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Bursting Behavior in Anchorage Zone of PSC I Girders

PSC I 거더의 정착부 파열거동 평가

  • 최규천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 박영하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 백인열 (경원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0.03.04
  • Accepted : 2010.04.19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An experimental study to evaluate bursting behavior in anchorage zone of the standard PSC I girders (span length : 30 m) has been carried out. The arrangement of bursting reinforcement in anchorage zone of the standard PSC I girders is considered to be designed without accurately reflecting the stress flows in the end zone of the PSC I girders caused by presstressing forces of the tendons. Also, due to excessive arrangement of the bursting bars, the workability of the girder is decreased greatly. In this study, three specimens with the same dimensions as the end zone of the standard PSC I girder are prepared and the experiment is carried out by applying PS forces. The bursting reinforcement of each specimen consists of 100 mm, 200 mm, and 300mm spacings,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range of the PS forces to cause crack in the anchorage zone of the specimen are more than 1.6 times of the design PS forces. The bursting cracks occur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nside of all specimens. After applying 2.7 times of the design PS force, some of the transverse bursting reinforcements only in the specimen reinforced by 300 mm spacing yield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nchorage zone of the standard PSC I girders arranged by 300 mm spacing of the bursting reinforcements which is the maximum spacing allowed in the road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can be considered safe enough.

이 논문에서는 경간장이 30 m인 표준 PSC I 거더의 정착부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표준 PSC I 거더의 정착부 파열보강철근은 텐던 긴장으로 인한 단부 콘크리트의 응력흐름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 한 채 설계되었고, 과대보강으로 인해 콘크리트 타설 시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표준 PSC I 거더와 동일한 단면을 갖는 실험체 3개를 제작하여 인장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실험체의 파열보강철근은 100 mm, 200 mm, 300 mm 간격의 격자형으로 배근되었다. 실험결과, 파열균열 긴장력은 모든 실험체에서 설계 긴장력의 1.6배 내외로 나타났고, 파열균열은 정착단부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발생하였다. 또한 설계 긴장력의 2.7배까지 긴장력을 도입한 결과, 파열보강철근 간격이 300 mm인 실험체의 일부 수평방향 파열보강철근만 항복되었다. 따라서 표준 PSC I 거더의 정착부 파열보강철근은 도로교설계기준에서 제한하고 있는 최대 간격 300 mm를 만족시키는 것만으로도 파열력에 대한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7) 도로교설계기준, 사단법인 한국도로교통협회.
  2. 오병환, 임동환, 유승운(1994) 단일텐던 및 복수텐던이 설치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부재의 정착부 거동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4권 제6호, pp. 1329-1339.
  3. 한국콘크리트학회(2006) 콘크리트 구조부재의 스트럿-타이 모델 예제집, 사단법인 한국콘크리트학회, pp. 91-99.
  4. Bain, S., Mugurama, H., and Ogaki, Z. (1957) Anchorage zone stress distribution in post-tensioned concrete members, Proceeding of world Conference on Prestressed Concrete, Univ. of California, San Francisco, CA, pp. 1-14.
  5. Zielinski, J.L. and Rowe, R.E. (1960) An Investigation of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Anchorage Zones of Post-Tensioned Concrete Members, Research Report No. 9, Cement and Concrete Association, London, September.
  6. Breen, J.E., Cooper, R.L., and Gallaway, T.M. (1975) Minimizing construction Problems in Segmentally Precast Box Girder Bridges, Research Report No. 121-6F, Center for Highway Research,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Augu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