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정 문화재 민속마을의 외래식물 식재 및 발생현황 - 하회.양동.한개마을을 대상으로 -

The Planting and Occurrence Status of Exotic Plants of the Folk Village as National Cultural Heritage - Focus in Hahoe.Yangdong.Hangae Villages -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오현경 (한반도생태연구소) ;
  • 한윤희 (한반도생태연구소) ;
  • 박경욱 (한반도생태연구소) ;
  • 변무섭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 허준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최영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신상섭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이현우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 김효정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Oh, Hyun-Kyung (Ecological Institute of Korean Peninsula) ;
  • Han, Yun-Hee (Ecological Institute of Korean Peninsula) ;
  • Park, Kyung-Uk (Ecological Institute of Korean Peninsula) ;
  • Byun, Moo-Sup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Huh, Jo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Choi, Yung-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Shin, Sang-Sup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Lee, Hyun-Wo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Hyo-Jung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발행 : 2013.06.30

초록

역사공간의 진정성 제고와 보존관리에 활용될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국가지정 문화재인 경상북도 소재 안동 하회마을, 경주 양동마을, 성주 한개마을 등 3개 민속마을의 외래식물 분포현황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민속마을의 전체식물상은 127과 430속 614종 5아종 100변종 33품종으로 총 75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그 중에 목본식물은 263분류군(35.0%), 초본식물은 489분류군(65.0%)으로 나타났다. 하회 양동 한개마을의 전체 식물상은 각각 총 534 479 408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외래식물률은 30.1 38.2 37.0%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관상외래식물이 135분류군, 풍치외래식물이 21분류군, 경작외래식물이 64분류군 그리고 귀화외래식물이 80분류군 으로 나타나, 관상외래식물의 비율이 탁월하게 높았다. 마을별로는 하회마을 161분류군(30.1%), 양동마을 183분류군(38.2%), 한개마을 151분류군(37.0%)으로 양동마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의 외래식물이 확인되었다. 2. 하회마을내 단위문화재로 지정된 고택 정원에 식재된 관상외래식물은 총 30분류군이고, 옥연정사(8분류군) 양 진당(7) 하동고택(6) 충효당(5) 등의 순으로 외래식물수가 높았으며, 백목련 능소화의 식재율이 탁월하였다. 양동마을에서는 총 51분류군이 관찰되었는데, 두곡고택(16분류군) 수졸당(14) 무첨당(13) 상춘헌고택(12)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국 불두화 상사화 등의 출현율이 높았다. 그리고 한개마을의 관상외래식물은 총 62분류군으 로 진사댁(35분류군), 교리댁(25) 한주종택(20) 하회댁(16) 등의 순이었으며, 골담초 뚝향나무 백목련 불두화 산당화 등의 출현률이 높았다. 3. 정원 외부를 살펴보면 하회마을에서는 만송정 숲 하부에는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식물인 돼지풀이 높은 우점도로 생육하고 있어, 겸암정사 인근의 가시박과 함께 제거대책의 마련이 시급하다. 또한 만송정숲 주변 낙동강 하상으로는 아까시나무림과 양버들군락 등의 풍치외래식물이 하안식생으로 띠숲을 이루고 있다. 양동마을에서는 마을 안길에 자연 발생한 가죽나무군락과 아까시나무와 족제비싸리가 비향토식생경관으로 인지된다. 또한 한개마을 외곽에 산발적으로 분포하는 가죽나무와 아까시나무의 세력 확산이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민속마을 간 발생 외래식물의 유사도는 47.0~48.6%로 이와 같은 이유는 연구대상지가 모두 경상북도에 위치하여 있는 관계로 식물의 생육조건이 유사하며, 관상용으로 판매되는 외래식물이 제한적이기 때문으로 판단됨에 따라 외래식물에 대한 마을별 관리대책과 공통 관리대책의 병행이 요구됨을 암시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distribution situation of alien plants and to propose management plan in the 3 Folk village in Gyeongsangbuk-do which is Cultural property designated by the State; Hahoe, Yangdong and Hangae. This research is for improve of sincerity of historical site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which use about administration of preserv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Overall flora and alien plants appearance The total flora in the 3 folk villages were listed total 752 taxa including 127 families, 430 genera, 614 species, 5 subspecies, 100 varieties and 33 forms. Among them, woody plants take 263 taxa(35.0%) and herbaceous plants take 489 taxa (65.0%). Flora in the Hahoe, Yangdong and Hangae village were total 534, 479 taxa and 408 taxa and exotic plant index was 30.1%, 38.2% and 37.0% respectively. In types of exotic plants, ornamental exotic plants were 135 taxa, deciduous exotic plants were 21 taxa, cultivating exotic plants were 64 taxa, and naturalized exotic plants were 80 taxa and those result lead that the ornamental exotic plants is the highest ratio. According to the villages, Hahoe village had 161 taxa(30.1%), Yangdong Village had 183 taxa(38.2%), and Hangae village had 151 taxa(37.0%) that Yangdong village showed the most number of exotic plants. 2. Planting of landscape exotic plants in the unit cultural assets Meanwhile, Ornamental exotic plants in old house's gardens in Andong Hahoe village which is designated as a unit assets, those are total 30 taxa; followed by the Okyeon house(8 taxa) is highest and the Yangjindang(7), the Hadong house(6) and the Chunghyodang(5). Magnolia denudata appears the most as for 4 times and Campsis grandiflora etc. each took 2 times. Based on the Yangdong village, Gyeongju, that are found total 51 taxa; followed by the Dugok house(16 taxa) the Sujoldang(14), the Mucheondang(13), and the Sangchunheon (12). High appearance rate of ornamental exotic plants were Viburnum opulus for. hydrangeoides, Lycoris squamigera, Caragagna sinica and Magnolia denudata etc. Based on the Hangae village, Seongju, that are designated total 62 taxa; followed by the Jinsa house(35 taxa), the Gyori house(25), the Hanju head family house(20), and the Hahoe house(16). Taxa with high appearance rates were Caragana sinica, Juniperus chinensis var. horizontalis, Magnolia denudata, Viburnum opulus for. hydrangeoides, Chaenomeles speciosa etc. 3. Problems of exotic plant landscapes in the outer spaces of the folk villages Problems of exotic plant landscapes in the outer spaces of the Hahoe village are as follows. In lower of the Mansongjeong forest, Ambrosia artemisifolia, which are ecosystem disturbance plant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live with high dominance value. This should be have a remove with Sicyos angulatus immediately. In the Nakdong river bed around the Mansongjeong forest is covered with a riparian vegetation forest belt of Robinia pseudoacacia L. forest, Populus nigra var. italic community, and Populus x tomentiglandulosa community colony. Based on the Yangdong village, the planted or naturally distributed Ailanthus altissima colony, sporadically distributed Robinia pseudoacacia as well as Amorpha fruticosa are detected all over the village and ecotones. Based on the Hangae village, Ailanthus altissima and Robinia pseudoacacia are sporadically distributed around the village and there is a sign of spreading. similarity of exotic plantsis 47.0% to 48.6% and a reason why this happened is all of research site in Gyeongsanbuk-do and that is why growth norm of plant is similar, exotic plant which is sales for ornamental and it infer to require related countermeasure of each villages and joint related countermeas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수목원, 한국식물분류학회(2007). 국가표준식물목록.
  2. 국립환경연구원(2000). 외래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I).
  3. 김기송, 신현탁, 이명훈, 윤정원, 김용식(2012). 경주 양동마을의 외래식물 현황. 문화재. 45(1): 174-189.
  4. 김성욱(2000). 전통마을 경관의 지각과 인식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찬경(2011). 외암민속마을의 보존과 활용방안.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찬수, 고정군, 송관필, 문명옥, 김지은, 이은주, 황석인, 정진현(2006). 제주도의 귀화식물 분포특성.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9(5): 640-648.
  7. 김한수, 오충현(2011). 우리나라 농촌마을 경관생태학적 특성에 따른 귀화식물 분포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3): 389-403.
  8. 노재현, 김영숙, 고여빈(2010). 조경식물 파초 식재 양상과 그 의미: 조선시대 옛 그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2): 23-36.
  9. 노재현, 신상섭(1999). 외래식물의 위해성을 전제로 한 아동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설정.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2(4): 28-36.
  10. 노재현, 허준(2004). 버나큘러 경관상 개선을 위한 전주천변 귀화식물의 분포 특성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3): 26-32.
  11. 류새한(2009). 하천변의 외래식물. 숲과 문화. 18(5): 60-62.
  12. 박수현(2009). 세밀화와 사진으로 보는 한국의 귀화식물. 서울: 일조각.
  13. 박용하, 이상돈, 김정원(1998). 외래종 유입에 대한 환경정책 추진방향.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보고서.
  14. 박찬용, 김한배, 황산동(2002). 닭실마을의 경관복원과 정비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20(4): 1-15.
  15. 방상원, 김문희, 노태호(2004). 생태계위해외래종의 통합 관리 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보고서.
  16. 서원덕(2001). 귀화식물,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의 적응환경요인과 군락형성.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송진숙, 이영관, 왕홍기, 김영이(2011).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의 생활문화와 관광체계. 한국사상과 문화. 60: 427-443.
  18. 신현탁, 김용식, 이명훈, 윤정원(2011a). 성주지역 문화재 지정(보호)구역 내 외래식물의 현황. 문화재. 44(1): 162-181.
  19. 신현탁, 김용식, 이명훈, 윤정원, 김기송(2011b). 안동 하회마을의 외래식물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 추계학술논문발표논문집 pp78-82.
  20. 오현경, 변무섭(2006). 전주 도심 하천의 귀화식물 현황과 환경지수 분석.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4(3): 248-257.
  21. 우종서, 이경재(1991). 조경배식에 있어 지피식생조성에 관한 연구: 몽촌토성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18(4): 7-16.
  22. 이경재, 오구균, 조현길(1988). 종묘의 식물군집구조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5(3): 21-31.
  23. 이영노(2006). 새로운 한국식물도감(I․II). 서울: 교학사.
  24. 이우철(1996a). 원색 한국기준식물도감. 서울: 아카데미서적.
  25. 이우철(1996b). 한국식물명고. 서울: 아카데미서적.
  26. 이유미, 박수현, 정수영, 오승환, 양종철(2011).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식물분류학회지. 41(1): 87-101.
  27. 이응희(1998). 성주 한개마을의 입지의 풍수적 해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5(3): 145-154.
  28. 이창복(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상․하. 서울: 향문사.
  29. 임동옥, 황인천(2006), 가야산국립공원의 외래식물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3): 281-288.
  30. 임양재, 전의식(1980). 한반도 귀화식물 분포. 한국식물학회지. 23: 69-83.
  31. 임원현, 유주한, 손호기, 김정우(2009). 경주 월성의 생태적 특성 및 진단에 따른 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3): 39-48.
  32. 정겨운(2009). 한국 전통마을 경관 특성에 관한 연구: 외암리, 하회, 양동마을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최송현, 이영경(2000). 경주 황성공원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1): 46-56.
  34. 환경부(2006a). 외래식물의 토착화가 자생식물에 미치는 유전적․생태적 위해성 평가.
  35. 환경부(2006b). 생태계 교란종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 구축 및 관리방안 연구.
  36. Melchior, H.(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Berlin: Gebruder Bornteaeger.
  37. Numata(1975). Naturalized Plants. Tokyo: Japanese books.
  38. Raunkiaer, C.(1934). Life Form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Charendon Press.
  39. Shin, H. T., M. H. Yi, J. W. Sung and G. S. Kim(2012). Status of alien plant species in the Seongeup folk village in Jeju Island. J. of Korea Nature. 5(4): 299-304. https://doi.org/10.7229/jkn.2012.5.4.299
  40. http://iucn.org/
  41. http://ecosystem.nier.go.kr/alien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