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2X technology

검색결과 966건 처리시간 0.027초

WAVE-LTE 하이브리드 V2X 통신시스템의 커버리지 테스트 (Coverage Test of WAVE-LTE Hybrid V2X Communication System)

  • 윤상훈;임기택;곽재민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212-217
    • /
    • 2020
  • 최근 4차산업 혁명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V2X (vehicle to everything) 통신기술은 자율주행차량에 있어 핵심기술로서 유무선 망을 통해 차량, 인프라, 네트워크, 보행자 등과 같은 객체들과 정보를 교환하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WAVE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와 LTE (long term evolution)를 복합설계하여 구현한 하이브리드 V2X 통신 시스템의 개발결과와 시스템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커버리지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를 제시한다. 커버리지 측정을 통해 하이브리드 V2X 통신 성능이 기존의 LTE나 WAVE의 단일 통신 시스템보다 통신 커버리지에 있어 우수하여 자율주행서비스에 효율적으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보인다.

상용차 자율협력주행 플랫폼 평가를 위한 V2X 기반 평가환경 개발 (Evaluation Environment based on V2X Communication for Commercial Vehicle Cooperative Autonomous Driving)

  • 정한균;진성근;곽재민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450-455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V2X 통신 기반의 상용차 자율협력주행 플랫폼 평가환경 구축 연구의 내용을 소개한다. V2X 통신 기반의 자율협력주행 플랫폼 평가를 위해서는 다양한 주행 시나리오를 적용할 수 있는 도로 및 V2X 인프라 등의 테스트베드 구축과 함께 시험평가를 위한 각종 제반 규격 및 표준, 지침 등이 개발되어 피시험자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실제 시험평가를 진행할 수 있는 각종 레퍼런스 장비와 시험장비 등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V2X 통신 기반 상용차 자율협력주행 플랫폼 평가환경을 구성하기 위해 개발된 다양한 기술과 규격, 장비 그리고 구축 인프라를 소개한다.

External 인터페이스 구현을 통한 트래픽시뮬레이터와 네트워크 시뮬레이터의 연동 (Interoperation of Traffic Simulator and Network Simulator Through the External Interface Implementation)

  • 성진승;이주영;정재일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35-441
    • /
    • 2014
  • V2X 협력통신 시스템은 차량 운전을 쉽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융합기술로 실제 교통상황에서 이러한 기술을 평가하고 효과를 예상하기 위해서는 실차 기반의 도로 구축과 통신 장비 구축, 검증 전문 인력 투입을 필요로 하며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입해야한다. 위와 같은 이유로 연구소 및 대학에서는 개발한 시스템을 테스트 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V2X 장비 개발이 가속화됨에 따라 차량 안전 어플리케이션과 V2X 통신기술을 테스트 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테스트베드 구축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테스팅 환경을 구성하기 위하여 External 인터페이스 구현을 통하여 트래픽 시뮬레이터와 네트워크 시뮬레이터를 연동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Optical and Optoelectric Properties of PbCdS Ternary Thin Films Deposited by CBD

  • Mohammed, Modaffer. A.;Mousa, Ali M.;Ponpon, J.P.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9권2호
    • /
    • pp.117-123
    • /
    • 2009
  • $Pb_{x}Cd_{1-x}S$ films are prepared in the composition range of 0.05${\leq}x{\leq}$0.25, using a chemical bath deposition growth technique under optimum conditions amide at realizing good photo response. The x-ray diffraction results show that the films are of PbS-CdS composite with individual CdS and PbS planes. The films exhibit two direct band gaps, 2.4 eV attributed to CdS, while the other varies continuously from 2.4 eV to 1.3 eV. The films surface morphology is smooth with crystallite, whose grain size increases with increasing mole fraction (x). The decrease in band gap with increase in lead concentration suggests inter-metallic compound of PbS (Eg=0.41 eV) with CdS (Eg=2.4 eV)

V2I 오작동에 의한 자율주행자동차의 위험성 분석 (Hazard Analysis of Autonomous Vehicle due to V2I Malfunction)

  • 안대룡;신성근;백윤석;이혁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251-261
    • /
    • 2019
  • 최근 자율주행자동차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주행을 위해 V2V, V2I 등 V2X 서비스를 활용하는 자율주행시스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환경 센서에 기반한 부분 자율주행자동차는 장착된 센서의 인식 거리를 벗어나는 영역에 대한 예측 및 판단과 센서가 검지하기 힘든 비정형 물체에 대한 대응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센서 검지 성능의 한계를 개선하고 보다 안전하고 쾌적한 주행을 위한 V2X 서비스 활용은 중요하다. 하지만 V2X의 잘못된 정보 제공으로 인한 자율주행자동차의 사고 위험도 존재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의 적용 또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ISO-26262 Part3 프로세스를 활용하고 HARA를 수행하여 V2X 중에서 차량과 인프라의 통신을 활용한 V2I 오작동에 의한 자율주행자동차의 위험원을 도출하고 주요 V2I 사용례의 오작동 시뮬레이션 및 실차 시험을 기반으로 ASIL 등급을 산정하였다.

자율협력주행을 위한 하이브리드 V2X 통신모듈 설계 (Design of Hybrid V2X Communication Module for Cooperative Automated Driving)

  • 임기택;진성근;곽재민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13-219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차량 환경에 적합하게 설계된 C-ITS 통신프로토콜과 이동 통신 프로토콜인 Legacy LTE 통신 기술을 함께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V2X 통신모듈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계 방안을 제안하고 설계과정을 제시한다. C-ITS는 저 지연 특성으로 인해 안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하며, Legacy LTE는 고지연, 고용량 특성으로 인해 교통정보, 인포테인먼트와 같은 비 안전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기술이다. 하이브리드 V2X 통신 모듈은 복수의 통신기술로 WAVE와 LTE를 지원하고, WAVE에 대해서는 복수채널 통신을 지원하여, 자율주행 차량에 LDM, 측위보정정보 등의 도로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다. 본 논문에 제시된 주요 설계 결과는 향후 차량용 하이브리드 V2X 통신 단말기 구현에 적용될 예정이다.

스마트하이웨이 테스트베드에서의 WAVE 기반 V2X 통신 성능에 대한 실험적 분석 (Experimental Analysis of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based on WAVE at the SMART-Highway Test-bed)

  • 정한균;임기택;신대교;윤상훈;진성근;장수현;신준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15-128
    • /
    • 2016
  • 전 세계적으로 도로 상에서의 교통사고를 줄이고 교통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특히 C-ITS(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협력형 지능형교통체계) 기술을 기반으로 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C-ITS 기술의 핵심은 인프라, 차량, 사람 등 도로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서로 간에 정보를 공유하고 재생성함으로써 도로안전 및 교통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차량용 무선통신기술인 V2X(Vehicle-to-X) 통신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스마트하이웨이 연구를 통해 V2X 통신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실제 고속도로 환경에서의 기술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하이웨이 테스트베드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 테스트베드 상에서의 성능 분석 절차 및 결과에 대해 기술한다.

Electronic Structures, Magnetic, and Superconducting Properties of bcc Ni and V-doped Ni (Ni16-xVx)

  • Kim, Bong-Jae;Choi, Hong-Chul;Kim, Kyoo;Min, B.I.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3권4호
    • /
    • pp.128-131
    • /
    • 2008
  • We have investigated the electronic structures and magnetic properties of both undoped and doped bcc Ni using the full-potential linearized augmented plane wave (FLAPW) band method. A ferromagnetic ground state is obtained at the equilibrium volume of bcc Ni. When the system is under strain, the nonmagnetic ground state is stabilized. When the Ni is doped with V, the $Ni_{16-x}V_x$ material loses its magnetic properties when x > 2. We have also discussed the possible superconducting properties of $Ni_{16-x}V_x$.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i1.1V0.75W0.075Mo0.075O2/Graphite Composite Anodes for Lithium-ion Batteries

  • Kim, Hyung-Sun;Kim, Sang-Ok;Kim, Yong-Tae;Jung, Ji-Kwon;Na, Byung-Ki;Lee, Joong-Ke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1호
    • /
    • pp.65-68
    • /
    • 2012
  • Novel type $Li_{1.1}V_{0.9-2x}W_xMo_xO_2$ powders were prepared by a solid-state reaction of $Li_2CO_3$, $V_2O_3$, $WO_2$ and $MoO_2$ precursors in a nitrogen atmosphere containing 10 mol % hydrogen gas, and assessed as anode materials in lithium-ion batteries. The specific charge and discharge capacities of the $Li_{1.1}V_{0.9-2x}W_xMo_xO_2$ anod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bare $Li_{1.1}V_{0.9}O_2$ anode. The cyclic efficiency of these anodes was approximately 73.3% at the first cycle,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W and Mo doping. The composite anode, which was composed of $Li_{1.1}V_{0.75}W_{0.075}Mo_{0.075}O_2$ (20 wt %) and natural graphite (80 wt %), demonstrated reasonable specific capacity, high cyclic efficiency, and good cycling performance, even at high rates without capacity fading.

무선 랜 기반 V2X 통신에서의 보조 수신기를 활용한 동작에 따른 영향 (The effects of Wake-up Radio in WLAN V2P Communication)

  • 홍한슬;김용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302-310
    • /
    • 2018
  • 자율주행을 현실화하기 위해 각국에서는 관련통신표준을 기반으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으며, 그 중 무선랜 표준을 제정하는 IEEE에서는 IEEE 802.11p와 WAVE 계열표준을 제정하여 차량통신용 무선통신을 지원하고 있다. 최근 저전력 동작이 부각됨에 따라 보조수신기를 활용하는 표준인 IEEE 802.11ba이 진행 중이며, 그 사용 예시에는 V2P 동작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V2X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랜 표준인 IEEE 802.11p가 IEEE 802.11ba와 같이 사용 될 경우, 기존 IEEE 802.11ba에서의 추가적인 wake-up frame의 전송으로 인해 채널용량이 지나치게 낮아져 지연시간 요구사항을 맞추지 못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용 무선랜 표준인 IEEE 802.11p 및 WAVE가 최근 개발되고 있는 저전력 표준인 IEEE 802.11ba 표준과 결합될 때의 시스템 구성방법을 제시하고 성능분석과 고찰을 통해 미래 자율주행 통신에서 IEEE 802.11ba를 이용한 저전력 V2P 동작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