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ast Phase of Life.Life Completion.Palliative Care Model

생의 마지막 단계.삶의 완결.완화간호 모델

  • Kim, Dal-Sook (School of Nurs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9.09.01

Abstract

Despite a recent increased nation's attention given to improving end-life care, we professionals need to be more critical and reflective on our realities surrounding hospice palliative car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at palliative care models can be used for patients/families in the last phase of life and examine whether they are appropriate for caring them in congruence with philosophy of hospice. The hospice experience model (HEM) of Eagan & Labyak and the developmental model of Byock are introduced and examined for their congruence with philosophy of hospice in applying to clinical practice. The HEM as a patient/family value-directed end of life care model emphasizes three principles; unique experience of patient/family, interactions/relationships among multiple dimensions of personhood and between family, and personal growth and development in the face of suffering through a life-completion. The developmental model stipulates dying as the last stage of living, a stage of life cycle in which patients/family may have growth through life-completion in multidimensional relationships of personhood. The model includes the developmental landmarks and tasks for life-completion as the framework to guide a means of professionals' to recognize their opportunity to grow. The landmarks and tasks include worldly and social affair, individual relationships, intrapersonal, and transcendent dimension. The models could work as appropriate palliative care models for patients/families in the last stage of living. The professionals need to be encouraged to apply the models to end of life care setting.

근래의 호스피스 완화 서비스에 대한 국가의 관심과 지원 정책은 매우 고무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스피스 완화 의료의 정착과 발전이라는 명목을 가지고 우리는 호스피스 완화간호와 관련된 우리 주위의 현실에 비판과 반영의 눈으로 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호스피스 철학에 부합되는 완화 간호 모델을 찾아내어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사람과 가족의 완화 간호에 적합한 모델인가를 심사하는 것은 목적으로 하였다. 소개되고 심사된 모델은 Eagan, Labyak의 호스피스 경험 모델과 Byock의 삶의 완결(life completion)을 위한 성장 모델이었다. 호스피스 경험 모델은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환자와 가족의 경험과 가치관에 근거한 임종 간호 모델로서 개개인의 경험의 독특성을 인정하며 환자 가족 개개인의 다 영역의 역동성과 상호작용적 관련성과 다 영역적 특성을 가진 개개인의 상호 관계성을 인정한다. 또한, 생의 마지막 단계에서도 다 영역적 상호 관계성은 긍정적인 성장과 발달을 만들 수 있음을 인정한다. 이 모델은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개인과 가족의 개개인 요구에 부합된 삶의 질 개선, 고통 제거, 삶의 완결, 좋은 죽음을 이끄는 완화 간호를 이끌 수 있다고 평가되었다. Byock의 성장 모델은 임종의 시기를 마지막 삶의 발달 단계로 보았다. 이 모델은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개인과 가족을 삶의 완결의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존재로 보았다. 모델은 세속적인 일/사회적인 일/개인적인 관계들/개인 내재적인 영역/초월적 영역들의 세부 항목으로 이루어진 이정표와 발달 과업을 포함한다. 이 모델에서는 전문 의료인이 이정표 및 과업을 이용하여 성장의 주체의 변화를 얼마나 잘 파악하여 내고 도와주는 가가 환자 및 가족의 성장의 열쇠가 되며 한 인간이 인간 실존 안에서 삶을 마칠 수 있게 만드는 결과를 낼 수 있다.그 결과 개인은 평화와 안녕 속에서 삶을 마감할 수 있다. 이 두 모델은 호스피스 철학에 부합되는 완화 간호의 모델로 고려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DeSpelder LA, Strickland AL. The last dance: Encountering death and dying. 7th ed. Boston:McGraw Hill;2005.
  2. Kim SJ. Death orientations of Korean elderly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 1994. Korean.
  3. Sillada DC. Death as the completion of human existence [Internet]: 2008. November 2. Available from: http://dcsillada.multiply. com/journal/item/138.
  4. Byock IR. The nature of suffering and of opportunity at the end of life. Clin Geriatr Med 1996;12(2):237-51.
  5. Byock I. Dying well: Peace and possibilities at the end of life. New York:Riverhead Books;1997.
  6. Hospice palliative service support project [Internet]. Korea; NationalCancer Information Center: 2009. July 25. Available from http://www.cancer.go.kr/cms/public_project/hospice/index.html.
  7. Kim SH, Choi YS, Sin SW, Chong MK, Lee SN, Lee SW, et al.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physicians based on the 2004 hospice palliative model project for terminal cancer.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6;9(2):67-76.
  8. Choi ES, Yoo YS, Kim HS, Lee SW. Curriculum development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nurse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6;9(2):77-85.
  9. Egan KA, Labyak MJ. Hospice palliative care: A model for quality end-of-life care. In: Ferrell BR, Coyle N, eds. Textbook of palliative nursing. 2nd ed.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 2006. p. 13-46.
  10. Preamble and Philosophy: Preamble to NHPCO Standards of Practice & Hospice Philosophy Statement [Internet]. (originally from NHPCO's Hospice Standards of Practice for Hospice Program(2000) (cited 2009 Aug 23). Available from: http://www.nhpco.org/i1a/pages/index.cfm?pageid=5308&openpage=5308.
  11. Cassell EJ. The nature of suffering and the goals of medicine. 2nd ed.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2004.
  12. Gourdji I, McVey L, Purden M. A Quality end of life from a palliative care patient's perspective. J Palliat Care 2009:25(1): 40-50.
  13. Steinhauser KE, Christakis NA. In search of a good death: Observations of patients, families and providers. Ann Intern Med 2000; 132(10):825-32. https://doi.org/10.7326/0003-4819-132-10-200005160-00011
  14. McKechnie R, MacLeod R, Keeling S. Facing uncertainty: The lived experience of palliative care. Palliat Support Care 2007;5: 25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