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nacular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초

소림일다(小林一茶)의 ≪시경≫ 배구화(俳句化) 양상 고찰 (Kobayashi Issa's ≪Shi jing≫ Hiku-ka and that meaning)

  • 유정란
    • 동양고전연구
    • /
    • 제68호
    • /
    • pp.539-570
    • /
    • 2017
  • 이 글은 소림일다(小林一茶)(고바야시 잇사, 1763-1827, 이하 '잇사'라고 칭함)의 ${\ll}$시경${\gg}$ 배구(俳句)(이하 '하이쿠'라고 칭함)화(化)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를 도출한 것이다. 잇사는 1803년 ${\ll}$시경${\gg}$을 공부하고, 이를 하이쿠로 재창작하여 ${\ll}$향화구첩(享和句帖)${\gg}$을 작성했다. 현재까지 이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없으며, 일본과 중국에서 잇사의 ${\ll}$시경${\gg}$ 수용 양상을 다룬 바 있다. 그러나 그 내용은 주로 국풍(國風)에 한정되었으며 연구자들 사이에 용어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 다양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 작품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번역이라는 관점을 지양하고 배구화(俳句化)라고 명명하였다. 나아가 두 장르간의 심층적인 교류와 영향 관계를 문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ll}$시경${\gg}$ 배구화(俳句化) 양상을 주제의식의 재현, 시어와 이미지의 변용, 의경 전화와 제목 차용의 층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주제의식의 재현에서는 주로 고향이나 부모를 그리워하는 작품이 선별되어 배구화(俳句化) 되었다. 이때 단순한 주제 차용의 수준이 아니라 핵심 의미를 도출, 주석을 고려하여 해석하거나 잇사 개인의 원작 이해가 많이 개입되었음을 살폈다. 시어와 이미지의 변용에서는 해당 원천들의 의미를 절취하거나 조합하여 자신의 방식대로 해석한 작품이 두드러졌다. 의경 전화에서는 일본적 정경으로 그 분위기를 바꾸는 작품이 있었는가하면, 제목 차용의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작품도 존재했다. 배구화(俳句化)의 의식 지향은 ${\ll}$시경${\gg}$의 감정이나 격앙된 어조, 비난 등을 의도적으로 탈락시키고 이치를 배척하거나 시교(詩敎)의 관점을 탈피한 것, 도덕적 이상을 담아내지 않는 작품에서 찾을 수 있었다. 잇사는 ${\ll}$시경${\gg}$을 하이쿠로 옮겨 올 때 매우 많은 부분에서 하이쿠적인 감상과 습관을 자각적으로 사용한 것이다. 잇사가 ${\ll}$시경${\gg}$을 배구화(俳句化)한 것의 의미는 우리의 ${\ll}$시경${\gg}$ 수용과 대조해볼 때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조선에서는 ${\ll}$시경${\gg}$을 언해하였지만 의역이 아닌 직역을 하였기 때문에 ${\ll}$시경${\gg}$ 원문의 글자가 유지되었다. 일본의 경우도 훈독체로 ${\ll}$시경${\gg}$을 수용하였기 때문에 원 글자가 바뀌지는 않았다. 그러나 잇사는 ${\ll}$시경${\gg}$의 출발점인 민요의 성격을 드러내기 위하여 일본의 민족어 시가 형태로 그 내용을 옮겼다. 동아시아의 보편적인 ${\ll}$시경${\gg}$ 수용 방식을 벗어나 잇사는 민족어 시가로 ${\ll}$시경${\gg}$에 대응한 것이다. 따라서 잇사의 ${\ll}$시경${\gg}$ 배구화(俳句化)의 의미를 본래 ${\ll}$시경${\gg}$의 출발점인 노래 그 자체로 인식하여 받아들인 태도에서 찾아야 할 것이라고 보았다.

강북 대형공원 기본계획 (Landscape Design Proposal for Gangbuk Large Park)

  • 김도경;최원만;홍형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14
    • /
    • 2008
  • 드림랜드 부지는 산으로 둘러싸인 강북지 역의 유일한 평지화 된 놀이공원이었으나, 현재는 시설 노후화와 방치로 인해 지역 거점공원으로서의 기능이 상실되었다. 부지 주변은 기존의 밀집주거와 새로 조성될 뉴타운 등이 혼재할 것이며, 특히 지역 여건상 강북지역의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대형공원이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강북 대형공원 조성사업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강북 대형공원 조성사업 국제 현상공모에서 우수작으로 선정된 작품의 설계전략과 내용을 서술하고자 한다. 계획안의 주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지형 공원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지극히 일상적인 생활공간으로서 산책과 등산, 체력단련시설 등 제한적으로 이용되는 산지형 공원을 선조들이 산을 즐겼던 그 정취를 재현해 보고자 하였다. 둘째, 사회성 강한 자립공원을 만들고자 하였다. 도시 속에 섬으로 존재하는 녹색 숲으로서의 공원이 아닌 자체적인 변화의 에너지를 발산하면서 도시와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공원이 되도록 하였다. 셋째, 다랑이 논은 자연과 더불어 사는 우리의 삶의 방식과 이념을 표현한 실체적 공간이었으며, 우리의 대표적인 향토적 경관이기도 하다. 이런 다랑이 논은 세 개의 낮은 산으로 둘러싸인 대상지를 아우를 수 있는 디자인 모티브였으며, 산에서부터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는 정겨운 풍경은 도시속의 명소로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아낼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농촌(農村) 향토(鄕土)마을 경관(景觀)의 변화(變化) - 조선 말기부터 올림픽개최 전(1988)까지 - (A Study on the Change of Landscape in Korean Rural Village - From Chosun Dyansty to Olympic Games(1988) -)

  • 이시영;장민;심준영;허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12-119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농촌 경관의 양상을 일반 농촌서민들의 정주공간을 대상으로 살펴보아 1896년 개항 전후를 기준으로 해서 농촌 향토마을경관의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토속 경관을 통해 서민들의 정주공간을 대상으로 서민 생활상의 반영체로서의 한국 토속 경관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는 한국화, 풍속화의 그림 자료와 문헌, 신문 및 텔레비전 영상자료를 사용하여 토속적 특징이 나타나는 장면을 주 분석대상으로 하여 그 내용을 해석하였다. 한국 내에서 지역별 특징적 토속 경관들이 하나둘씩 사라지고 있으며, 그로 인해 토속 경관의 지역 간 차별성이 사라지고 있다. 한국 농촌경관은 시대에 따라 변모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은 짧은 시간 안에 다양한 농촌 경관이 형성되었으며, 과거 전통적인 농촌경관은 거의 전적으로 자연에 의존 지향적이며, 현대로 진행될수록 사람의 의지가 생활환경에 강하게 표현되고 있다. 이와 같이 서민의 정주환경에서 나타나는 한국의 농촌 경관은 한국전통의 것에서 많이 변화되었지만, 어느 나라의 것과도 매우 다른 우리만의 고유경관으로 나타나고 있다.

전통조경 관련 국제통용 용어 고찰 - 정원·공원·도시경관에 관한 국제 문서와 연구 빅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 (A Study on the Internationally Accepted Terminology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Based on Big Data Analysis on International Documents and Research Papers of Gardens, Parks and Landscape -)

  • 서자유;정해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1-9
    • /
    • 2021
  • 이 연구는 전통 조경의 개념 정의와 적절한 영문표기를 확인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적절한 개념의 확인을 위해 국제 문서에서 쓰인 관련 용어를 종합하고, 국제권 연구에서 쓰이는 용어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ICOMOS의 '역사적 정원에 관한 헌장(플로렌스 헌장, 1981), ICOMOS와 IFLA의 '역사적 도시공원에 관한 문서(뉴델리, 2017)', '역사도시경관에 관한 유네스코 권고(파리, 2011)'를 분석하여 개념을 고찰하고, 정의, 공간과 대상, 가치와 활동을 설명하는 용어를 정리하였다. 전통조경 관련 국제권 연구는 ScienceDirect에서 역사 문화와 관련된 traditional, historic, cultural, classical, vernacular와 조경 관련 garden, park, landscape를 포함하는 연구 논문을 취합하여 각 용어가 어떤 성격으로 사용되는지를 살피고, 조경의 역사문화성을 표현하기 위한 적합한 명칭이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 국제 문헌에서는 '역사적(historic)' 정원·공원을 명시하고 있었으며, 전통(traditional) 조경은 한국만의 독창적인 디자인과 조성기법, 생태적 의미를 표현하는데 적합하며, 역사(historic) 조경은 조경사적인 의미의 정원·공원을 설명할 때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Standardization and Quality Evaluation of 'Banafsha'

  • Mehrotra, Shanta;Rawat, A.K.S.;Shome, Usha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4권1호
    • /
    • pp.15-22
    • /
    • 1998
  • 'Banafsha' is an important herbal drug of indigenous systems of medicine. Flowers of Viola odornta L. (Violaceae) are considered to constitute the genuine drug 'Banafsha'. However, due to limited distribution of this plant, another species of Viola, i.e. V. pilosa having almost similar medicinal properties, is mostly used under this vernacular instead. Ethnobotanically also different species of Viola i.e. V. odorata, V. pilosa and V. betonicifolia are used for various ailments at different places in our country. In the present study two species of Viola, namely V. pilosa and V. betonictfolia along with the commercial samples of 'Banafsha' were studied and authenticated. It was observed that the market samples procured from Dehradun, Mumbai, Lucknow, Palampur, Ramnagar and Ranikhet showed close resemblance with Viola pilosa in having similar morphological characters like uniseriate hairs on the ovary, geniculate and clavate style, truncate stigma and almost similar TLC profiles. On the other hand the Almora sample was identified as Viola betonicifolia by the presence of large purple flowers, clavate style and convex stigma forming hump like structure. However, the market sample procured from Pathankot was found to be a mixture of two species of Viola namely, V pilosa and V. odorata having dominance of the former species.

  • PDF

2000년 이후 패션의 주요 트렌드와 트렌드 이미지 (Trend Image and Major Trend of Fashion Since 2000)

  • 유현정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73-8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understanding of fashion trend since 2000 years, to play a guideline's role in the development on fashion designs study.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the study of academic literatures as well as practical study through expert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case studies about actual works. Fashion trends since 2000 years are summarized classic, sporty, elegance, ethnic, natural, romantic, vintage, futurism by expert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case studies about actual works. Image of fashion trends are abstracted that Classic image is harmony, moderation, accuracy, completeness, neatness, manish from keep an archetype to eliminate additional things, Sporty image is daily, active, enjoyment by the pursuit of a movement and freedom, Elegance image is feminine, grace from the tender moderated and feminity, Ethnic image is folkway, handicraft, vernacular to keep national character, local folkways and traditional ways. Natural image is nature, peaceful, purity, pastoral to the exclusion of artificiality and revert to natural, Romantic image is sensibility, fantastic, ornament, splendid from facing ideal world getting out of the reality, Vintage image is cozy, old, disorder, faden, freedom by expressing the flow of time and the mature beauty, Futurism image is future, experimental, avant-garde, man-made from positive perspective on future.

  • PDF

실내공간에 나타나는 ‘신장식 경향’에 관한 연구 - ‘공간에 특성화(site-space specific)’를 형성하는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ew Decoration Trend’ Emerging from the Interior Space - Focused on the factors in the mating ‘site-space specific’-)

  • 이진민;이수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92-101
    • /
    • 2004
  • A rational and logical sense of design often found in modernism(including minimalism) sometime deal with the criticism that such characteristics which derived from those of modernism, lack emotion31 qualities(arises from human feelings). It consequently took them to adopt traditional designs in the past, creating such conditions that constantly escapes from‘present’ one and back to the‘new’. This mode develops a trend in current interior design which decorative elements such as art work: traditional arts, folk crafts, flowers and green are much evident. Thus, using many decorative elements of the past(what was once banned since modernism), brings up the interesting point of view that needs to be discussed a new decorative trend if today's interior design. It will approach by comparing significances of past decorative expressions with present through which investigation, will show a better understanding of recent characteristics in interior designing, a.k.a, a current trend since minimalism, embracing important qualities of culture, ecology and people - against today's less-inspired, standardizing spaces.

한국 전통공간디자인의 도상해석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 지역적 원형과 창조적 환상의 개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conological Approach of the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 Focusing on Regional Prototype and Creative Fantasy -)

  • 박경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120-127
    • /
    • 2008
  • Korean space design image is a kind of writing as well as one of the sign that dissembles itself as a direct transcript of what it represents. Moreover it is pictorial representation and notions such as mental and perceptual imaginary. Significance of Iconology lies in how we transform image and the imagination that produces it into power of trust and respect.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illustrated as follows: At first, this study search out concept of archetype, collective unconsciousness and collective representation that found principles on basic theory for interpretation of korean space icon. Secondly, it mentions theoretical background of iconological contents and structure. And it clarifies Iconology as a method that is applicable logic for Korean space design. Finally, as an analysis of korean space design, this study analyse in three steps that are pre-iconological description, iconological analysis, iconological interpretation each in terms of modernization at regional korean space design. In the step of the pre-iconological description, it describe visual representative style based on era and place. In the step of the iconological analysis, the typical structure is classified in status, vernacular, ethnic, traditional. In the step of the iconological interpretation, connotation is categorized into allegory, multivalence, potential.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suggest that iconology is an appropriate analysis system of Korean space design images that represent symbols combined with our collective emotion.

Tinjute [Labiatae; (Otostegia integrifolia)]: A versatile Ethiopian ethnomedicinal plant - a systematic review of the scientific evidences

  • Karunamoorthi, Kaliyaperumal
    • 셀메드
    • /
    • 제4권2호
    • /
    • pp.8.1-8.6
    • /
    • 2014
  • Despite the remarkable advancements of the modern medicine, the traditional system of medicine (TSM) still serves as a potential primary health care modality in the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The recent reports suggest that there is a renewed interest has been observed towards TSM in the developed countries too, because of the adverse side-effect of modern medicines. Medicinal plants have been widely serving as a rich source of therapeutic agent. Ethiopia is one of the most reserves rich countries in the world. It is renowned for well-diversified and natural resources in terms of its unique flora and fauna. Ethiopian deep-rooted tradition and culture largely depends on the usage of plants for their religious ceremonies, impressive festivals, traditional medicinal uses and other basic necessities. The present scrutiny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omnipotent nature of an Ethiopian Ethnomedicinal plant called Tinjute [vernacular name (local native language, Amharic); Otostegia integrifolia]. There are several studies suggest that Tinjute can be used as a natural medicine or health-promoting agents for various disorders and ailments. Nevertheless, in Ethiopia, it is renowned as an insect repellent to drive-away insect vector of diseases, particularly mosquitoes in the early evening. However, there are many more issues and challenges which must be urgently addressed to scientifically formulate various potent, efficacious, safe and highly selective phytotherapeutic agents and insects' repellent from the Tinjute plant in the near future.

단풍딸기및 긴잎단풍딸기의 분류학적 정체성과 한반도 내 분포 (The taxonomic entity and distribution of Rubus palmatus var. palmatus and R. palmatus var. coptophyllus (Rosaceae) in Korea)

  • 양지영;이웅;김승철;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21-226
    • /
    • 2015
  • 안면도와 거제도에서 한반도 미기록식물인 장미과 산딸기속의 Rubus palmatus Thunb. var. palmatus을 발견하였고, 긴잎단풍딸기로 국명을 새롭게 부여하였다. 단풍딸기(R. palmatus var. coptophyllus (A. Gray) Kuntze)와는 잎이 3개로 갈라지거나 혹은 거의 갈라지지 않는 특징으로 구별된다. 또한 한반도 분포가 확인된 바 없는 단풍딸기의 거제도 분포를 처음으로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UPS에 소장된 Thunberg의 표본(UPS-THUNB. 12282)을 선정기준표본으로 지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