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deo surveillance

검색결과 485건 처리시간 0.042초

지능형 영상 감시 환경에서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COP-변환 기반 메타데이터 보안 기법 연구 (A Study on COP-Transformation Based Metadata Security Scheme for Privacy Protection in Intelligent Video Surveillance)

  • 이동혁;박남제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417-428
    • /
    • 2018
  • 지능형 영상감시 환경은 CCTV 등에서 실시간으로 수집한 영상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영상 객체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동화된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지능형 영상감시 환경에서는 프라이버시 노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이에 안전한 대책이 필수적이다. 특히, 영상 메타데이터에는 빅데이터 기반으로 분석된 다양한 개인정보가 포함될 수 있어 높은 위험성을 안고 있으나, 효율성의 문제로 영상메타에 암호화 방식을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메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COP-변환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식은 메타 변환을 통하여 원본 메타정보를 복원할 수 없도록 하며, 변환된 데이터에 직접적으로 질의를 가능하게 하므로 영상 메타데이터 처리과정에서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크게 높인다는 장점이 있다.

Wide baseline 카메라 기반의 효과적인 실내공간 감시시스템 (An effective indoor video surveillance system based on wide baseline cameras)

  • 김응창;김승균;최강아;정준영;고성제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317-323
    • /
    • 2010
  • 특정 공간 내에서의 보안에 대한 효과적인 방법으로써 비디오 영상 감시 시스템(video surveillance system)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단일 카메라 기반의 시스템에서는 한정된 카메라 시야(field of view)의 제약으로 인하여 대상 영역을 완전히 커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일 카메라 기반의 비디오 영상감시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복수의 wide baseline 고정 카메라를 이용한 시스템을 개발, 구현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고정 카메라로부터 움직이는 물체를 강건하게 검출하기 위하여, 코드북(codebook) 기반의 물체 검출 알고리즘과 모폴로지(morphology)가 사용되고, 3D 재구성을 통해 검출된 물체의 궤적을 계산한다. 실험결과로부터 제안하는 시스템은 물체를 성공적으로 추출하여, 신뢰도 있는 이동궤적을 top view 형태로 제공함 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간 무선 영상 감시시스템을 위한 Streamer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treamer for Real-Time Wireless Video Surveillance System)

  • 이진영;김흥준;이광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48-256
    • /
    • 2007
  • 네트워크 인프라의 성장과 디지털 영상압축 기술의 발달로 네트워크 카메라 서버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감시 시스템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에 적합한 실용화 수준의 보안 시스템에 대한 요구도 함께 증대되고 있다. 기존의 CCTV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감시에 비해 네트워크 카메라 서버를 이용한 영상감시는 많은 이점이 있다. 본 논문에선 실시간 영상감시 시스템의 핵심 모듈로서 JPEG 영상의 수집과 전달을 담당하는 JPEG Streamer의 모델을 설계, 구현하며 JPEG Streamer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위해서 쓰레드 풀과 공유메모리를 사용하고 실시간 영상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 더블버퍼링의 개념도 도입하였다. 또한 제시된 Streamer의 모델을 이용하여 개인 휴대단말기(PDA)로 무선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 영상을 전송하는 무선 영상 감시시스템을 제시한다.

스마트 재난관리 영상감시시스템과 적용 (Video Surveillance System for Smart Management Disaster and Applications)

  • 강희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234-1240
    • /
    • 2011
  • 최근 여러 분야에 걸쳐 기존의 감시시스템은 많은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각종 사고 예방 및 안전 운행에 도움을 주고, 위험 사항을 외부로 연계하거나 관리자에게 알려주며, 실시간 분석 및 파악이 가능한 지능형 영상감시시스템의 구성, 기술요소, 요구 기능과 이의 응용과 그 적용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도시 안전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감시카메라 영상 관리 시스템 모델 및 설계 방법 (Block-Surveillance: Blockchain-based Surveillance Camera Video Management System Model and Design Method for City Safety)

  • 이지운;서희석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4호
    • /
    • pp.65-75
    • /
    • 2024
  • 이 논문에서는 현대 도시 관리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은 비디오 감시 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안한다. 블록체인과 IPFS를 활용하여 데이터의 무결성과 프라이버시 보호를 강화하고, 객체 탐지 기술을 통해 이상 행위 탐지 및 영상 자동 저장함으로써 도시 안전과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통합 접근법은 감시 시스템의 효율적인 관리 방법론이 되어 도시 관리자와 시민들에게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감시 환경을 제공할 것이다.

안전지도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보안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Smart Video Surveillance System Based on Safety Map)

  • 박장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69-174
    • /
    • 2018
  • 시민들의 안전을 위한 영상통합관제센터에는 수많은 CCTV 카메라가 연결되어 많은 채널의 영상을 소수의 관제사가 관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많은 채널의 영상을 효과적으로 관제하기 위하여 안전지도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보안 시스템을 제안한다. 안전지도는 범죄 발생 빈도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범죄 발생 위험 정도를 표현하고, 범죄 취약 계층인 여성이 범죄 위험 지역으로 진입하면 영상통합관제센터의 관제사가 주목할 수 있도록 한다. 성별 구분을 보행자 검출 및 추적 그리고 딥러닝을 통하여 성별을 구분한다. 보행자 검출은 Adaboost 알고리즘을 이용하고, 보행자 추적을 위한 확률적 데이터 연관 필터(probablistic data association filter)를 적용한다. 보행자의 성별을 구분하기 위하여 비교적 간단한 AlexNet를 적용하여 성별을 판별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성별 구분 방법이 종래의 알고리즘에 비하여 성별 구분에 효과적임을 보인다. 또한 안전지도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보안 시스템 구현 결과를 소개한다.

Movement Detection Using Keyframes in Video Surveillance System

  • Kim, Kyutae;Jia, Qiong;Dong, Tianyu;Jang, Euee S.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2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249-1252
    • /
    • 202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nceptual framework that identifies video frames in motion containing the movement of people and vehicles in traffic videos. The automatic selection of video frames in motion is an important topic in security and surveillance video because the number of videos to be monitored simultaneously is simply too large due to limited human resources. The conventional method to identify the areas in motion is to compute the differences over consecutive video frames, which has been costly because of its high computational complexity. In this paper, we reduced the overall complexity by examining only the keyframes (or I-frames). The basic assumption is that the time period between I-frames is rather shorter (e.g., 1/10 ~ 3 secs) than the usual length of objects in motion in video (i.e., pedestrian walking, automobile passing, etc.). The proposed method estimates the possibility of videos containing motion between I-frames by evaluating the difference of consecutive I-frames with the long-time statistics of the previously decoded I-frames of the same video.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showed more than 80% accuracy in short surveillance videos obtained from different locations while keeping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as low as 20 % compared to the HM decoder.

  • PDF

An Automatic Camera Tracking System for Video Surveillance

  • Lee, Sang-Hwa;Sharma, Siddharth;Lin, Sang-Lin;Park, Jong-Il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42-45
    • /
    • 2010
  • This paper proposes an intelligent video surveillance system for human object tracking. The proposed system integrates the object extraction, human object recognition, face detection, and camera control. First, the object in the video signals is extracted using the background subtraction. Then, the object region is examined whether it is human or not. For this recognition, the region-based shape descriptor, angular radial transform (ART) in MPEG-7, is used to learn and train the shapes of human bodies. When it is decided that the object is human or something to be investigated, the face region is detected. Finally, the face or object region is tracked in the video, and the pan/tilt/zoom (PTZ) controllable camera tracks the moving object with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This paper performs the simulation with the real CCTV cameras and their communication protocol. According to the experiments, the proposed system is able to track the moving object(human) automatically not only in the image domain but also in the real 3-D space. The proposed system reduces the human supervisors and improves the surveillance efficiency with the computer vision techniques.

  • PDF

카메라간 정보공유를 통한 종합적인 상황인식 (Integrated Context Awareness by Sharing Information between Cameras)

  • 안태기;신정렬;한석윤;이길재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60-1365
    • /
    • 2008
  • Most recognition algorithms for intelligent surveillance system are based on analysis of the video collected from one camera. Video analysis is also used to compute the internal parameters used in the recognition process. The algorithm computes only the video of the fixed area so that it is a insufficient method and it could not use information of the related areas. However, intelligent integrated surveillance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to correlate the events in the other areas as well as in the fixed area. In this paper, in order to construct the intelligent integrated surveillance system, we describe the method not to focus on the video of each camera but to aware the whole event by sharing information between cameras, which is more accurate. The method would be used to aware the event in the fixed area such as stations in urban transit.

  • PDF

영상 감시용 네트워크카메라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영상분배서버 구현 (Implementation of a Video Distribution Server to Enhance QoS of Network Cameras for the Video Surveillance System)

  • 정태영;임강빈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9호
    • /
    • pp.67-74
    • /
    • 2008
  • 본 논문은 네트워크카메라 기반 영상감시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단위 네트워크 간 영상정보 공유 불가, 사용자 증가에 따른 대역폭 및 처리부하 증가, 네트워크 변경내역 지속적 모니터링 불가 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서버의 구조를 제안하고 이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한 서버는 영상분배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문제들을 해결하면서도 대용량 영상감시시스템을 위하여 다수의 네트워크카메라 및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관리와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구현한 영상분배서버를 실제의 영상감시시스템에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100여대의 네트워크카메라에 대한 접속을 유지하는 상황에서 수백여 사용자의 동시 접속을 처리하면서도 납득할 만한 서비스 픔질을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영상분배서버를 활용하면 교통상황 정보 및 재난재해 감시 등의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대용량 영상감시시스템의 서비스 품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