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lue congruence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8초

자녀에 대한 가치관 - 어머니와 딸 두세대간의 비교연구 - (Value of Children -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 Daughters -)

  • 박성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89-197
    • /
    • 1986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ature and relationship of attitudes of mothers and their daughters concerning the value of children. the secondary interest was to compare this study with the American studies done by Bormann & Stockdale(1979), and Leavy & Hough(1983). Subjects for the study were college-age daughters their married sisters, and their mothers. The“Fawcett Opinions about Children Questionnair”was used to measure beliefs about children.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s were computed for mother-daughter(married), mother-daughter(unmarried), and daughter(married)-daughter (unmarried) on each of nine subscales on value of children. To study the generation differences and marriage differences, matched sample t-test were carried. Several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for mother-daughter (married), daughter(married)-daughter (unmarried) pairs. Only one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for mother-daughter(unmarried) pai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mother's group and daughters' groups on most subscales except one or two (generation effec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married daughters and unmarried daughters on 4 subscales(marriage effect). The results did not corroborate the findings of American studies which revealed the lack of congruence between mother and daughter attitudes. It was noted that as daughters had children themselves, their attitudes toward children had become more congruent with their mothers. There was also evidence to support the generation differences between mothers and daughters values. It was concluded that both value similarity and generation differences vary as a function of the particular events as well as age-itself.

  • PDF

The Impact of Innovation Capability of Firms on Competitive Advantage: An Empirical Study of the ICT Industry in Thailand

  • ANUNTARUMPORN, Nuttanai;SORHSARUHT, Puris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2호
    • /
    • pp.121-131
    • /
    • 2022
  • The goal of the study was to see how quality management (QMA), strategy (STR), and innovative capability (INC) influence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a Thai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firm (COA). The researchers collected 431 surveys from Thailand's owners and managers employed in ICT enterprises from the beginning of June 2021 to the end of September 2021using diverse sample strategies. A questionnaire with an index of item-objective congruence (IOC) value of 0.60-1.00 and a reliability value of 0.92-0.96 was used as the research tool. Participants in the survey were requested to fill out a seven-level opinion survey posted on Google Form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path analysis using LISREL 9.1 was used for the four latent variables, 31 manifest variables, and the five hypotheses testing. The analysis showed that all three causal variables positively affected COA, which had a total effect (TE) R2 value = 80% when combined with the other latent variables. Moreover, the values for the latent variables when ranked by total effect (TE) were STR, QMA, and INC with TE values of 0.95, 0.89, and 0.25, respectively. Finally, there were very strong influences from COA to STR (0.95), INC to QMA (0.86), and STR to QMA (0.71).

브랜드 라이센싱이 소비자지각에 미치는 연구 - 상품유형과의 적합성이 지각된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Brand License Effects on Consumer's Preception - Focus on Perceived Risk and Congruence between Product and Brand type -)

  • 김상조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2호
    • /
    • pp.79-95
    • /
    • 2015
  • 본 연구는 브랜드 라이센싱이 소비자의 브랜드인지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소비자 입장에서 브랜드는 상품에 관한 제한된 정보를 보충해주는 강력한 정보 원천이다. 브랜드확장전략은 강력한 브랜드를 가진 유명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전략적 대안이지만 브랜드파워가 약한 기업은 활용하기 힘든 전략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수의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브랜드 라이센싱에 관심을 갖고 라이센싱 및 상품유형과 브랜드 경험가치의 적합성이 소비자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상징재인 가방과 경험재인 크루즈상품을 런칭하려는 가상의 기업을 설정하고, 경험적 가치와 상징적 가치를 지닌 유명브랜드를 라이센싱하는 상황을 가정하는 유사실험을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소비자의 위험지각은 브랜드 태도에 음(-)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품유형과 라이센싱된 브랜드의 적합성은 상징재보다 경험재에서 소비자의 위험지각을 더 많이 줄여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상징재의 브랜드라이센싱은 경제적위험과 기능적 위험지각을 축소해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브랜드 이미지와 광고모델의 일치성이 가격공정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 스포츠 광고를 중심으로 (Impact of a Brand Image Matching with the Advertising Model on Price Fairness Perceptions: Focus on Sports Advertising)

  • 황희중;신승호
    • 유통과학연구
    • /
    • 제10권3호
    • /
    • pp.43-50
    • /
    • 2012
  • 본 연구는 브랜드 이미지와 광고모델의 일치성이 브랜드 태도와 가격공정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선행 연구들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구성개념을 각각에 대하여 재정의 하였고, '유명인 광고모델의 이미지와 광고대상(브랜드)의 이미지가 얼마나 잘 조화되는가 (적절한가 또는 일치하는가)'와 같이 이미지들 간의 조화/적합/일치 정도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미지 일치성"을 정의하였다. 결과를 요약하자면 첫째, 브랜드 이미지와 스포츠 스타 광고모델의 일치성은 브랜드 태도의 확신성과 지속성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개인이 가지고 있는 브랜드에 대한 태도의 확신성과 지속성은 가격공정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브랜드 이미지와 스포츠 스타 광고모델의 일치성은 가격공정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첫째와 셋째 연구결과를 통해 브랜드 이미지와 광고모델의 일치성이 높은 광고가 가격공정성 지각에는 일시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지속적인 구매를 유발하는 브랜드 태도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소비자의 브랜드에 대한 장기적인 신뢰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광고와 같은 프로모션 전략보다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 향상이 선행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브랜드이미지와 부적합한 광고모델이 등장하는 광고는 제품 가격 인상 등에 대한 소비자의 가격공정성 판단에 대해 일시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는 있으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소비자의 재구매 의도나 구전의도와 같은 태도 형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다. 둘째 연구결과를 통해 이미 형성된 긍정적인 브랜드 태도는 소비자의 가격공정성 지각을 더욱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공헌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가격공정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태도의 지속성이 태도의 확신성보다 영향력이 더 크다는 점에서, 소비자와 기업의 거래 기간, 거래 빈도 등의 지속성 이슈가 소비자의 신념이나 신뢰의 강도와 같은 확신성 이슈보다 더 중요한 요소로서 기업이 통제하고 관리해야 하는 사실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고가의 스포츠 용품의 경우 광고모델과 브랜드 이미지가 잘 어울리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소비자는 가격에 대해 부담감을 덜 느낀다. 그러나 이러한 점이 소비자의 반복적인 구매나 거래의 지속 여부를 결정하지는 않으며, 브랜드에 대한 신뢰에 대해서도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이러한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는 소비자 의사결정에서 결과적인 변수가 아니라, 원인변수로서 역할이 더 크기 때문에, 기업으로서는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최종 목표로 삼을 것이 아니라, 기업의 일상적인 전략으로서 인식하고 접근하여야 한다.

  • PDF

패밀리 레스토랑에서의 브랜드 증거가 감정, 브랜드 만족 및 고객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rand Evidence on Emotion, Brand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in Family Restaurants)

  • 전귀연;하동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06-218
    • /
    • 2009
  • The study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evidence (e.g., brand name, price/value for money, servicescape, core service, employee service and self-image congruence) and positive/negative emotion and brand satisfaction, and between positive/negative emotion and brand satisfaction in the family restaurant setting. Also, the relationship of positive/negative emotion and brand satisfaction with customer loyalty were assessed. Customers who used five brands of family restaurant in Daegu and Pusan during October of 2008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s. Brand evid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positive emotion and brand satisfaction, and was negatively related to negative emotion. Positive emo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brand satisfaction and negative emo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brand satisfaction. Brand satisfaction was positively relatively to customer loyalty. The results indicate that management of family restaurants should focus on brand evidence as a means of increasing profits and sales volume.

개인-조직 적합도의 확장모델수립 및 종업원 선발과 유지에의 전략적 활용 (A Study on the Modeling of Individual-Organization Fitness Theory and Its Strategic Application for Employee Selection and Retention)

  • 이광희;이욱기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3권58호
    • /
    • pp.119-128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determinants of person-organization(P-O) fit and its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s a result of empirical survey, value congruence, job choice decision and similar occupation are confirmed as factors that affect on P-O Fit. And the effect of P-O fi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as significant. This findings indicated that P-O fit model can be used for organization to improve employee performance.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trategic application of P-O fit model for employee selection and retention were also discussed.

  • PDF

실물옵션에 기반한 한·미국방예산 분담금 적정성 검정 (A Real Options Approach to Testing the Validity of Contribution to the Budget of the United States Forces Korea)

  • 정원열;채원영;최문섭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87-295
    • /
    • 2015
  • Due to the latest agreement between the military authorities of the Republic of Korea (ROK) and the United States (US) of America, Korea's annual contribution to the budget of the United States Forces Korea (USFK) rose as high as close to 1 trillion won. This seemingly prohibitive amount has led to the questioning of military critics regarding determination criteria, wholesomeness of cost, alignment of incentives, and implementational transparency, etc. As these sources of mistrust can potentially undermine the congruence of alliance, we attempt to devise a scientific means to test the validity of Korea's budget contribution. Specifically, we use the real options approach (ROA) to estimating the interval of the fair prices of maintaining the USFK. We consider the USFK as an insurance against foreign incursions, and this enables us to assume their role as a put option. Upon a hypothetical war breakout, the daily cumulative size of the Korean economy is estimated by implementing the simulated loss ratios of assets and population. As a result, the strategic value (put premium) of the USFK is exponentially higher the sooner the US forces are augmented following an intrusion. Also, Korea's payments toward the USFK in 2011 and 2012 appear theoretically fairly valued.

Multiple Parallel-Pollard's Rho Discrete Logarithm Algorithm

  • Lee, Sang-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29-33
    • /
    • 2015
  • This paper proposes a discrete logarithm algorithm that remarkably reduces the execution time of Pollard's Rho algorithm. Pollard's Rho algorithm computes congruence or collision of ${\alpha}^a{\beta}^b{\equiv}{\alpha}^A{\beta}^B$ (modp) from the initial value a = b = 0, only to derive ${\gamma}$ from $(a+b{\gamma})=(A+B{\gamma})$, ${\gamma}(B-b)=(a-A)$. The basic Pollard's Rho algorithm computes $x_i=(x_{i-1})^2,{\alpha}x_{i-1},{\beta}x_{i-1}$ given ${\alpha}^a{\beta}^b{\equiv}x$(modp), and the general algorithm computes $x_i=(x_{i-1})^2$, $Mx_{i-1}$, $Nx_{i-1}$ for randomly selected $M={\alpha}^m$, $N={\beta}^n$. This paper proposes 4-model Pollard Rho algorithm that seeks ${\beta}_{\gamma}={\alpha}^{\gamma},{\beta}_{\gamma}={\alpha}^{(p-1)/2+{\gamma}}$, and ${\beta}_{{\gamma}^{-1}}={\alpha}^{(p-1)-{\gamma}}$) from $m=n={\lceil}{\sqrt{n}{\rceil}$, (a,b) = (0,0), (1,1). The proposed algorithm has proven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0,0)-basic Pollard's Rho algorithm by 71.70%.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원의 도움행동과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치일치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Helping Behavior and Deviant Behavior - Focuse on the moderating effect of value congruence -)

  • 진재근;장석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8권2호
    • /
    • pp.183-208
    • /
    • 2019
  • 본 연구는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원들의 도움행동과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가치일치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효율적 경영관리를 위한 프로세스 도입 및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충남 지역의 사무관리, 영역/마케팅, 제조업 등에 근무하는 직원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 334부의 자료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는 SPSS 18.0을 이용 분석하였으며, 신뢰성 분석, 타당성을 위한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연구가설 검증을 위한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의 카리스마는 도움행동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변혁적 리더십의 지적자극과 개별적 배려는 도움행동에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의 카리스마는 일탈행동에 부의 영향을 나타낸 반면, 변혁적 리더십의 지적자극과 개별적 배려의 하위 구성요소는 일탈행동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가치일치정도에 대한 변혁적 리더십과 도움행동 간의 조절효과는 변혁적 리더십의 카리스마와 개별적 배려에 조절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변혁적 리더십과 일탈행동 간에 대하여는 개별적 배려에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구성원의 도움행동을 증가 시키고 일탈행동을 감소시키는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조직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관리자들의 변혁적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가치일치성의 조절효과에 대한 부분적 영향관계도 확인하였다. 또한, 카리스마의 부의 영향 관계는 경영관리 프로세스 설계에 유의점을 시사하고 있다.

생의 마지막 단계.삶의 완결.완화간호 모델 (The Last Phase of Life.Life Completion.Palliative Care Model)

  • 김달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2권3호
    • /
    • pp.115-121
    • /
    • 2009
  • 근래의 호스피스 완화 서비스에 대한 국가의 관심과 지원 정책은 매우 고무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스피스 완화 의료의 정착과 발전이라는 명목을 가지고 우리는 호스피스 완화간호와 관련된 우리 주위의 현실에 비판과 반영의 눈으로 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호스피스 철학에 부합되는 완화 간호 모델을 찾아내어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사람과 가족의 완화 간호에 적합한 모델인가를 심사하는 것은 목적으로 하였다. 소개되고 심사된 모델은 Eagan, Labyak의 호스피스 경험 모델과 Byock의 삶의 완결(life completion)을 위한 성장 모델이었다. 호스피스 경험 모델은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환자와 가족의 경험과 가치관에 근거한 임종 간호 모델로서 개개인의 경험의 독특성을 인정하며 환자 가족 개개인의 다 영역의 역동성과 상호작용적 관련성과 다 영역적 특성을 가진 개개인의 상호 관계성을 인정한다. 또한, 생의 마지막 단계에서도 다 영역적 상호 관계성은 긍정적인 성장과 발달을 만들 수 있음을 인정한다. 이 모델은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개인과 가족의 개개인 요구에 부합된 삶의 질 개선, 고통 제거, 삶의 완결, 좋은 죽음을 이끄는 완화 간호를 이끌 수 있다고 평가되었다. Byock의 성장 모델은 임종의 시기를 마지막 삶의 발달 단계로 보았다. 이 모델은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개인과 가족을 삶의 완결의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존재로 보았다. 모델은 세속적인 일/사회적인 일/개인적인 관계들/개인 내재적인 영역/초월적 영역들의 세부 항목으로 이루어진 이정표와 발달 과업을 포함한다. 이 모델에서는 전문 의료인이 이정표 및 과업을 이용하여 성장의 주체의 변화를 얼마나 잘 파악하여 내고 도와주는 가가 환자 및 가족의 성장의 열쇠가 되며 한 인간이 인간 실존 안에서 삶을 마칠 수 있게 만드는 결과를 낼 수 있다.그 결과 개인은 평화와 안녕 속에서 삶을 마감할 수 있다. 이 두 모델은 호스피스 철학에 부합되는 완화 간호의 모델로 고려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