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RIO framework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7초

기술자원의 전략적 자원속성과 경쟁우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기술중소기업의 기술평가자료를 이용한 VRIO Framework의 실증분석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trategic Attributes of Technological Resources and Competitive Advantage: Empirical Analysis of VRIO Framework by Using Technology Evaluation Results of Technology Based SMEs)

  • 송주영;성형석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16-443
    • /
    • 2015
  • 본 연구는 자원기반관점에 있어 경쟁우위의 원천이 산업의 구조적 특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기업이 보유한 자원의 전략적 성격에 따른다는 점에 착안하고 있다. 따라서 자원기반관점에서는 특정한 자원을 보유, 개발, 유지하고자 하는 의사결정이 전략의 중심에 자리 잡게 되며, 어떠한 자원이 전략적 자원인가를 선별해내는 것이 기업의 전략경영체계에서 가장 핵심적이며, 그 출발점이 되는 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전략적 자원의 속성을 정의하고 이를 판별하려는 시도는 자원기반관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 이슈 중의 하나로, 특히 Barney가 제시한 VRIO Framework는 전략적 자원을 판별하기 위한 도구로 실무적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VRIO Framework는 이를 구성하고 있는 핵심요소(가치, 희소성, 모방난이도, 조직)의 개념이 지나치게 포괄적으로 설명되고 있으며, 계량화가 어려운 문제점 때문에 Framework의 유효성 검증과 관련한 실증연구가 충분히 이루어 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2,252개 국내 기술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제 기술평가사례 및 재무자료를 이용해 기술자원의 전략적 자원속성과 경쟁우위의 관계를 바탕으로 VRIO Framework의 유효성을 구조방정식에 의한 모델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았다. 그 결과 VRIO Framework에서 제시한 전략적 자원속성(가치, 희소성, 모방난이도)은 경쟁우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조직역량은 경쟁우위에 다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 Study on 7-Eleven's Core Competencies: Focusing on the VRIO Model

  • LEE, Kwang-K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67-74
    • /
    • 2022
  • In this study, the core competencies of 7-Eleven, Japan's representative convenience store, were derived through a qualitative analysis method using VRIO (value, rarity, Imitability, and organization) framework, a management strategy model based on Resource-Based View (RBV). As a result of VRIO analysis, the value can be based on the scale that 7-Eleven ranks first in the Japanese convenience store industry in terms of the number of stores and market share that it has developed based on capital. The rarity is based on the fact that raw material procurement, the main activity of a company, is establishing the nation's largest distribution channel in the entire process, from producers to logisticians and franchisees. The difficulty for Imitability is based on a dominant strategy and has secured a competitive advantage by opening stores in a specific area, improving awareness, and raising barriers to entry. As the largest company in the convenience store industry, it is confirmed that 7-Eleven is the result of organizational power that has built stores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16 countries around the world.

VRIO 모델 기반의 기업역량평가 프레임워크 제시에 관한 연구 - 플랜트 사업을 중심으로 - (VRIO Model Based Enterprise Capability Assessment Framework for Plant Project)

  • 민병수;민장희;장우식;한승헌;강신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61-70
    • /
    • 2016
  • 건설사들은 국내 건설 경기 침체에 따라 해외 사업을 물색하고 건축, 토목, 플랜트 등 다양한 사업을 수주하여 진행해오고 있다. 해외 건설 공종 중 플랜트 공종은 지난 10년간(2005년~2014년) 전체 수주금액 중 평균 68.9%를 차지하며 국내 건설기업의 주력 공종으로 자리잡고 있다(해외건설협회). 그러나 플랜트 사업은 저가수주로 인해 최근 10년간 해외플랜트 수주 상승세와는 다르게 수익률은 저하되고 있으며 최근 미 금리 인상과 유가하락 장기화로 인해 플랜트 사업의 발주량은 더욱 저하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향후 플랜트 사업 수주 경쟁은 더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기업이 지속적인 경쟁우위에 서기 위해서는 먼저 현재 국내 기업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여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의 플랜트 사업 수행 내부역량을 분석하기 위해 자원기반이론을 바탕으로한 VRIO모델을 기반으로 사업 내부역량 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사업 내부역량 평가 프레임워크는, 문헌고찰을 통해 사업 수행단계 별(사업기획 및 계획, 설계, 구매조달, 시공) 지표를 도출하고 각 지표를 자원기반이론을 바탕으로 한 VRIO모델을 기준으로 전문가의 설문을 통해 우선순위 및 경쟁력수준을 도출하는 절차로 개발되었다.

국내 OTT 시장에서 '티빙' 경영자원의 경쟁력 분석: 자원준거이론(RBT) 및 VRIO 분석 모형을 기반으로 (A Competitiveness Analysis on Business Resources of 'TVING' in Korean OTT Market: Focusing on Resource-based Theory and VRIO Framework)

  • 유진희;홍일한;김치호
    • 지식경영연구
    • /
    • 제24권1호
    • /
    • pp.147-172
    • /
    • 2023
  • 본 연구는 OTT 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지는 국내시장에서 토종 사업자인 '티빙(TVING)'의 경쟁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자원준거이론에 따라 티빙의 핵심 경영자원들을 살펴보고, VRIO 분석 모형에 따라 이러한 자원들의 경쟁력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티빙의 유형 자원은 기술(추천, 압축), 콘텐츠(오리지널, 독점, 차별적 비독점), 제작 스튜디오, 유료가입자수로 분류되었다. 무형자원은 기획력(IP 개발·활용), 콘텐츠 유통채널(국내, 글로벌), 마케팅(프로모션·홍보, 세일즈), 브랜드로 파악되었고, 인적 자원은 IP 전문성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VRIO 분석틀에 적용했을 때, 차별적 비독점 콘텐츠와 제작 스튜디오, 국내 유통채널은 '지속적 경쟁우위'를 발생시키는 티빙의 강력한 경영자원이었으며, 기술 자원과 오리지널 콘텐츠, 콘텐츠 기획력 및 IT 전문성은 '일시적으로 경쟁우위'를 갖는 자원으로 확인되었다. 독점 콘텐츠와 유료가입자수, 글로벌 유통 채널, 프로모션·홍보 부분은 '경쟁등위' 자원이었으며, 세일즈 분야는 통신사 제휴와 합병을 통해 잠재고객을 확보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조직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비활용 경쟁우위' 자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경영전략 관점에서 국내 OTT 사업자의 개별 자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경쟁력 강화 방안을 제안하는 초기 연구로서 의의를 지닌다.

동화약품 장수기업 전략 : VRIO Framework중심으로 (Donghwa Pharmaceutical Longevity Company Strategy: Focusing on VRIO Framework)

  • 이선영;박현준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133-151
    • /
    • 2024
  • 본 연구는 126년간 제약업을 이어온 동화약품의 핵심가치를 분석하고 꾸준히 경쟁우위를 가질 수 있었던 핵심역량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VRIO Framework을 적용했을 때 126년간 액상형 소화제 시장에서 1위를 지키고 있는 동화약품의 '활명수'를 비롯한 다양한 일반의약품은 '지속적 경쟁우위'를 발생시키는 강력한 자원(Value)이다. 동화정신을 바탕으로 지켜온 원칙경영과 오랜 시간 굳건히 지켜온 믿음, 신뢰 그리고 기업가 정신은 희소성(Rarity)을 가진다. 기네스북 4관왕을 비롯한 다수의 신약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한국산업 브랜드파워' 소화제 부문 19년 연속 1위를 차지하며 '골든 브랜드'에 선정되었을 뿐 아니라 다수의 제품이 소비자에게 인지도가 매우 높은 점 등은 모방불가능성(Imitability)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명확한 직급체계, 공정한 인사고가, 다양한 교육훈련, 높은 수준의 직원복지와 연봉 등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조직(Organization)되어 있다. 본 연구는 동화약품의 경영적 측면에서 핵심가치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더불어 장수기업으로 나아가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기적인 경영전략 수립 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문화 콘텐츠 기업의 롱-테일 시장에서의 강점에 대한 연구: 카카오-페이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engths of Cultural Content Company in the Long-Tail Market: Case of Kakao-Page)

  • 서정우;박현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17-130
    • /
    • 2020
  • 본 연구는 웹툰 및 웹소설 기업인 카카오 페이지의 사례를 관찰하여, 문화 콘텐츠 산업 시장에서 롱-테일 전략과 기업의 역량과의 관계에 대해서 밝히고 있다. 본 연구는 카카오 페이지의 다양한 확장 전략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VRIO 분석 방식을 통해 전략의 강점을 조사하였다. 카카오 페이지의 가장 큰 강점은 66,000개에 이르는 제품의 양이며, 롱-테일로서의 메리트를 얻게 할 뿐만 아니라, 수직적 통합과 다양한 확장 전략의 핵심이 된다. 이 연구는 시장에 접근하려는 플랫폼 콘텐츠 기업에게 다양한 제품을 확보할 역량이 필수적임을 지적함과 동시에, 콘텐츠 플랫폼 및 롱-테일에 관련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촉구한다.

Smart Study's Strategy in the Kids Content Industry: VRIO Framework

  • LEE, Jun-Ho;KIM, Taejoong;PARK, Hyunjun
    • 융합경영연구
    • /
    • 제8권3호
    • /
    • pp.1-8
    • /
    • 2020
  • Purpose: Korea has a long history of kid's content industries. Also, Korea's kid's content market has been thriving for a long time, but recently, a company called Smart Study has sharply raised Korea's status because of its competitive advantage and capability in the kid's content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research has explored and examined how Smart Study was successful in kid's content industries. Also, the research examined the present and potential competitors in the kid's content industry. Results: We investigated and explored how they were different from other Korean kid industries through value, rare, inimitability, and organization (VRIO) framework. Conclusions: One of the primary reasons for their success is because Smart Study has strengths in marketing that brand character and making consumers loyal to the company. Lastly, this paper attempted to explain how they have promoted their company and investigated how other companies promote themselves in the kid's content industry. This paper has limitations. We could not explain all the fields of kid content. The kids' content has developed tremendously, but there are many hidden parts. It has been successful in Korea and is still growing and proliferating. Also, there is a slight lack of scarcity in distribution methods.

자원기반관점의 벤처·이노비즈기업 기술혁신성에 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Venture & Inno-biz Enterprises' Technological Innovation from Resource-Based View)

  • 이용훈;심성학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3호
    • /
    • pp.85-98
    • /
    • 2018
  • 본 연구는 기술보증기금이 자체적으로 기술평가를 거쳐 운전자금보증을 지원한 3,462개 벤처 이노비즈기업의 현장데이터에 근거하여 기업에 내재된 4가지 VRIO 속성, 즉 기술혁신의 가치 (Value)와 희소성 (Rarity), 모방가능성 (Imitability) 및 조직 (Organization)이라는 내부자원과 역량이 어떻게 기술적 경쟁우위를 확보해 나가고, 나아가 기술적 경쟁우위는 최종적으로 경제적 경쟁우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기술혁신을 기반으로 하는 표본기업은 기술경영전략 (Value), 기술의 차별성 (Rarity), 기술모방 난이도 (Imitability) 및 기술조직역량(Organization) 등 4개요인의 내부자원과 역량을 통하여 1단계로 지식재산권을 확충하고 기술개발 및 신제품의 상용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등 기술적 경쟁우위를 확보하게 되며, 나아가 기업의 매출액 증가 및 영업수익 확대뿐만 아니라 기업 전반의 재무건전성이 향상되는 등 가시적인 경영성과를 시현하기 까지 각 단계별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어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특히, VRIO 특성 중 경쟁기업이 모방하기 어려운 독창적 기술을 보유하거나 기술조직의 역량 확충 등 인프라를 잘 갖춘 경우 여타 기술관련 속성들 보다 기술적 경제적 경쟁우위를 확보하는데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K-POP의 세계시장 진출 성공요인 분석: VRIO 모형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Success Factors of K-POP Globalization: Utilizing the VRIO Model)

  • 신동석;남성집;남명현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55-62
    • /
    • 2015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uccess factors pertaining to K-POPs from an analysis of the internal business environment. Much research has investigated Korean Moves or how to popularize them. The research mainly focused on aspects of Korean Moves. However, few studies have attempted to examine Korean Moves or K-POPs from a managerial viewpoint. The current research tries to investigate the success factors of K-POP from strategic perspectives, specifically utilizing internal resource based view perspectives. It differentiates itself by looking at the competitiveness of K-POP from the internal resourc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where creativity is heavily stressed, competitiveness is often regarded within the organization as a form of intangible asset, knowledge, or technology that is often related with the organization's personnel. Some research has tried to reveal the competitiveness of K-POP using Porter's competitiveness of nations framework. Others utilize the adapted model of Porter's structure. However, these models only look at the outside environment, and not inside a firm's resource, knowledge, or capabilities. This research utilizes the VRIO model to examine the internal resources and capabilities of K-POP producers. The model measures whether a firm's internal resources and capabilities are valuable, rare, difficult to imitate by competitors, or organizable. The research covered businesses whose yearly revenue exceeds $10 Million in music planning and recording in South Korea. There were only thirteen such companies (one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Of these, companies for whom 20 percent or more of the sales revenue comes from the abroad are targeted. Only seven are selected and these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In order to find a firm's internal resources, we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eir business names and person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re not revealed due to case sensitive issues. Instead, we use unrelated initials for their names and their statements. Results - From the in-depth interview with top-tier K-POP producers and managers, the current research tried to identify resources and capabilities that helped to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These resources and capabilities are sought from the scope of the VRIO model, which looks at the internal resources and capabilities from the scope of value, rarity, imitability, and organization. Interviews with the top tier producers and managers reveal the internal success factors of K-POPs. We conclude that these resources and capabilities are from internally accumulated producing know-how, unique managing (training) system, and outstanding all-round entertainment capabilities of the performers.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re resources and capabilities of K-POP are robust. It will take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and money to imitate for followers, because these resources and capabilities are the result of time investment and are embedded into producers' and performers' know-how. Taking Luo (2000)'s argument, K-POP is in the second stage of the globalization process, which is configuring and allocation resource capabilities to a global scope.

An Impact on the Hospitality Industry with Rare Resource and Sharing Economy Platform: Case of Airbnb and Kozaza

  • 박현준;유영태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73-86
    • /
    • 2018
  • An analysis of Airbnb and Kozaza will show how valuable and rare resource can have an impact on company performances. Airbnb applied the sharing economy platform, and this business model had disrupted the hospitality industry. Thus, this paper will investigate a Korean company called Kozaza which had benchmarked Airbnb. Furthermore, it will apply the theory of VRIO framework, which consists of how valuable, rare, costly to imitate (imitability), and organization (exploited by the organization) to find competitiveness of Kozaza in the hospitality industry. Thus, it will attempt to show that Kozaza's business model of utilizing the unused resource of Hanok (traditional Korean house) and partnerships with Hanoksta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Soul Tourism Organization and others have enhanced their resource and capability to strengthen their business model. Furthermore, this research will explore how Kozaza can competitively be successful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