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700/KITLA.2011.29.3.052

Current State of the Roadside Forest in Sachon-ri, Uiseong and the Perspectives on the Name of the Natural Monuments  

Choi, Jai-Ung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im, Dong-Yeob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Kim, Mi-Heui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ang, Bang-Hu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g, Myeong-Cheol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o, Lock-Wha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im, Sang-Bum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v.29, no.3, 2011 , pp. 52-6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traditional village forests called Dangsan forest and Bibo forest in Korea represent unique cultural landscape with a history of more than several hundred years. The Natural Monument # 405 named 'Roadside forest in Sachon-ri, Uiseong' was established by the ancestors who settled in the village about six hundred years ago. The Dangsan ritual had been held in the forest and the ritual started to be held at a shrine since early 1700's. Although the place where Dangsan ritual was held has been transferred from forest to outside forest, the status of Dangsan forest was not changed. The forest has not been known as a Dangsan forest. Instead, it has been known as a Bibo forest with a name meaning roadside forest. It is our duty to hand historic monuments on in full richness of their authenticity. No new construction, demolition or modification which would alter the mass and colour must be allowed. Furthermore, every means must be taken to facilitate the preservation of the monument and to reveal it without distorting its meaning. The 'Roadside forest in Sachon-ri, Uiseong' is a deciduous forest composed of Quercus aliena, Quercus acutissima, and Sophora japonica, with a size of $920{\times}90m$ at the side of a stream. An old Sophora japonica tree known as a scholar tree indicates that this forest is related to confucianism. The name 'Roadside forest in Sachon-ri, Uiseong' does not seem to be correct. In fact, the traditional village forest in Sachon-ri was a riparian buffer. The 'Roadside forest in Sachon-ri, Uiseong' need to be changed to 'Dangsan forest in Sachon-ri, Uiseong'. With a correction on name and authenticity restored,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in Sachon-ri would be recognized effectively.
Keywords
Dangsan Forest; Bibo Forest; Dangsan Ritual; Naming of Natural Monument; Authenticity of Remain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경북대학교 환경녹지연구소(2001). 의성 사촌 가로숲의 보존관리 및 활용을 위한 기본 계획.
2 경상북도, 국립민속박물관, 경북미래문화재단(2010). 아이도리 부모도리 의성 사촌마을. 2010년 경북민속마을 체험프로그램 자료집.
3 김학범(2010). 자연유산 식물의 지속가능한 보존과 활용: 마을숲을 대상으로. 천연기념물 식물 보존․관리 개선 워크숍 자료집. pp. 125-139.
4 김효정, 김태식, 이재근, 서정영, 정근(2008). 천연기념물 및 시․도 기념물 노거수 실태 비교를 통한 지정기준 설정 기초연구. 2008년도 한국전통조경학회 추계학술논문발표회 자료집. pp. 78-82.
5 문화재청(2003a). 천연기념물 백서. 문화재청 간행물.
6 문화재청(2003b). 마을숲 문화재 자원조사 연구보고서 I: 강원도․경상남도․경상북도 지역. 문화재청 보고서.
7 문화재청(2004). 마을숲 문화재 자원조사 연구보고서 II: 경기도․충청남도․충청북도․전라남도․전라북도 지역. 문화재청 보고서.
8 문화재청(2005). 마을숲 문화재 자원조사 연구보고서 III: 전라남도 도서지역. 문화재청 보고서.
9 문화재청(2008). 천연기념물과 명승 지정명칭, 국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일제 정비. 문화재청 보도자료(2008. 4. 15).
10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2008). 부산 구포동 팽나무 명칭 및 유형 변경. 천연기념물분과위원회 제10차 회의 내용 및 결과(2008. 11. 12).
11 문화재청(2009a). 역사적 건축물과 유적의 수리복원 및 관리에 관한 일반원칙 제정. 문화재청 보도자료(2009. 9. 11).
12 문화재청(2009b), 전통 마을숲 보존관리 지침. 문화재청 훈령 제189호.
13 사촌마을 자료관(2010). 사촌(沙村)마을. 사촌마을 자료관 자료집.
14 신상섭(2004). 전통정주지의 환경적 건전성과 지속성에 관한 기초연구: 외암마을과 낙안읍성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1): 27-38.
15 安東金氏沙村門中(1996). 沙村世居略史.
16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2002). 유교권문화 관광개발에 따른 의성 사촌마을 정비 기본계획. 경상북도 의성군 간행물.
17 이선(2008). 우리나라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의 연원(淵源)과 제도(制度)에 관한 소고(小考).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3): 41-53.
18 이선(2009). 한국의 자연 유산: 천연기념물의 역사와 그를 둘러싼 이야기들. 서울: 수류산방.
19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1919). 朝鮮巨樹老樹名木誌.
20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임업시험장(1938). 朝鮮の林藪.
21 최재웅(2008). 농어촌마을 당산숲의 형태 및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박사학위논문.
22 최재웅, 김동엽(2009). 농어촌마을 당산숲의 입지 및 구조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1): 35-47.
23 최재웅, 김동엽, 김미희(2009). 농어촌마을 당산숲․비보숲의 형태지수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3): 30-38.
24 최재웅, 김동엽(2010). 천연기념물 지정 당산숲․비보숲의 명칭 부여 및 지정 물량 실태 고찰. 문화재. 43(1): 28-55.
25 최재웅, 김동엽(2011). 부산 '좌수영성지(左水營城址)'의 진정성(Authenticity) 회복방안 고찰. 문화재. 44(1): 138-161.
26 Choi, J. U. and D. Y. Kim(2009). 'Reformation a Dangsan Forest at Seashore of Daebang Village, Sacheon, Korea as a Cultural Landscape', IFLA APR Congress, Incheon, Korea, pp. 163-168.
27 Forman, R.T.T.(1995). Land Mosaics-The Ecology of Landscape and Reg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홍선기․김동엽(역), 2000, 토지모자이크: 지역 및 경관생태학,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8 UNEP(2010). PARIS DECLARATION ON THE SATOYAMA INITIATIVE, UNEP 생물다양성협약 14차 회의 보고서.
29 http://www.cha.go.kr(문화재청 홈페이지).
30 http://www.international.icomos.org/charters/nara_e.htm(진정성에 관한 Nara 문서).
31 http://www.international.icomos.org/charters/venice_e.htm(베니스 헌장).
32 http://www.unesco.or.kr/heritage/wh/reg_criterion.asp(유네스코한국위원회-세계유산 등재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