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w-Year Follow-up Study for Clinical Feature and Immunity of The Children, Vaccinated by 47 Passaged Oka Strain Live Attenuated Varicella Vaccine

47계대 Oka주 약독화 생백신 접종 후 2년간 임상 및 면역성의 추적 연구

  • Kang, Jin Han (Department of Pediatric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im, Jong Hyun (Department of Pediatric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Hur, Jae Kyun (Department of Pediatric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Woo, Koo (R&D Center of Pharmaceuticals, Cheiljedang Corporation)
  • 강진한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종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허재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우구 (제일제당 제약연구소)
  • Published : 2000.05.31

Abstract

Purpose : We previously reported the short-term immunogenecity and safety of 47 passaged Oka strain live attenuated varicella vaccine in healthy children in 1997. Now, we conducted this two-year follow-up study to confirm the maintenance of immunity, the occurrence of natural varicella infection and the activation of vaccine induced latent infection on the same vaccine. Methods : 99 children who had been immunized by 47 passaged Oka strain live attenuated varicella vaccine in 1997 were followed up by questionnaire, and 46 children out of study group were followed up serologically. They were asked to report any instance of varicella or herpes zoster since they had been immunized. If there was any evidence of varicella or herpes zoster, they should be clinically or serologically confirmed by doctor. Also, those patients' parents were asked to report any instance of varicella or herpes zoster in their family, playmate, kindergarten, school, or other settings. The immunity to VZV was confirmed by EIA and FAMA test. Results : 6 recipients developed breakthrough varicella after exposure to VZV in family, kindergarten and school during follow-up period. However, clinical features of those patients were very mild and self limited without therapy. And none of the recipients developed herpes zoster during this observation period. The results of EIA test showed that study subjects were all seropositive except one, and the antibody titers and GMT of FAMA test were seropositively maintained in all subjects. Statistically, the antibody titers of EIA and FAMA test confirmed two years after vaccination were higher than those results confirmed one month after vaccination. Conclusion : Our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immunity of 47 passaged Oka strain live attenuated varicella is well maintained until 2 years later after vaccination, and mild natural infection after exposure to VZV can be occurred with low rate. There were not developing zoster in study vaccine after vaccination for two-years.

목 적 : 국내 건강한 소아에서 47계대 배양 Oka주 수두 약독화 생백신을 접종한 후 단기간 내의 면역원성과 안전성에 관한 연구를 시행한 다음 이들 접종아의 장기간에 걸친 접종효과와 면역성 유지에 관한 연구계획에 따라 일차적으로 접종 2년내에 수두 발생 여부와 발생시 임상적 특성을 확인하고 접종 2년 후 수두에 관한 면역상태의 평가와 잠복감염의 활성 여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4월에서 8월 사이 가톨릭의대 소아과에서 시행하였던 47계대 Oka주 수두 약독화 생백신의 단기간 면역원성과 안전성의 연구 대상아 99명을 본 연구의 지속적인 동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아를 2년간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수두의 발생여부를 확인하였다. 접종아중 수두에 이환 되었을 경우 발병기간, 발열을 포함한 피부병변의 정도, 합병증의 발생 여부, 치료투약의 여부 등을 파악하여 임상적 평가를 실시하고, 동시에 발생의 역학 상태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 기간 동안에 연구 대상아에서 잠복감염에 따른 대상포진의 발생을 동시에 관찰하였다. 또한 접종 2년후에 EIA와 FAMA의 면역학적 검사를 통하여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IgG 항체와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세포막 항원에 대한 항체를 측정하여 접종 2년 후의 면역상태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통하여 2년 전에 확인하였던 접종 1개월 후 면역상태와 비교하였다. 결 과 : 연구대상자 99명을 2년간 추적한 결과 6명에서 수두가 발생되었다. 이들은 3일에서 5일 정도의 짧은 임상 경과를 보였고 2례에서 발열이 있었고 전 예에서 발진의 정도는 수포의 수나 확산 정도가 매우 미약하였으며 합병증을 보인 경우는 없었다. 그리고 치료를 위한 투약을 받은 경우는 없었고 전 예에서 가족내 또는 집단 발생 후 발생되었다. 2년 후 항체검사가 가능하였던 46명에서 EIA에 의한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IgG 항체를 측정한 결과 1례를 제외한 전 예에서 양성을 보였으며 높은 항체가를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FAMA에 의한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세포막 항원에 대한 항체가는 전 예에서 양성을 보였다. 이들 추적 항체검사가 가능하였던 46명에서 접종 1개월 후 항체가와 2년 후 항체가를 비교한 결과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IgG 항체와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세포막 항원에 대한 항체는 모두 접종 2년 후에 높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전 예에서 연구기간 동안 대상포진의 발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47계대 배양 Oka주 수두 약독화 생백신 접종 후 2년간 추적한 결과 접종아에서 집단 발생과 더불어 소수에서 수두가 발생되었으나 그 정도는 매우 미약하여 임상적으로 큰 문제가 없고 접종 2년 후에도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상태는 잘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