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ZV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3초

Current scenario and future applicability of antivirals against herpes zoster

  • Sang Hun Kim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6권1호
    • /
    • pp.4-10
    • /
    • 2023
  • Herpes zoster (HZ) is a common disease in the aging population and immunocompromised individuals, with a lifetime risk of 20%-30% that increases with age. HZ is caused by reactivation of the varicella-zoster virus (VZV), which remains latent in the spinal dorsal root ganglia and cranial sensory ganglia after resolution of the primary VZV infection. The main focus of HZ management is rapid recovery from VZV infection as well as the reduction and prevention of zoster-associated pain (ZAP) and postherpetic neuralgia (PHN). The use of antivirals against VZV is essential in the treatment of HZ. However, limited antivirals are only licensed clinically for the treatment of HZ, including acyclovir, valacyclovir, famciclovir, brivudine, and amenamevir. Fortunately, some new antivirals against different types of Herpesviridae have been investigated and suggested as novel drugs against VZV. Therefore, this review focuses on discussing the difference in efficacy and safety in the currently licensed antivirals for the treatment of HZ, the applicability of future novel antivirals against VZV, and the preventive or therapeutic effects of these antivirals on ZAP or PHN.

수두 바이러스 증식에 미치는 혈청의 영향 (Effect of Serum on Varicella-Zoster Virus Propagation)

  • 전복환;우규진
    • KSBB Journal
    • /
    • 제9권3호
    • /
    • pp.272-278
    • /
    • 1994
  • 약독화된 수두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를 샤람 폐세포(human embryonic lung c cells)에서 배양하였으며, 수두 바이러스의 생산에 미치는 혈청의 종류와 농도의 효과를 조샤하였다. 수두 바이러스는 바이러스 감염 비율이 높을수록 높 은 역가를 보였으며,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바 이러스 감염된 세포의 파괴로 인하여 세포수가 감소 되었다 .. Newborn calf serum(NCS), calf serum (CS), horse serum(HS) 등의 혈청을 샤용한 배양에서의 수두 바이러스의 역가는 CSis와 FBS를 사 용한 배양에서보다 낮아서 수두 바이러스 생산을 증 가하기 위해 이들 혈청의 사용은 적합하지 못하였 다. 그러나, calf serum iron supplemented(CSis) 혈청을 첨가한 배지에서의 세포 친화 바이러스(cell­a associated virus)와 세포 유리 바이러스( cell-free v virus)수율은 fetal bovine serum(FBS)을 첨가한 배지에서의 수율과 비슷하였으며, 고농도의 혈청사 용은 고려되어져야 할 요소이었다. 또한, 수두 바이 러스의 증식 벚 감염력 유지가 혈청성분과 농도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였다.

  • PDF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노출된 소아 환자의 예방 조치 (Post-exposure Prophylaxis against Varicella Zoster Virus in Hospitalized Children after Inadvertent Exposure)

  • 양송이;임지희;김은진;박지영;윤기욱;이환종;최은화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3권3호
    • /
    • pp.180-187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병원 내에서 의도치 않게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 zoster virus [VZV]) 감염 환자에 노출된 의료진과 소아 입원 환자의 사례를 대상으로 노출 후 예방 조치와 그에 따른 2차 수두 감염 발생 여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 입원한 수두 혹은 대상포진 환자중 초기에 적절한 격리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사례와 노출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노출자의 VZV에 대한 면역력과 면역 저하 상태의 유무에 따라 노출 후 예방 조치를 시행하였다. 의무기록을 통하여 사례 환자와 노출자들의 임상 정보 및 2차 감염 발생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2010년부터 2015년까지 147명의 VZV 감염 환자가 입원하였고 이 중 의도치 않게 노출되었던 환자는 13명이었다. 이 중 5명(38.5%)의 사례 환자는 수두 백신 접종력이 확인되었다. 총 86명의 환자가 다인용 병실에서 사례 환자에 노출되었고, 62.8% (54/86)에서 VZV에 대한 면역력이 있었다. 27명의 노출 환자에게 노출 후 예방 조치를 시행하였으며, VZIG를 투약받은 환자는 23명이었고 수두 백신을 접종받은 환자는 4명이었다. 2차 수두가 발병한 환자는 4명으로, 예방 조치를 받지 않은 소아 1명과 예방 조치를 받은 27명 중 3명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다. 이들은 모두 한 명의 사례 환자에게 노출되었다. 2차 수두 감염률은 4.7% (4/85)이었고, 노출 후 예방 조치를 받은 환자 중 2차 감염률은 11.1% (3/27)이었다. 면역 기능이 정상인 환자에서 2차 수두 감염률은 1.9%, 면역 저하 환자에서는 9.7%이었다. 결론: 수두의 진단이 지연되면 병원에서 VZV에 노출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감수성이 있는 소아나 면역 저하자에게 수두가 2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VZV에 대한 면역력 여부를 기반으로 노출 후 예방 조치 여부를 결정하는 국내 기준의 적정성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대상포진에 의한 무균성 수막염 1예 (A case of acute aseptic meningitis associated with herpes zoster)

  • 김명아;유리타;김기혁;정희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6호
    • /
    • pp.705-709
    • /
    • 2009
  • 대상포진은 흔한 질환으로 여러 가지 합병증을 동반 할 수 있으나 대상포진에 동반되어 수막염이 생긴 경우는 보고는 많지 않다. 저자들은 15개월에 수두 예방접종을 시행 받았고, 5세 때 수두를 앓은 과거력이 있던 건강한 14세 남자 환아에서 대상포진에 동반되어 급성 무균성 수막염이 발생한 증례에서 뇌척수액에서 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해 VZV DNA를 검출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한 Varicella-Zoster Virus DNA 검출로 확인된 대상포진 수막염 -증례 보고- (Herpes Zoster Meningitis Confirmed by Detection of Varicella-Zoster Virus DNA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A case report-)

  • 허후만;최유선;박성규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8권2호
    • /
    • pp.210-213
    • /
    • 2005
  • Acute viral meningitis and myositis are rare complications of varicella-zoster virus (VZV) reactivation. A 71-years-old immunocompetent man, who presented with lower back pain radiating to the left lower extremities, developed vesicles on the L5 dermatomal area. The next day, he had complained of aberrant vesicles on the trunk, face and scalp, with generalized myalgia, headache and dizziness. He was confirmed with VZV meningitis and myositis, as demonstrated by the presence of VZV DNA in the blood and cerebral spinal fluid us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mplification. PCR has been used in patients with a VZV infection associated neurological symptoms, and provides a useful tool for the early diagnosis of VZV-associated neurological disease.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bed rest, with intravenous acyclovir for the VZV infection, and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for pain management and the prevention of postherpetic neuralgia. When he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3 months later, the skin lesion, leg pain, headache and myalgia had all improved, without sequelae. Here, this case is reported, with a discussion of the relevant literature on its diagnosis and management.

다발성 하부뇌신경을 침범한 대상포진 감염 치험 1례 (A Case of Varicella-Zoster virus infection with multiple cranial nerve involvement)

  • 신정은;유증주;김상윤;남순열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22-230
    • /
    • 1999
  • Varicella-zoster virus(VZV) becomes latent in the sensory ganglia after primary infection and emerges from latency to cause zoster in adults. After primary infection, VZV remains latent in the dorsal spinal ganglia. The mechanisms responsible for its reactivation and the clinical entity of herpes zoster are poorly understood. Reactivation of VZV is commonly known to manifest as Ramsay Hunt syndrome which is one of the VZV-associated neurologic diseases with facial paralysis, ear pain, and a characteristic herpetic auricular rash. It is now known that lesions of this syndrome can affect all cranial nerves. Central, cervical and peripheral effects of this syndrome is polyneuropathic in nature. VZV usually involves the 5th and 7th cranial nerves and less commonly the lower cranial nerves such as 9th and 10th. We report a treated case of healthy 40 years old male with VZV infection of the 5th, 9th and 10th cranial nerves. The patient typically showed herpetic vesicles in the auricle and temporal bone area without facial paralysis.

  • PDF

무균성 뇌막염과 뇌염으로 입원한 성인 환자 뇌척수액에서 중합효소 연쇄반응에 의한 HSV, VZV, HHV-6의 검출 (Detection of Herpes Simplex Virus, Varicella-Zoster Virus and Human Herpes Virus-6 by PCR in Cerebrospinal Fluid from Hospitalized Adult Patients with Aseptic Meningitis or Encephalitis)

  • 박혜경;우소연;김현진;정영해
    • 대한바이러스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71-178
    • /
    • 2000
  • Herpes simplex virus, Varicella zoster virus and Human herpes virus-6 caused central nervous system infections and latent infections but there is no data of the 3 viruses being tested from the same cerebrospinal fluid samples with aseptic meningitis or encephalitis in adults patients. These viruses produced similar neurologic symptoms but difficulties existed in differentiating of etiologic agents and therefore the viruses needed to be detected in the early state. Herpes simplex virus encephalitis (HSVE) in adults, if not treated promptly was fatal. If treated with antiviral drugs in the early phase of encephalitis, neurologic sequales decreased by 65%. Recently, a PCR method for detection of HSVE with CSF was developed. VZV primary and secondary infections caused neurologic symptoms of encephalitis or meningitis. The second frequency of adult encephalitis that caused VZV were reported. HHV-6 caused CNS latent infection that was studied with normal adults brains. But there is no data of HSV, VZV and HHV-6 for aseptic meningitis and encephalitis of Korean adults through etiologic study. We cultured CSFs on HEp-2 cells and simultaneously tested for HSV PCR, VZV nested PCR and HHV-6 PCR with 8 specific primers. The PCR results of CSF from meningitis Korean adults were 13/19 (68.4%) for HSV, 10/19 (52.6%) for VZV and 12/19 (63.2%) for HHV-67/19 (36.8%) cases were triple infected HSV PCR, VZV PCR and HHV-6 PCR positive; 3/19 (15.8%) cases were dual infected HSV PCR and HHV-6 PCR positive; 1119 (0.5%) cases was VZV PCR positive. Strong viral DNA amplification of CSF means a causative virus may be present in aseptic meningitis or encephalitis patients and may cause clinical neurologic symptoms. HSV and HHV-6 viruses detection rate were higher than VZV by PCR with CSFs.

  • PDF

Anti-Varicella Zoster Virus Activity of Water Soluble Substance from Elfvingia applanata Alone and in Combinations with Acyclovir and Vidarabine

  • Kim, Soo-Dong;Eo, Seong-Kug;Kim, Young-So;Han, Seong-S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5권2호
    • /
    • pp.107-111
    • /
    • 1999
  • To investigate less toxic antiviral agents from Basidiomycetes, EA, the water soluble substance, was isolated from the carpophores of Elfvingia applanata (pers.) Karst. Anti-varicella zoster virus (Oka strain; anti-VZV/Oka) activity of EA was examined in MRC-5 cells by plaque reduction assay in vitro. And the combined antiviral effects of EA with nucleoside anti-VZV agents, acyclovir and vidarabine, were examined on the multiplication of VZV/Oka. EA exhibited a concentration-dependent reduction in the plaque formation of VZV/Oka with a 50% effective concentration $(EC_{50})$ of $464.14\;{\mu}g/ml$. The results of combination assay were evaluated by the combination index (CI) that was calculated by the multiple drug effect analysis. The combination of EA with acyclovir showed more potent synergism with CI values of $0.18{\sim}0.62$ for $50{\sim}90%$ effective levels than that of EA with vidarabine with CI values of $0.67{\sim}1.04$.

  • PDF

Measurement of Antibodies to Varicella-Zoster Virus Using a Virus-Free Fluorescent-Antibody-to-Membrane-Antigen (FAMA) Test

  • Park, Rackhyun;Hwang, Ji Young;Lee, Kang Il;Namkoong, Sim;Choi, Seuk-Keun;Park, Songyong;Park, Hosun;Park, Jun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2호
    • /
    • pp.268-273
    • /
    • 2015
  • The fluorescent-antibody-to-membrane-antigen (FAMA) test is regarded as the "gold standard" to detect protective antibodies to varicella-zoster virus (VZV) because of its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Because the classic FAMA test uses an infectious virus for detection of antibodies to VZV, it is labor-intensive, and also requires special equipment for handling the virus. For this reason, we attempted to develop a simple and safe FAMA assay. Because VZV glycoprotein E (gE) is one of the major VZV glycoproteins, we used the gE protein for the FAMA test (gE FAMA). Here, we demonstrate that overexpression of gE in HEK293T cells can be used to measure antibodies in human serum, and that gE FAMA titers are closely correlated with gpEIA ELISA dat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ur gE FAMA test has the potential to measure antibodies to VZV.

가족 내 수두 환자와 접촉 후 경구 Acyclovir의 예방효과 (Post-Exposure Prophylaxis of Varicella in Family Contact by Oral Acyclovir)

  • 김상희;김종현;오진희;허재균;강진한;고대균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9권1호
    • /
    • pp.61-66
    • /
    • 2002
  • 목 적 : 수두는 Varicella zoster virus(VZV)의 일차 감염에 의한 전염병으로, 전염률이 80~90%에 이르는데 예방법은 접촉 후 72시간 이내에 zoster immune globulin(ZIG)이나 백신을 투여하는 것이나 전염시기가 발진이 발생하기 24~48시간 전부터이므로 효과적인 예방이 매우 어렵다. 본 연구는 가족 내 수두 환자와 접촉한 지 72시간 이상 경과된 경우의 예방법으로 보다 실질적이라 생각되는 ACV 투여가 수두 예방에 과연 효과적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 법 : 1996년 3월부터 1997년 7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소아과 외래에서 수두로 진단받았으나 수두의 병력이 없으면서 백신을 접종 받지 않았던 소아를 대상으로 가족 내의 환자 발생 9일째부터 치료군은 Acyclovir 40 mg/kg/일 4회 분복으로 5일간 투여하였고 대조군은 아무런 약제도 투여하지 않았다. 임상적인 진단은 전형적인 발진의 발생으로 하여 관찰되는 발진의 숫자를 발진이 없는 경우부터 6단계로 구분하였다. 혈청학적 진단기준은 VZV IgM이 양성이거나, VZV IgG가 양전된 경우로 하여 치료군에 한하여 약제 투여가 끝난 1주일과 4주일이 경과된 시점에 VZV에 대한 항체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치료군 20명 중 검체 채취가 완전하고 과거의 불현성 감염으로 판단되는 3명을 제외한 총 12명만을 대조군 20명과 비교하였다. 감염원, 치료군 및 대조군의 평균 연령은 각각 51.4개월, 28.5개월 및 31개월로 감염원이 치료군 및 대조군의 연령에 비하여 의미있게 높았다(P<0.05). 혈청학적 진단으로 VZV 감염이 증명된 경우는 치료군 12명 중 9명(75%)으로 ACV 투여 후의 첫번째 및 두번째 검체에서 IgM이 양성인 경우는 각각 6명과 3명이었다. 이 중 두번째 검체에서 양전된 경우가 2명이었다. 따라서 VZV IgM으로 감염이 증명된 경우가 8명이었고 첫번째에선 IgM, IgG 모두 음성이었으나 두번째 검체에서 IgG가 양성으로 전환되어 증명된 경우가 1명이었다. 치료군 12명 중 발열은 모두 없었으며 3명(25%) 에서만 2단계의 경한 발진을 보였으나 대조군 20명 중 발열은 15명(75%), 3단계 이상의 발진이 17명(85%)으로 치료군과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대조군 20명에서는 모두 수포가 관찰되었으나 치료군에서는 3명만 발진이 관찰되었고 그 중 수포가 발생한 경우는 1명뿐이었다. 결 론 : ACV 치료군에서는 피부 발진의 빈도 및 세기가 낮아 수두의 임상 증상이 나타나기 7일 전에 ACV를 가족 내 접촉자에게 투여했을 때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약제의 투여 시기는 바이러스혈증이 존재하는 발진의 발생 5일 전부터 1일 후까지로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노출 9일째부터 ACV를 투여한 군에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약제 투여 후의 임상적 효과와 VZV에 대한 영구적 면역 획득 여부에 대해선 아직 잘 밝혀지지 않은 상태로 VZV 감염의 예방요법으로서 ACV의 일반적 적용을 위해서는 다방면의 연구가 지속되어져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