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tical Crack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27초

매닮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의 휨거동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lexural Behavior for the Slabs using the Suspending Deck plate)

  • 배규웅;이상섭;박금성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25-34
    • /
    • 2013
  • 매닮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의 휨거동을 실험적으로 조사하기 위한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슬래브의 휨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의 주요 변수로는 데크의 춤과 두께, 스팬, 철근보강 유무 및 단부지지 조건(단순, 고정) 이다. 이러한 슬래브에 수직하중이 작용하도록 총 6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주요변수와 관계없이 슬래브의 내력은 수직방향 휨변형에 의해 지배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리브단면 내에 휨철근이 배근된 실험체가 초기강성 및 균열강성, 휨강도 측면에서 상당히 높게 평가됨을 알 수 있다. 이론값과의 내력 비교결과, 평균 1.05로 상당히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tructural behaviour of HFRC beams retrofitted for shear using GFRP laminates

  • Vinodkumar, M.;Muthukannan, M.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19권1호
    • /
    • pp.79-85
    • /
    • 2017
  • This paper summarizes the experimental study of the shear behaviour of Hybrid Fibre Reinforced Concrete (HFRC) beams retrofitted by using externally bonded Glass Fibre Reinforced Polymer (GFRP) laminates. To attain the set-out objectives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steel fibre of 1% and polypropylene fibre of 0.30% was used for hybrid steel-polypropylene fibre reinforced concrete: whereas for hybrid glass-polypropylene fibre reinforced concrete, glass fibre by 0.03% and polypropylene fibre of 0.03% by volume of concrete was used. In this study, 9 numbers of beams were cast and tested into three groups (Group I, II & III). Each group containing 3 numbers of beams, out of which one serve as a control beam or a hybrid steel-polypropylene fibre reinforced concrete beam or a hybrid glass - polypropylene fibre reinforced concrete beam and the remaining two beams were preloaded until shear cracks appeared up to 75% of ultimate load and then preloaded beams (damaged beams) were retrofitted with GFRP laminates at shear zone in the form of strips, as one beam in vertical position and another beam in inclined position to restrict the shear cracks. Finally, the retrofitted beams were loaded until failure and test results were compared. The experimental tests have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various parameters of structural performance, such as load carrying capacity, crack pattern and failure modes, load-deflection responses and ductility relations. The test results revealed that beams retrofitted using GFRP laminates considerably increased the load carrying capacit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beams retrofitted with inclined strip offers superior performance than vertical one. Comparing the test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hybrid steel-polypropylene fibre reinforced concrete beam retrofitted with GFRP laminates showed enhanced behaviour as compared to other tested beams.

쐐기 분열 시험을 이용한 암석의 모드 I 파괴인성 측정 (Determination of Mode I Fracture Toughness of Rocks Using Wedge Splitting Test)

  • 고태영;김택곤;이대혁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9권6호
    • /
    • pp.523-531
    • /
    • 2019
  • 암석역학이나 암반공학의 여러 활용 분야 중 발파, 천공 및 기계굴착의 경우에는 파괴인성이 중요한 요소이며, 암석의 파괴인성을 측정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간단히 시험편을 제작할 수 있고, 압축 하중으로 암석의 모드 I 파괴인성을 구할 수 있도록 쐐기 분열 시험편(Wedge Splitting Test Specimen)을 이용하였다. 쐐기의 작용하는 연직하중에 의한 수직 및 수평하중 모두를 고려한 균열선단의 응력상태로부터 수치해석을 통한 응력확대계수의 식을 제안하였다. 쐐기 분열 시험편에 의해 구해진 모드 I 파괴인성값을 GD와 SENB 시험편의 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시험법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강철도교 열화현상에 관한 보수/보강 연구 -강철도교의 플랜지 용접이음부의 거동 특성 및 피로균열 보수보강- (A Study on Repair/ Retrofit for Deteriorations of Steel Bridg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Welded Joint Part of Flange and Repair/Retrofit of Fatigue Crack in Railway Steel Bridge-)

  • 경갑수;이성진;박진은;차철준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613-625
    • /
    • 2012
  • 철도교는 일반적으로 설계하중에 근접한 열차하중이 빈번하게 통과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초기설계단계부터 여러 구조상세에 대해 피로특성을 충분한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철도교에 작용하는 축하중의 크기 및 배치 특성, 피로에 대한 부적절한 구조상세의 적용 등으로 인하여 강철도 플레이트거더교에서 부분적으로 피로균열이 보고되고 있다. 상부플랜지와 복부의 용접이음부에서의 피로균열의 주요 발생 원인의 하나는 침목을 지지하는 주거더와 열차하중이 작용되는 레일과의 중심간격 차이에 따른 열차하중의 편심작용에 의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공용중인 강철도 상로플레이트거더교를 대상으로 현장조사 및 현장계측, 일련의 구조해석을 실시하고, 대상교량의 구조거동 특성 및 피로균열의 발생 원인의 규명, 보수 보강(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유리섬유강화 복합재료 가스실린더의 복합재료 파괴시 발생하는 음향방출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Acoustic Emission Signal under Composite Destruction on GFRP Gas Cylinder)

  • 지현섭;이종오;주노회;소철호;이종규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30-43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유리섬유강화 복합재료 가스실린더의 복합재료의 파괴시 발생하는 음향방출신호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린더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복합재료를 유리섬유묶음과 시편으로 가공하여 파괴시험을 실시하였다. 유리섬유묶음에 칼날을 압입하여 유리섬유가 파괴될 때 발생한 음향방출 신호의 진폭은 칼날의 절단각도가 커짐에 따라 유리섬유의 절단면이 증가되어 음향방출신호의 진폭이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복합재료 시편파괴시 감긴방향 파괴는 수직방향 파괴에 비해 hit 수는 적지만 섬유 절단각이 커짐에 따라 진폭은 높게 나타났다. 섬유감긴방향으로 시편파괴시 신호문턱값을 32 dB로 설정했을 경우는 40 dB로 설정했을 때는 나타나지 않았던 기지파괴 신호가 급격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기지파괴시 신호진폭은 40 dB 이하이고 유리섬유 파괴신호의 진폭은 40 dB이상 임을 알 수 있었다. 음향방출 신호의 진폭기울기는 음향방출원과 관련이 있으며, 섬유감긴방향으로 칼날을 압입했을 때 그 기울기는 0.08이고 수직방향일 때는 0.16로 구분되었다. 특히 수직방향 파괴의 경우 유리섬유묶음의 절단시 나타나는 진폭 기울기와 유사하여 시편의 수직방향파괴시 발생하는 신호의 주 음향방출원은 유리섬유파괴로 추정할 수 있다.

운현궁수조의 손상평가와 초음파 속도를 이용한 풍화도 및 균열심도 측정 (Measurement of Crack Depth and Weathering Degree Using Ultrasonic Velocity and Deterioration Evaluation of the Unhyungung Stone Water Container)

  • 전유근;이찬희;조성남;조영훈;박기정;양필승
    • 보존과학회지
    • /
    • 제24권
    • /
    • pp.1-11
    • /
    • 2008
  •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운현궁 석조수조의 재질은 미세층리와 여러 조의 점토질 세맥이 발달된 석회질 대리암이다. 이 수조에는 전면에 걸쳐 균열이 나타나며 흑색변색이 심하여 보존처리가 필수적이다. 수조에서 나타나는 수평 및 수직방향의 균열은 상대적으로 결합력이 낮은 층리부분과 세맥이 형성된 곳에 집중적으로 발달되어 있다. 수조 표면을 변색시킨 물질은 유기물의 침착과 고사로 인해 발생한 탄소성분으로 밝혀졌다. 초음파 측정결과, 운현궁수조를 구성하는 암석의 물성은 약한풍화단계(SW)로 나타났으나 전체적인 표면 풍화는 구성광물의 입상분해가 발생할 정도로 심각하다. 또한 이 수조의 안정성에 가장 큰 위협요인인 33조에 달하는 균열의 깊이는 석조의 최대 두께인 60mm를 완전히 관통한 것도 있으며, 최소깊이는 9mm로 산출되었다. 점토질 세맥을 따라 발생한 균열중에는 수조의 외벽과 내벽을 관통한 개방형 균열도 있으며, 층리를 따라 생성된 균열은 대부분 20~30mm의 심도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운현궁수조의 장기적인 보존관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2급(級) 와동(窩洞) 수복시(修復時) 치아파괴(齒牙破壞) 저항성(抵抗性) 및 귀열양상(龜裂樣相)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FRACTURE RESISTANCE AND CHARACTERISTICS OF TEETH IN CLASS II CAVITY RESTORATIONS)

  • 주익남;박상진;민병순;최호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3권2호
    • /
    • pp.337-348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racture strength and characteristics of teeth with MOD cavity preparation. Freshly extracted sound maxillary premolars were cleaned and stored in normal saline solution $37^{\circ}C$ for 72 hours before experiments. The roots of teeth were embedded in a self-curing resin, and the exposed crown were maintained in a vertical position by a modelling wax in a brass ring. The MOD cavities were prepared with No. 57 carbide bur under high speed to a depth of 2.0mm and a width of 2.0mm(Fig.1). All the prepared teeth specimens were divided into 7 groups according to the mode of cavity form and restorative materials (Table 1, 2): Group I, unpreapred, intact teeth as control Group II, prepared cavity without restoration Group III, prepared teeth restored with amalgam Group IV, prepared teeth restored with composite resin (P-10) Group V, prepared teeth with beveled enamel margins restored with composite resin (P-10) Group VI, prepared teeth restored with light-cured composite resin (P-30) Group VII, prepard teeth with beveled enamel margins restored with light-cured composite resin (P-30) After placement of restorations, all of the specimens were stored in water at $37^{\circ}C$ for 72 hours before testing. All of the specimens were tested on the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No. 6025) in order to evaluate the strength of fracture. One metal ball 5.0mm in diameter contacting the specimens parallel to the occlusal surface was used to in this study (Fig. 1). The fracture characteristics of the specimens were examined with naked eye and in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JSM-20).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fracture strength was the highest in group VI and that in group II was the lowest. 2. The progress of crack of teeth propagated into the pulp cavity. 3. In case of the group of the restored teeth, the crack occurred to be accompanied with cuspal fracture. 4. The crack of restored teeth was initiated along the pulpo-axial line angle of the cavity.

  • PDF

2급 와동의 복합레진 충전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응력분석 (FINITE ELEMENT STRESS ANALYSIS OF A CLASS II COMPOSITE RESIN RESTORATION)

  • 송보경;엄정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0권2호
    • /
    • pp.627-643
    • /
    • 1995
  • The resistance to fracture of the restored tooth may be influenced by many factors, among these are the cavity dimension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torative material. The placement of direct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has generally been found to have a strengthening effect on the prepared teeth. It is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vity isthmus and the fracture resistance of a tooth in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In this study, MO cavity was prepared on the maxillary left first molar and then filled with composite resin. Three dimentional model with 3049 nodes and 2450 8-node blick elements was made by the serial photographic method and isthmus (1/4, 1/3, 1/2 and 2/3 of intercusplal distance between mesiobuccal cusp tip and mesiolingual cusp tip) was varied. Two types of model(B and R model) were developed. B model was assumed perfect bonding between the restoration and cavity wall and R model was left unfilled. A load of 1500N was applied vertically on the node from the lingual slope of the mesiobuccal cus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of stress resulting in increase of fracture resistance in B model when compared with R model. 2. When it comes to stress distribution, the stress was concentrated in the facio-gingival line angle and the buccal side of the distal margin of the cavity in both Band R model. 3. With the increase of the isthmus width, the stress decreased in the area of the facio-gingival line angle, and increased in the area of facio-gingival line angle as well as the buccal side of the distal margin of the cavity in B model. In R model, the stress increased both in the area of facio-gingival line angle and the buccal side of the distal margin of the cavity,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crack increased. 4. As the width of cavity increased, in B model, the direction of crack moved from horizontal to vertical on the facio-gingival line angle and the facio-pulpal line angle. In R model, the direction of the crack was horizontal on the facio-gingival line angle and moved from horizontal to the $45^{\circ}$ direction on the facio-pulpal line angle.

  • PDF

PSC I 거더의 정착부 파열거동 평가 (Evaluation of Bursting Behavior in Anchorage Zone of PSC I Girders)

  • 최규천;박영하;백인열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3A호
    • /
    • pp.329-336
    • /
    • 2010
  • 이 논문에서는 경간장이 30 m인 표준 PSC I 거더의 정착부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표준 PSC I 거더의 정착부 파열보강철근은 텐던 긴장으로 인한 단부 콘크리트의 응력흐름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 한 채 설계되었고, 과대보강으로 인해 콘크리트 타설 시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표준 PSC I 거더와 동일한 단면을 갖는 실험체 3개를 제작하여 인장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실험체의 파열보강철근은 100 mm, 200 mm, 300 mm 간격의 격자형으로 배근되었다. 실험결과, 파열균열 긴장력은 모든 실험체에서 설계 긴장력의 1.6배 내외로 나타났고, 파열균열은 정착단부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발생하였다. 또한 설계 긴장력의 2.7배까지 긴장력을 도입한 결과, 파열보강철근 간격이 300 mm인 실험체의 일부 수평방향 파열보강철근만 항복되었다. 따라서 표준 PSC I 거더의 정착부 파열보강철근은 도로교설계기준에서 제한하고 있는 최대 간격 300 mm를 만족시키는 것만으로도 파열력에 대한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Seismic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interior beam-column joints with beams of different depths

  • Xing, G.H.;Wu, T.;Niu, D.T.;Liu, X.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4권4호
    • /
    • pp.429-449
    • /
    • 2013
  • Current Design Codes for Reinforced Concrete (RC) interior beam-column joints are based on limited experimental studies on the seismic behavior of eccentric joints. To supplement existing information,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hat focused on the effect of eccentricity of the deeper beams with respect to the shallow beams. A total of eight one-third scale interior joints with beams of different depths were subjected to reverse cyclic loading. The primary variables in the test specimens were the amount of joint transverse reinforcement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shallow beams. The overall performance of each test assembly was found to be unsatisfactory in terms of joint shear strength, stiffness, energy dissipation and shear deform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vertical eccentricity of spandrel beams in this type of joint led to lower capacity in joint shear strength and severe damage of concrete in the joint core. Increasing the joint shear reinforcement was not effective to alter the failure mode from joint shear failure to beam yielding which is favorable for earthquake resistance design, whereas it was effective to reduce the crack width at the small loading stages. Based on the observed behavior, the shear stress of the joint core was suggested to be kept as low as possible for a safe and practical design of this type of j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