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ricella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38초

정상 면역 성인에서 발생한 수두 폐렴 1예 (Varicella-Zoster Virus Pneumonia in Immunocompetent Adults)

  • 오지연;최정우;김세중;신철;김제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1권4호
    • /
    • pp.291-295
    • /
    • 2011
  • Varicella, more commonly known as chickenpox, is caused by the varicella-zoster virus. It is a common benign childhood illness. In adults, Varicella is uncommon but is more severely associated with complications including pneumonia, hepatitis,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encephalitis and myocarditis. A serious and life-threatening complication is the development of varicella-zoster virus pneumonia (VZVP). Although VZVP is well described in immunocompromised hosts, it is rarely seen in immunocompetent adults. The VZVP in healthy adults is more prevalent in cigarette smokers and during pregnancy. However, reports of VZVP in healthy adults are scarce in Korea. The authors report here a case of VZVP in an immunocompetent adult and present a literature review.

대상포진 척수염으로 유발된 척수손상 환자의 한방치료 1례 (A Case Study of T10 Spinal Cord Injury due to Varicella Zoster Myelitis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 김민서;심원석;박상은;홍상훈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548-559
    • /
    • 2016
  • Objectives: This is a clinical report of one patient with both lower limb paraparesis and numbness as well as sensory impairment caused by a T10 spinal cord injury due to varicella zoster myelitis.Methods: The patient with the spinal cord injury induced by varicella zoster myelitis was treated using Korean medical treatments such as herbal medicine (Palmijihwang-tanggami), acupuncture, and moxibustion.Results: After treatments, improvements in muscular strength and the sensory impairment of both lower limbs were observed as well as improvements in various side effects such as the debridement state and laboratory findings of urine analysis.Conclusion: Given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Korean medical treatment is effective for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due to varicella zoster myelitis.

최근 10년간 경인지역 20세 이하 소아 청소년에서 발생한 대상포진의 역학적 변화와 임상적 고찰 (A Recent 10-Year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Study on Zoster under 20 Years Old)

  • 목혜린;박소영;이수영;최상림;정대철;정승연;김종현;허재균;강진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2권2호
    • /
    • pp.195-201
    • /
    • 2005
  • 목 적 : 우리나라에서 성인에 대한 대상포진에 대한 연구 자료는 많이 보고되고 있지만, 소아 청소년 영역에서 발생하는 대상포진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최근 10년간 소아 청소년에서 대상포진의 역학과 임상양상을 조사하였고 수두 과거력과 예방접종 유무에 따라 나타나는 대상포진의 양상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방 법 : 1995년 7월부터 2005년 6월까지 10년간 경인지역 4개 대학병원에 대상포진으로 입원한 20세 이하 환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고 누락된 기록이 있는 경우 전화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결 과 : 1) 최근 10년간 경인지역 20세 이하 소아 청소년에서 대상포진으로 입원한 환자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2) 수두 예방접종 후에 대상포진의 발생이 증가되는지를 설명할 수는 없었다. 3) 입원 당시의 주증상은 3/4 환아에서 통증이 동반된 피부병변이었고 대부분 간기능 검사치는 정상이었고 주사용 acylcovir 치료를 받았다. 4) 입원치료 중 합병증이 동반된 경우는 17%이었고, 그 중 뇌수막염(41%)이 가장 많았다. 5) 예방접종 유무와 무관하게 수두 과거력이 있는 환아는 수두 과거력이 없던 환아들보다 대상포진에 의한 합병증 발생률이 높았다(P<0.05). 6) 수두 과거력이 없는 환아들 경우, 수두 예방접종을 시행한 환아는 접종하지 않는 환아보다 대상포진에 의한 합병증 발생률이 낮았다(P<0.01). 결 론 : 최근 10년간 경인지역 소아 청소년에서 대상포진으로 입원한 환아수가 증가하는 추세이었으나, 그 증가 원인과 수두백신이 대상포진의 증가에 영향을 주는가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자료의 제한점이 많지만, 연구 결과에 의하면 예방 접종력과 무관하게, 수두 과거력이 없는 환아들은 수두 과거력이 있는 환아들보다 합병증 발생률이 낮았고 수두 과거력이 없는 환아들 중에서는 예방접종을 시행한 환아들이 예방접종을 시행하지 않는 환아들보다 합병증 발생률이 낮았다. 올해부터 수두 예방접종이 기본접종으로 시행된 시점에서, 기본접종으로 시행되기 이전과 이후 발생되는 수두와 대상포진에 대한 역학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ffectiveness of Two-dose Varicella Vaccination: Bayesian Network Meta-analysis

  • Kwan Hong;Young June Choe;Young Hwa Lee;Yoonsun Yoon;Yun-Kyung Kim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1권1호
    • /
    • pp.55-63
    • /
    • 2024
  • 목적: 수두 감염에 대한 백신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수두백신 2회접종 전략이 여러 국가에 도입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Bayesian 모델을 통해 수두 예방 접종 전략의 종합적인 평가와 효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수집된 연구에 대해 1회 및 2회 접종, 인구특성 및 관심대상결과와 같은 결과값들을 수집했다. 다양한 접종 횟수를 포함하는 연구의 경우 동일한 투여 횟수에 대한 데이터를 하나의 그룹으로 집계했다. 수두 백신의 1회 및 2회 접종의 예방 효과는 오즈 비 (OR) 및 해당하는 95% 신뢰 구간 (95% CI)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문헌 검색을 통해 총 903개의 연구가 검색되었고, Bayesian 네트워크 메타 분석을 위해 25개의 개입 또는 관찰 연구가 선택되었다. 총 49,265명의 관찰 대상자가 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미접종군과 비교하여, 모든 수두 감염의 OR은 각각 2회 및 1회 접종에 대해 0.087 (95% CI, 0.046-0.164) 및 0.310 (95% CI, 0.198-0.484)이었으며, 이는 각각 1회 및 2회의 VE가 각각 69.0% (95% CI, 51.6-81.2) 및 91.3% (95% CI, 83.6-95.4)에 해당한다. 결론: 체계적인 검토 및 네트워크 메타 분석 결과, 2회 접종 백신 전략은 수두 감염 부담을 크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고, 2회 접종을 받은 어린이들은 1회 접종을 받은 어린이들보다 수두 감염 위험이 낮았으며, 유행 발생 시 더 나은 보호를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두에 대한 면역력 평가에 있어서 피부 시험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skin test in evaluation of immunity to varicella)

  • 김지영;이혜진;김미진;김영호;정지아;양승;황일태;이혜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4호
    • /
    • pp.377-382
    • /
    • 2008
  • 목 적 : 수두에 대한 개체 면역력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약독화 수두백신을 불활성화 시킨 후 희석시켜 만든 용액을 이용한 피부시험이 유용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5년도 7월에서 8월까지 한림대의료원 강동성심병원 의료진 19명과 입원한 소아 22명을 포함한 총 41명(남자 22명, 여자 19명, 만 1-32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두 감염의 과거력, 수두 예방접종 여부에 대한 사항은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고 피부시험을 위한 용액은 Oka 균주의 약독화 수두백신을 상온에 10일간 방치하여 불활성화 시킨 후, 이를 다시 생리식염수로 50배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이 용액을 우측 상완 전박부에 피내 주사하였고 대조액으로 반대편 상완 전박부에 생리식염수액을 피내 주사하였다. 48시간 이후 경결의 직경 5 mm 이상일 때 양성으로 판독하였다. 또한 효소면역분석법을 이용하여 혈청 VZV 특이 IgG 항체가를 측정하여 피부시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효소면역분석법을 이용한 항체 검사에 대한 성인에서의 수두 피부시험의 민감도는 94.7%이고 양성 예측도는 100%였다. 동일한 판정 기준을 소아에 적용하였을 때 양성 예측도와 특이도는 100%로 높았으나 민감도와 음성 예측도는 각각 50%, 30.7%로 낮았다. 소아에서의 VZV 피부반응도는 성인에 비해 낮았다. 결 론 : 약독화 수두백신을 불활성화, 희석시켜 만든 용액을 이용한 피부시험은 수두에 대한 면역력을 예측하는데 있어, 간편하고 안전한 저가의 유용한 검사이다. 그러나 피부시험에서 양성판정기준을 결정할 때 조사목적, 대상연령 등을 고려하여 신중히 판단하여야 할 것이며, 이에 대해서는 향후 더 많은 대상에서 추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한 Varicella-Zoster Virus DNA 검출로 확인된 대상포진 수막염 -증례 보고- (Herpes Zoster Meningitis Confirmed by Detection of Varicella-Zoster Virus DNA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A case report-)

  • 허후만;최유선;박성규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8권2호
    • /
    • pp.210-213
    • /
    • 2005
  • Acute viral meningitis and myositis are rare complications of varicella-zoster virus (VZV) reactivation. A 71-years-old immunocompetent man, who presented with lower back pain radiating to the left lower extremities, developed vesicles on the L5 dermatomal area. The next day, he had complained of aberrant vesicles on the trunk, face and scalp, with generalized myalgia, headache and dizziness. He was confirmed with VZV meningitis and myositis, as demonstrated by the presence of VZV DNA in the blood and cerebral spinal fluid us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mplification. PCR has been used in patients with a VZV infection associated neurological symptoms, and provides a useful tool for the early diagnosis of VZV-associated neurological disease.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bed rest, with intravenous acyclovir for the VZV infection, and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for pain management and the prevention of postherpetic neuralgia. When he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3 months later, the skin lesion, leg pain, headache and myalgia had all improved, without sequelae. Here, this case is reported, with a discussion of the relevant literature on its diagnosis and management.

정상 면역기능을 가진 소아에서 수두 감염 후에 발생한 급성 췌장염 1예 (Acute Pancreatitis Associated with Varicella Infection in an Immunocompetent Child)

  • 오기원;김준성;김자형;박상규;정진영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1권1호
    • /
    • pp.75-79
    • /
    • 2008
  • 저자들은 복통과 반복적인 구토를 주소로 내원한 정상적인 면역기능을 가진 6세 소아에서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감염 후에 드문 합병증의 하나로 발생한 급성 췌장염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4개월 영아에서 발생한 대상포진 1예 (A case of herpes zoster in a 4-month-old infant)

  • 김지현;이정주;윤신원;채수안;임인석;이동근;최응상;유병훈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2호
    • /
    • pp.1368-1371
    • /
    • 2008
  • 영아에서의 대상포진은 매우 드문 질환이지만, 자궁 내에서 혹은 출생 후 수두 바이러스에 노출되어 발생할 수 있다. 태생기에는 바이러스에 대한 특이 면역글로불린 수치가 낮으며, 영아기에는 항원에 반응하는 림프구, 자연살해세포, 사이토카인이 적어 바이러스의 잠복기를 유지하기가 어려워, 이 때에 감염되는 경우 생후 1년 이내에 대상포진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수두에 이환 되었거나 수두 예방접종을 받았던 적이 없었던 생후 4개월 영아에서 대상포진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환아의 어머니 역시 임신 중 수두에 감염되었거나 노출된 병력이 없었으며 환아는 대상포진에 병발된 포도상구균 감염에 대하여 acyclovir와 1세대 세팔로스포린으로 치료를 받고, 합병증 없이 치료되었다.

한의 피부 재생 치료로 호전된 대상포진과 수두로 인한 위축성 흉터 치료 10례 (Korean Medicine Skin Regeneration Therapy for Atrophic Scars Caused by Herpes Zoster and Varicella: A Report of Ten Cases)

  • 김현성;박경원;이윤조;권민지;문성민;김은정;옥영길;이가현;안현준;홍철희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95-103
    • /
    • 2024
  •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incisional needle therapy, a type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atrophic scars caused by herpes zoster and varicella. Methods : The patients with atrophic scars resulting from herpes zoster and varicella were treated with incisional needle therap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was evaluated with Physician's Global Assessment (PGA) and The Stony Brook Scar Evaluation Score (SBSES). Results : After treatment, all patients demonstrated improvements in PGA and SBSES. The PGA score improved to 3.73±0.40, with SBSES changing from 1.60±0.60 to 4.80±0.80. Conclusions : We suggest that incisional needle therapy demonstrates effectiveness in treating scars resulting from herpes zoster and varicella, indicating its potential as a viable therapeutic option for individuals affected by these conditions.

47계대 Oka주 약독화 생백신 접종 후 2년간 임상 및 면역성의 추적 연구 (Tow-Year Follow-up Study for Clinical Feature and Immunity of The Children, Vaccinated by 47 Passaged Oka Strain Live Attenuated Varicella Vaccine)

  • 강진한;김종현;허재균;우구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7권1호
    • /
    • pp.129-135
    • /
    • 2000
  • 목 적 : 국내 건강한 소아에서 47계대 배양 Oka주 수두 약독화 생백신을 접종한 후 단기간 내의 면역원성과 안전성에 관한 연구를 시행한 다음 이들 접종아의 장기간에 걸친 접종효과와 면역성 유지에 관한 연구계획에 따라 일차적으로 접종 2년내에 수두 발생 여부와 발생시 임상적 특성을 확인하고 접종 2년 후 수두에 관한 면역상태의 평가와 잠복감염의 활성 여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4월에서 8월 사이 가톨릭의대 소아과에서 시행하였던 47계대 Oka주 수두 약독화 생백신의 단기간 면역원성과 안전성의 연구 대상아 99명을 본 연구의 지속적인 동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아를 2년간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수두의 발생여부를 확인하였다. 접종아중 수두에 이환 되었을 경우 발병기간, 발열을 포함한 피부병변의 정도, 합병증의 발생 여부, 치료투약의 여부 등을 파악하여 임상적 평가를 실시하고, 동시에 발생의 역학 상태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 기간 동안에 연구 대상아에서 잠복감염에 따른 대상포진의 발생을 동시에 관찰하였다. 또한 접종 2년후에 EIA와 FAMA의 면역학적 검사를 통하여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IgG 항체와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세포막 항원에 대한 항체를 측정하여 접종 2년 후의 면역상태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통하여 2년 전에 확인하였던 접종 1개월 후 면역상태와 비교하였다. 결 과 : 연구대상자 99명을 2년간 추적한 결과 6명에서 수두가 발생되었다. 이들은 3일에서 5일 정도의 짧은 임상 경과를 보였고 2례에서 발열이 있었고 전 예에서 발진의 정도는 수포의 수나 확산 정도가 매우 미약하였으며 합병증을 보인 경우는 없었다. 그리고 치료를 위한 투약을 받은 경우는 없었고 전 예에서 가족내 또는 집단 발생 후 발생되었다. 2년 후 항체검사가 가능하였던 46명에서 EIA에 의한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IgG 항체를 측정한 결과 1례를 제외한 전 예에서 양성을 보였으며 높은 항체가를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FAMA에 의한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세포막 항원에 대한 항체가는 전 예에서 양성을 보였다. 이들 추적 항체검사가 가능하였던 46명에서 접종 1개월 후 항체가와 2년 후 항체가를 비교한 결과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IgG 항체와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세포막 항원에 대한 항체는 모두 접종 2년 후에 높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전 예에서 연구기간 동안 대상포진의 발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47계대 배양 Oka주 수두 약독화 생백신 접종 후 2년간 추적한 결과 접종아에서 집단 발생과 더불어 소수에서 수두가 발생되었으나 그 정도는 매우 미약하여 임상적으로 큰 문제가 없고 접종 2년 후에도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상태는 잘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