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

검색결과 447건 처리시간 0.04초

후코이단이 혈관 내피세포의 신생혈관 생성 효과 및 관련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ucoidan on Angiogenesis and Gene Expression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 박호;김범수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23-328
    • /
    • 2017
  • 신생혈관생성은 여러 신생혈관 생성 인자들이 포함되는 중요한 과정이며, 특히 이 과정에서는 섬유아세포증식인자(FGF-2)는 세포의 증식률과 미세관 형성을 촉진하기 때문에 중요한 신생혈관 생성인자로 여겨진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해조류에서 추출되는 후코이단 다당류 물질이 섬유아세포 증식인자2에 의한 혈관내피세포의 미세관형성을 더욱 촉진한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섬유아세포 증식인자와 후코이단 복합처리에 따른 신생혈관생성 활성에 대한 분자적 메카니즘은 아직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생혈관생성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섬유아세포 증식인자와 후코이단 물질의 복합처리에 따른 세포의 증식과 미세관형성률 그리고 세포의 이동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들의 신생혈관 생성 활성에 관련된 인자를 탐색하기 위하여 VEGF-A, ICAM-1, MMP9, 그리고 ICAM-1 유전자를 연전사 중합연쇄반응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후코이단과 섬유아세포 증식인자 복합처리는 혈관내피세포의 성장률, 미세관 형성률 그리고 세포의 이동률을 촉진하고, 이 과정에서 신생혈관생성 기능과 관련된 STAT3, VEGF-A, MMP9 그리고 ICAM-1의 유전자 발현을 촉진함으로 신생혈관 생성활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이러한 유전자 발현이 fucoidan/FGF2에 의한 angiogenic 활성 촉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골막기원세포에서 발현되는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관련 자가성장 (VEGF-RELATED AUTOCRINE GROWTH IN PERIOSTEAL-DERIVED CELLS)

  • 박봉욱;이성균;하영술;김덕룡;조영철;성일용;김욱규;김종렬;변준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5권5호
    • /
    • pp.294-298
    • /
    • 2009
  • Purpose: The development of a microvascularization is important for the homeostasis of normal bon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vessel 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EGF-related autocrine growth in periosteal-derived cells. Materials and methods: Periosteal-derived cells were obtained from mandibular periosteums and introduced into the cell culture. After passage 3, the periosteal-derived cells were further cultured for 21 days in an osteogenic inductive culture medium containing dexamethasone, ascorbic acid, and $\beta$-glycerophosphate. Results: The expression of four VEGF isoforms and VEGFRs was observed in periosteal-derived cells. Treatment with cultures with VEGFR-1 and VEGFR-2 Kinase Inhibitor inhibited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and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of periosteal-derived cells. In addition, exogenous VEGF treatment increased calcium content in the periosteal-derived cell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VEGF might act as an autocrine growth molecule during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of cultured human periosteal-derived cells.

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 식물추출물질(MBN)의 in vitro 및 in vivo 발모 효과 (In vitro and In vivo Hair Growth Promotion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Fermented Plant Extracts (MBN))

  • 주성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81-386
    • /
    • 2011
  • 실험물질은 두피건강 및 발모에 유용한 소재를 혼합하여 열수 추출한 후 유산균에 발효시킨 2차 발효물질로서 고기능성이 예상되는 물질이다. C57BL/6 마우스의 등을 제모하고 실험물질을 처리하였을 때 암 수 모두에서 양성대조군인 minoxidil과 비교하였을 때 동등이상의 우수한 발모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수컷의 경우 200 mg/kg 이하의 농도에서 우수한 효과가 관찰되었고 암컷에서는 고용량인 500 mg/kg까지 현저한 발모효과가 관찰되어 성별 처치 용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양성대조군 minoxidil이 신속한 발모효과를 보이는 반면 털의 긁기가 감소하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나 실험물질을 처리한 군에서는 제모전과 동등이상의 굵기를 유지하였다. 이러한 발모효과를 확인하기위해 모발성장관련 유전자 발현을 분석한 결과 실험물질이 KGF, VEGF 등의 모발성장촉진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반면 탈모를 유도하는 $TGF{\beta}1$의 발현에는 반응을 하지 않아 유용한 발모제제로서의 가능성이 입증되었다. 더불어 실험물질에 의한 NO 분비가 두피의 혈류개선을 유도하여 탈모억제효능을 나타낼 것으로 사료되어 발효생약추출물인 MBN이 모발성장 및 탈모예방제제로의 개발이 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약재 복합추출물이 모발 성장 및 멜라닌 생성 촉진에 미치는 영향 (Ethanol extract of medicinal herbal mixture accelerates hair growth and melanogenesis in vivo and in vitro)

  • 김지윤;김유진;김문주;김미려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9-18
    • /
    • 2018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transdermal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medicinal herbal mixture (SHJ) on hair growth in C57BL/6 mice and melanogenesis in melanoma cells. Methods : Mice were divided into 3 experimental groups including vehicle (CON), SHJ extract and 5% minoxidil (MNXD, positive control)-treated group. SHJ was applied topically on the hair-shaved skin of C57BL/6 mice everyday for 15 days. The thickness and density of hair with a folliscope and morphometry of hair follicle with a H&E staining were monitored at last day. Also then, hair growth-associated gene expressions were measured by immunoblot assay. Results : The MNXD or SHJ-treated group promoted on hair growth compared to that of vehicle-treated group (CON). Hair density and thickness of MNXD or SHJ treated-group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vehicle application on the 15 days, respectively. Induc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1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were also accelerated by application of SHJ extract compared to those of CON group. But express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1$ decreased in SHJ treated-group compared to that of CON group. Furthermore, SHJ extract showed to increase melanin contents in a dose-dependent manner. Tyrosinase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in SHJ-treated group compared with CON group in dose-dependant manner.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SHJ can be used as a component of cosmeceuticals for hair care via promoting growth and melanogenesis of hair.

TNF-$\alpha$에 의해 유도된 세포부착분자의 발현에 대한 Delphinidin chloride의 억제 효과 (Delphinidin Chloride Effects on the Expression of TNF-$\alpha$ Induced Cell Adhesion Molecules)

  • 고은경;채수철;서은선;나명석;이종빈
    • 환경생물
    • /
    • 제27권1호
    • /
    • pp.88-94
    • /
    • 2009
  • 안토시아닌(Anthocyanin)은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의 한 부류로 항산화, 항암 및 항궤양, 항당뇨, 중금속해독, 시력보호, 콜레스테를 저하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죽상경화과정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 또는 혈관손상으로 인한 백혈구의 부착과 이동을 통해 시작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죽상경화의 초기과정에서 안토시아닌 혼합물 중 single compound인 delphinidin chloride (DC) 인간혈관 내피세포주(HUVEC,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line)에서 백혈구 부착과 관련이 있는 ICAM-1 (Intraceliular Adhesion Molecule-1)과 VCAM-1 (Vascular Adhesion Molecule-1)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TNF-$\alpha$에 의해 유도된 혈관 내피세포에 대한 단핵구의 부착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monocyte-endothelial cell adhesion assay와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형태학적 관찰을 한 결과 DC가 처리농도 의존적으로 부착을 억제하였다. 내피세포로부터 TNF-$\alpha$에 의해 유도된 세포부착 분자인 VCAM-1과 ICAM-1의 발현에 대한 영향을 western blot analysis 및 RT-PCR방법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VCAM-1과 ICAM-1의 단백질과 mRNA수준에서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안토시아닌 중에서 DC를 실험한 결과 DE는 TNF-$\alpha$에 의해 유도된 내피세포의 ICAM-1과 VCAM-1 발현 억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올리고 마이크로어래이를 이용한 활성화된 인간 제대 정맥 내피세포의 유전자 발현 조사 (DNA Microarray Analysis of the Gene Expression Profile of Activated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 김선용;오호균;이수영;남석우;이정용;안현영;신종철;홍용길;조영애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874-881
    • /
    • 2004
  • 혈관 신생은 암의 성장 및 전이뿐만 아니라 염증, 관절염, 건성, 동맥경화 등의 병적인 진행에 주요한 역할을 하며, 혈관신생 억제를 통한 암의 치료를 시도하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혈관 신생 시 내피세포의 증식, 이동을 유도하는 활성화 과정이 필수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in vitro에서 내피세포를 배양하여, 각종 growth factor가 풍부한 배지에서 활성화 시켰을 때, 그렇지 않는 세포들과의 유전자 발현 형태를 비교 조사하였다. HUVEC을 70∼80% cofluency로 배양시킨 후에 endothelial cell growth supplement (ECCS), 20% fetal bovine serum, heparin이 첨가된 Ml99 배지에서 13 시간 활성화시킨 세포(AHUVEC)와 대조군 세포(RHUVEC)로부터 분리한 total RNA로부터 CDNA를 제작하였고, 이것을 18,864 개의 유전자가 올려져있는 인간 올리고 칩과 hybridization 반응을 시켰다. 반응된 유전자를 이용하여 random clustering분석을 실시한 결과, 활성화 시켰던 HUVEC과 그렇지 않은 HUVEC으로 dendrogram 상에서 두개의 subgroup으로 나뉘어 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소 2배 이상 발현 변화가 있는 유전자 122종이 활성화 시켰던 HUVEC으로부터 추출되었다. 이중에서 기능이 알려진 32 개의 유전자는 활성화시킨 HUVEC에서 발현이 증가하였고, 38 개의 유전자 발현은 감소하였다. 흥미롭게도 세포 증식과 이동, 염증, 면역반응에 관련한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된 반면에 세포 흡착과 혈관 조직과 기능에 관련한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된 것이 관찰되었다. 예상외로 규명이 잘된 혈관신생 인자와 관련한 유전자들의 발현에는 크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Eph-B4의 발현은 약 4 배 감소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2배 이상 발현에 차이를 보이고 기능이 알려져 있지 않은 유전자 52종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새로운 혈관 표적 물질 개발에 대한 기회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Hizikia fusiformis 추출물의 in vitro 및 in vivo에서 혈관신생 감소 연구 (Hizikia Fusiformis Hexane Extract Decreases Angiogenesis in Vitro and in Vivo)

  • 제갈명은;한유선;박시영;이지혁;이의연;김영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703-712
    • /
    • 2023
  • 기존 혈관에서 새로운 혈관을 형성하는 혈관 신생은 혈관 신생 조절인자에 의해 조절되는 다단계 과정이며 배아 발달, 만성 염증 및 상처 복구를 포함한 다양한 생리학적 과정에 필수적이다. 혈관 신생의 조절장애는 암, 자가 면역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심혈관 질환 및 상처 치유 지연과 같은 많은 질병을 유발한다. 그러나 효과적인 혈관신생 억제 약물은 제한되어 있으며, 최근 연구에서는 천연 자원에서 잠재적인 약물후보를 식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예를 들어, 해양 천연물은 항암, 항산화, 항염증, 항바이러스 및 상처 치유 효과를 입증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톳(갈조류) 추출물의 혈관 신생 억제 효과를 확인했습니다. H. fusiformis 추출물은 인간 제대 정맥 내피 세포(HUVECs)에서 세포 이동, 침윤 및 관 형성을 억제하며, 동시에 Matrigel 겔 플러그 분석을 통해 생체 내 혈관 신생을 억제를 확인했다. 또한, 톳 추출물 처리 후 VEGF, Erk, Akt의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 결과를 토대로 H. fusiformis 추출물이 in vitro 및 in vivo 혈관 신생을 억제함을 시사한다.

Endostar Combined with Cisplatin Inhibits Tumor Growth and Lymphatic Metastasis of Lewis Lung Carcinoma Xenografts in Mice

  • Dong, Xiao-Peng;Xiao, Tian-Hui;Dong, Hong;Jiang, Ning;Zhao, Xiao-G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5호
    • /
    • pp.3079-3083
    • /
    • 2013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dostar, a recombined humanized endostatin, plus cisplatin on the growth, lymphangiogenesis and lymphatic metastasis of the Lewis lung carcinoma (LLC) in mice. Methods: A tumor model were established in C57BL/6 mice by intravenious transplantation of LLC cells. Then the mice were randomized to receive administration with NS, endostar, cisplatin, or endostar plus cisplatin. After the mice were sacrificed, tumor multiplicity, tumor size and lymph node metastasis were assessed. Then the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c (VEGF-C) and podoplanin were determin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Results: Endostar plus cisplatin significantly suppressed tumor growth. lymphatic metastasis and prolonged survival time of the mice without obvious toxicity. The inhibition of lymphatic metastasis was associated with decreased microlymphatic vessel density (MLVD) and expression of VEGF-C. Conclusions: Endostar combined with cisplatin was more effective to suppress tumor growth and lymphatic metastasis than either agent alone. Thus this may provide a rational alternative for lung carcinoma treatment.

중풍 동물 모델에서의 트레드밀 운동이 허혈성 신경손상에 미치는 효과: 뇌혈관 통합성 강화 (The Effect of Treadmill Exercise on Ischemic Neuronal Injury in the Stroke Animal Model: Potentiation of Cerebral Vascular Integrity)

  • 강경아;성호현;진한별;박종민;이종민;전재용;김연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97-203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whether pre-conditioning exercise has neuroprotective effects against cerebral ischemia, through enhance brain microvascular integrity. Methods: Adult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1) Normal (n=10); 2) Exercise (n=10); 3)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n=10); 4) Exercise+MCAo (n= 10). Both exercise groups ran on a treadmill at a speed of 15 m/min, 30 min/day for 4 weeks, then, MCAo was performed for 90 min. Brain infarction was measured by Nissl staining. Examination of the remaining neuronal cell after MCAo, and microvascular protein expression on the motor cortex, showed the expression of Neuronal Nuclei (NeuN),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 laminin. Results: After 48 hr of MCAo, the infarct volum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Ex+MCAo group ($15.6{\pm}2.7%$) compared to the MCAo group ($44.9{\pm}3.8%$) (p<.05), and many neuronal cells were detected in the Ex+ MCAo group ($70.8{\pm}3.9%$) compared to the MCAo group ($43.4{\pm}5.1%$) (p<.05). The immunoreactivity of laminin, as a marker of microvessels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were intensively increased in the Ex+MCAo group compared to the MCAo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exercise pre-conditioning reduce ischemic brain injury through strengthening the microvascular integrity after cerebral ischemia.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Breast Carcinomas Classified by Biomarkers and Correlation with Microvessel Density and VEGF Expression: A Study from Thailand

  • Chuangsuwanich, Tuenjai;Pongpruttipan, Tawatchai;O-charoenrat, Pornchai;Komoltri, Chulaluk;Watcharahirun, Suwapee;Sa-nguanraksa, Doonyapa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3호
    • /
    • pp.1187-1192
    • /
    • 2014
  • Background: To correlate breast cancer subtypes with prognostic factors, microvessel density (MV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expression and clinical features.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cases of primary breast carcinoma were classified using biomarkers on tissue microarray as: luminal A [estrogen receptor (ER)+, HER2-, $Ki-67{\leq}14%$], luminal B [ER+, HER2+ or ER+, HER2-, Ki-67>14%], HER2, triple negative basal-like (TNB) [any basal cytokeratins (CKs, 5, 14, 17) and/o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expression], and TN without such markers [TNN, null], and assessed for p53, vimentin, VEGF and CD31 immunoperoxidase. Results: Of the 100 cases (mean age, 51 years; mean tumor size, 3.2cm; 56% with nodal metastasis; 89 invasive ductal carcinomas, not otherwise specified, 4 invasive lobular carcinomas, 3 metaplastic carcinomas, and 4 other types) there were 39 luminal A, 18 luminal B, 18 HER2, 15 TNB and 10 TNN. The positivities of basal-like markers in the basal-like subtype were 78.3% for CK5, 40% for CK14, 20% for CK17, 46.7% for EGF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distribution, tumor size, degree of tubular formation, pleomorphism, lymphovascular invasion, nodal metastasis, MVD, VEGF expression and survival among subgroups. TNs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tumor grade, mitotic count, Ki-67 index, p53 and vimentin and decreased overall survival compared with nonTN. Conclusions: The distribution of breast cancer subtypes in this study was similar to other Asian countries with a high prevalence of TN. The high grade character of TN was confirmed and CK5 expression was found to be common in our basal-like subtype. No significant elevation of MVD or VEGF expression was ap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