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bal interaction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3초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 분석 (Case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Their Science Classes)

  • 김동현;김효남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1145-1157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을 살펴보고 현장에서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 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수업 3곳의 총 27차시 수업에 참여하여 녹화하였으며, 전사 및 코딩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분석틀은 Sinclair와 Coulthard(1975)의 이론에 근거한 정민수 등(2007)의 분석틀에서 교사 피드백 부분을 김영순(2010)의 분석틀로 일부 수정한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틀이었다. 분석 후 분석결과 확인 및 언어적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수업자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IRF 패턴 유형은 관리적 질문-단답형 응답 유형이었다. 이러한 결과의 원인을 수업 외적인 측면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수업 사례를 통해 과학영재의 창의적 사고를 이끌어 내는데 효과적인 몇 가지 패턴 유형을 확인하였는데, 이를 통하여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은 막연히 개방적 질문, 지연적 피드백을 따로 구분하여 각각 좋다는 인식보다 학습 내용의 난이도 및 학생의 수준 등을 고려하여 상황에 적합한 패턴 전략으로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 3명은 평소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에 대하여 막연히 편안한 분위기, 개방적 질문과 지연적 피드백 정도로 인식하거나 전략이 아예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초등과학영재 담당 교사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에 대한 연수 등 다양한 전문성 향상 기회가 마련되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room)

  • 최경희;박종윤;최병순;남정희;최경순;이기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039-1048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관찰 분석하여 이에 대한 특징을 추출함으로써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수업 분석 준거를 개발하였으며, 8명의 과학 교사의 수업 12차시를 관찰 및 녹화하였으며, 교사와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업 분석 결과, 관찰한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주로 교사의 단순 확인/기억 질문, 학생의 단답형 응답, 교사의 즉각적 피드백이 주를 이루었다. 교사가 사고 질문을 하고 지연 피드백을 부여 하는 경우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고 이를 기반으로 사고를 진전시켜 나갈 수 있었으나 이러한 사례는 그 수가 상당히 적었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사고를 유발하고 이를 진전시키기 위한 노력보다는 수업 내용을 논리적 흐름에 맞추어 체계적으로 제시하는 것에 더 큰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관찰한 수업에서 교사가 시범 실험, 모형 혹은 실물 수업자료 등을 활용할 때 보다 많은 수의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여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었으나 교사가 학생들의 생각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사고과정을 진전시켜 나가는 과정을 도모하지 않음으로써 학생들의 사고과정을 단절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수업 활동과 수업 자료 활용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각각의 활용에 있어서 학생들과 구체적으로 어떠한 상호 작용을 형성해야 하는지에 대해 연구가 이루어져야하며, 또한 교사는 교사의 질문이나 피드백이 학생들의 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인식해야 한다.

중학생의 집단주의 성향에 따른 과학 협동학습에서 언어적 상호작용 양상의 비교 (A Comparison of Verbal Interaction Patterns in Science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Grouping by Middle School Students' Collectivism)

  • 주영;김경순;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1-233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32명을 대상으로 과학 협동학습 과정에서 학생들 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개별 진술, 상호작용 단위 및 갈등행동 단위 수준에서 분석하고, 집단주의 성향에 따른 이질 집단과 동질 집단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비교하였다. 또한, 학업 성취도 및 학업 성취도의 향상과 언어적 상호작용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개별 진술 수준의 분석 결과, 과제 관련 진술의 하위 영역의 분포는 이질 집단과 동질 집단에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고, 두 집단 모두 설명하기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상호작용 단위의 유발 빈도는 이질집단보다 동질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고, 대칭적 상호작용의 유발 빈도가 가장 높았다. 이질 집단에서 HC 학생의 개별 진술의 빈도 및 상호작용 단위의 유발 빈도가 LC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갈등행동 단위의 유발 빈도는 전체적으로 낮은 편이었으나 집단별로 비율이 비슷했다. 특히, LC 동질 집단에서는 회피와 경쟁, HC 동질 집단에서는 협력의 유발 빈도가 높았다. 또한, 상호작용 단위 및 갈등행동 단위 수준에서 이질 집단과 동질 집단 간의 질적인 차이가 있었다. 학업 성취도 및 학업 성취도의 향상은 과제관련 진술의 합계와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보육시설에서의 영아-교사 상호작용과 영아의 발달수준, 교사의 민감성 및 초기 가정환경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Infant-Child Care Teacher Interaction : Infant Development, Teachers' Sensitivity and Early Home Environment)

  • 최은정;하지영;서소정
    • 아동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1-95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s among infant development, teacher's sensitivity,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infant-teacher interaction in the child care setting.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s between 30 2-year-old infant-teacher pairs were video-recorded during free play activities; teachers' sensitivity was observed by trained observers; infant development was assessed by teachers; data on the early home literacy environment were gathered through maternal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d correlation analyses. Results indicated that boys showed more naming; girls showed more physical contact with teachers. Infants high in overall developmental level showed more behavioral interaction with teachers. Teacher's sensitivity correlated positively with behavioral imitating and negatively with questioning and nodding. Verbal interaction in the home correlated positively with nodding.

  • PDF

중학생의 과학 탐구 활동에서 역할 부여가 언어적 상호작용의 유형 변화와 양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ole Assignment on the Types and Patterns of Verbal Interactions in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Inquiry Activities)

  • 임유진;김영신;임수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2호
    • /
    • pp.167-182
    • /
    • 2020
  • 소집단 과학 탐구 활동에서의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활발한 상호작용은 과학 학습의 효과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소집단 내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소집단 구성원들에게 역할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 활동에서 역할 부여가 언어적 상호작용의 유형 변화와 양상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 2개 중학교 학생 1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역할을 부여한 소집단 18개, 역할을 부여하지 않은 소집단 15개를 분석하였다. 역할 부여에 따라 탐구 활동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의 변화는 크게 소외형과 참여형으로 구분하였다. 역할을 부여한 경우에 참여형이 소외형에 비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언어적 상호작용의 양상은 인지적, 정의적 측면에서 역할을 부여하였을 때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역할 부여가 과학 탐구의 유형과 탐구 단계에 따라 언어적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소집단 구성과 역할 부여 방식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도 요구된다.

중학교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or the Gifted and the General Science Class in Middle School)

  • 이지향;김동진;황현숙;박세열;백인환;박국태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721-741
    • /
    • 2010
  • 이 연구는 중학교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을 관찰하여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 학생의 응답에 대한 유형과 빈도 분석을 통해 교사와 학생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 일반학급의 과학수업에서 교사들은 교과서의 내용을 정리해서 묻거나 그대로 안내하는 발문을 많이 사용하였고, 재진술 형태의 즉각 피드백을 주로 사용하였다. 학생들은 네, 아니오, 와 같은 단순 확인 단답형 응답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언어적 상호작용 모형은 인지 기억적 사고 발문-단답형 응답-즉각 피드백 순서가 가장 많았다.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에서 교사들은 이유가 뭐에요? 왜 그런 거예요? 와 같은 개방적 발문의 확산적 사고 발문과 평가적 사고 발문을 사용하였고, 설명형 형태의 즉각 피드백을 주로 사용하였다. 일반학급과 비교하여 지연 피드백은 높게 나타났으나 즉각 피드백은 낮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짧은 단어나 간단한 문장 형태의 단답형으로 응답하였으며, 수업참여가 보다 적극적이었다. 언어적 상호작용 모형은 인지 기억적 사고 발문-문장 형태 단답형 응답-지연 피드백 순서가 많았다.

유아의 수줍음과 교사-유아 관계 간의 관계에 대한 유아 언어능력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Children's Verbal Ability in the Relation Between a Child's Shyn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in Kindergarten)

  • 권연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09-126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moderating role of children's verbal ability in the relation between shyn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Methods: Participants were 200 children, their mothers, and their kindergarten teachers. Children's shyness was rated by their mothers and teachers, and children's verbal ability was measured using the language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And teachers completed a rating scale in order to examine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Children's shyness had a negative relation to close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s verbal abil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eacher-child relationships. Hiera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ted to the interaction of child's shyness and verbal ability predicted close teacher-child relationships. Children's shyness, those who demonstrated the lowest level of child's verbal abil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lose teacher-child relationships. Children's shyness had no significant relation to close teacher-child relationships, especially for the highest level of children's verbal ability. Conclusion/Implications: We suggested that verbal ability training for children might be valuable for shy children in order to buffer the link between shyn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해결자.청취자 활동에서의 언어적 행동 (Verbal Behaviors in Paired Think-Aloud Problem Solving)

  • 전경문;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24-633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해결자 청취자 활동에서 학생들의 언어적 행동을 조사하였다. 고등학교 화학 수업에서 해결자 청취자 활동을 통해 4단계 문제 해결 전략을 사용하도록 하고, 그 소집단 행동을 녹화 및 녹음하였다. 해결자와 청취자의 언어적 행동은 각각 8개 범주로 유형화 하였는데, 해결자가 많이 나타내는 행동은 '동의 요청', '제공', '수정'이고, 청취자가 많이 나타내는 행동은 '동의', '질문', '지적'이었다. 자주 나타난 언어적 행동을 토대로 해결자와 청취자 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도 조사하였다. 언어적 행동과 문제 해결력 사이의 부분 상관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청취자의 동의, 지적 및 해결자의 수정이 청취자의 향상과 밀접한 관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해결자의 경우에는 청취자의 지적을 받는 것이 문제 해결력 향상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한편, 학생들은 해결자 청취자 활동이 문제 해결 과정을 인지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청취자의 경우에는 해결자의 문제 해결 과정을 이해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도 있었다.

  • PDF

보육시설의 집단 크기에 따른 영아의 또래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 (An Analysis of Toddlers' Interactions with their Peers and Caregivers According to the Class Size of the Child Care Centers)

  • 권혜진;이순형
    • 아동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01-21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oddlers' verbal and nonverbal interaction with their peers and caregivers according to the class size of child care centers in Seou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two-year-old(M=32.5 month) toddlers with peers and caregivers from child care centers in different class sizes, but with same caregiver-toddler ratio. Verbal and nonverbal interactions were videotaped during one hour indoor free play per child in the center. According to the class siz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oddlers in the small class played more cooperatively with peers, and uttered more regulative or directive words than those in the large class. 2) Toddlers in the large class were more aggressive than those in the small class. 3) Caregivers in small class expressed more empathetic behaviors to a toddler than those in large class.

  • PDF

당혹감(embarrassment); 개념분석 (Embarrassment; a concept analysis)

  • 조은정;정복례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76-286
    • /
    • 2002
  • Purpose: The concept of embarrassment as an unpleasant emotion is important in caring for those who are in the continuum of illness and health requiring body care and facing sexual problems. In spite of its nursing implication, embarrassment has not been focused in nursing research.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e a conceptual analysis of embarrassment. This analysis would help to understand comprehensively an embarrassing situation in which an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nurse and patient regarding body care of the patient could develope. Futhermore, it would be a basis for developing strategies for prevention of embarrassment which could lead for both patient and nurse to emotionally vulnerable situation because of their failure of self-presentation (impression management). Method: The concept analysis model suggested by Walker and Avant (1988) is used to clarify what is meant by the term 'embarrassment'. Result: This analysis defines the attributes of embarrassment such as follows. First, embarrassment is often attributed to situational factors interrupting a smooth interaction such as intimacy, confusion, vulnerability, exposure of interaction and characteristics of audience. Second, embarrassment is closely related with cognitive factor such as fear of losing face resulted from a behaviour being out of line. Third, embarrassment is closely associated with dispositional factor such as embarrassability. Fourth, embarrassment is an unpleasant and unwanted emotion arising reactively after an interaction had occurred. Fifth, embarrassment encloses physical,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aspects such as a variety of unique and easily noticeable reactions and a pattern of verbal and non-verbal behaviour for coping in an embarrassing situation. The antecedents were normally socialized adolescents with normal cognitive ability, concern of losing face, embarrassability, embarrassing events related with situational intimacy, confusion, vulnerability, exposure of interaction and characteristics of audience, physical, behavioral blunders resulting in a failure of impression management. The consequences were an emotional coping behaviour, audience's embarrassment responses, and verbal and non-verbal coping strategies of interactional participants. Conclusion: It is hoped that this analysis will stimulate further exploration of this concept and study for developing systematic assessment and nursing practice that diminishes embarrassment of interactional participa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