon Dynasty and the Dangsan ritual as a living culture. The three villages inside Naganeuoseong have kept their Upper Dang, Middle Dang and Lower Dang. There were 21 old trees in total; Zelkova serrata (2), Celtis sinensis (7), Aphananthe aspera (5) trees, Carpinus tschonoskii (2) and Ginkgo biloba (3). The three Dangsan trees and an old Aphananthe aspera, known as to be planted by the Admiral Yi Sun-sin were recognized. The two villages located outside of village fortress also have kept their Dangsan ritual. It is important whether the sites possesses authenticity in order to be listed in the World Heritage. The Dangsan forests in the neighborhood of Naganeuoseong have been verified for the authenticity, which should be focused. The places need to be clarified for their landscape features formed as a Dangsan forest, and sustainable protection and management plans are to be devised.

산촌 활성화를 위한 산림권역의 경영단위분석 - 일본 이시가와현의 예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Management Unit on Forest Area for Active Mountain Villages - Case of Ishigawa-gen in Japan -)

  • 이성기;손석규;정진현;신병철;정영교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10호
    • /
    • pp.989-995
    • /
    • 2006
  • Using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lustering Forest resources are consistently necessary in the future. It takes much time to produce and breed them. However it is difficult to do due to recent social situation. Considering global environment, forest policy should be considered as a global scale rather than a regional one. At least, the policy needs a national scale concern. In order to support forestry, elementary data are needed. In this study, forest characteristics in Ishigawa-gen province have been analyzed through main component analysis and clustering. The results are shown in fig.5 and fig.6.

국내외 농촌체험관광 포탈사이트 비교 분석을 통한 산촌체험마을 포탈사이트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Internet Portal Sites for Mountain Villages by the Comparison of the Sites for Rural Tourism Villages Nationwide and Overseas)

  • 전준헌;김종호;이광희;이덕재
    • 농촌계획
    • /
    • 제13권4호
    • /
    • pp.31-42
    • /
    • 2007
  • This study aims to compare internet portal sites for rural tourism, and to suggest the improved contents for homepage information on mountain villages under the Korea Forest Service. Design, interface, information source, and communication as estimation indicator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ortal sites, and sub-items under indicators to analyse the portal sites were established. Nationwide portal sites were compared for rural tourism information. Also, German and Italian portal sites were compared as overseas cases. As a result, an internet portal site for information on mountain villages under the Korea Forest Service has to be improved as compared with other portal sites related to rural tourism. Firstly, it is necessary to modify and improve the category explaining mountain villages. Secondly, homepage for developing mountain villages has to be established and linked to potential visitors. Thirdly, portal sites for developing mountain villages subsequently have to be constructed under the site of the Korea Forest Service.

미국 도시근교 미들로시안 주거지경관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munity Landscape Design of Suburban City, Midlothian, in America)

  • 정건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75-82
    • /
    • 2016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ew Architectural type of house and Landscape design pattern of the collective housing area in American garden city, Midlothian near Richmond of Virginia. I had been surveyed old houses of the Virginia and new single family houses and landscape design style of Mariners village to find a different style of houses and lots. The Richmond, capital city of Virginia, is surrounded by five suburban areas and counties. One of them is the Chesterfield where it has main street of Midlothian garden city. The city of Midlothian has a function of residence area both to stay in the forest garden and to go to downtown office of Richmond. There are a lot of collective housing area out of the capital city. I surveyed house form, lots, and site design pattern of the Mariners village in Midlothian. The community of Mariners shows a particular characteristics and harmonious pattern of suburban residence area in a view point of new project. There are thre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house in suburban garden city, Midlothian, are focused on vernacular Colonial style with country house, traditional house, and front gable house form which are an unique new American single home. Second, the landscape design of this collective housing area, the Mariners village, has a unity view of residence community, harmony between house and lots, and a sensitive cul-de-sac pattern and loops type with rational land using based on the forest topology. Third, the Mariners village shows that the design conc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has to consider of traditionalism, naturalism, and living condition of resi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