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2V

검색결과 29,210건 처리시간 0.059초

V2I 오작동에 의한 자율주행자동차의 위험성 분석 (Hazard Analysis of Autonomous Vehicle due to V2I Malfunction)

  • 안대룡;신성근;백윤석;이혁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251-261
    • /
    • 2019
  • 최근 자율주행자동차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주행을 위해 V2V, V2I 등 V2X 서비스를 활용하는 자율주행시스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환경 센서에 기반한 부분 자율주행자동차는 장착된 센서의 인식 거리를 벗어나는 영역에 대한 예측 및 판단과 센서가 검지하기 힘든 비정형 물체에 대한 대응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센서 검지 성능의 한계를 개선하고 보다 안전하고 쾌적한 주행을 위한 V2X 서비스 활용은 중요하다. 하지만 V2X의 잘못된 정보 제공으로 인한 자율주행자동차의 사고 위험도 존재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의 적용 또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ISO-26262 Part3 프로세스를 활용하고 HARA를 수행하여 V2X 중에서 차량과 인프라의 통신을 활용한 V2I 오작동에 의한 자율주행자동차의 위험원을 도출하고 주요 V2I 사용례의 오작동 시뮬레이션 및 실차 시험을 기반으로 ASIL 등급을 산정하였다.

총소유비용 분석을 이용한 전기차의 V2G 도입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Application of V2G for Electric Vehicles in Korea Using Total Cost of Ownership Analysis)

  • 김영환;이재승
    • 에너지공학
    • /
    • 제24권2호
    • /
    • pp.129-143
    • /
    • 2015
  • 기후변화와 에너지안보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면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되어 왔다. 특히 수송부문에서의 온실가스 감축은 핵심적인 정책목표로 논의되었으며. 최근 자동차 배기가스 배출 규제가 강화되는 추세에서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전기차(EV) 도입이 다각도로 조명을 받고 있다. V2G(Vehicle-to-Grid)기술은 전기차시장의 급격한 성장 전망으로 인한 전력수요증가에 대응하는 기술로써, 전기차 소유의 경제성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전력망 안정성을 유지하며 전력부하의 분산효과도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V2G를 적용한 전기차의 총소유비용을 산출하여 이를 내연기관차와 일반전기차와 비교하였다. V2G를 도입한 전기차는 연 평균 약 21만원의 수익을 발생하여 V2G 서비스 공급 기간동안 총 211만원의 수익을 얻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운영기간동안 총 242만원의 비용이 발생하는 일반전기차와 비교해 약 453만원의 차이가 난다. 따라서 V2G 전기차의 총소유비용은 동급 내연기관차보다 10.2% 높고 일반전기차보다 6.1% 낮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보조금이 없을 경우 전기차는 아직까지 내연기관차에 비해 소유비용이 높지만 V2G 도입은 전기차의 상대적 경제성을 높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V2G 도입에 있어서는 전력망과 관련 산업이 얻는 긍정적 효과를 함께 고려하여 정책적 검토가 이뤄져야 한다.

탄소첨가한 Li3V2(PO4)3의 합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 (Synthesis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rbon added Li3V2(PO4)3)

  • 조영임;나병기
    • 전기화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1-10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탄소를 첨가하여 $Li_3V_2(PO_4){_3}$의 낮은 전기전도도를 개선시켜서 고율 방전특성, 충 방전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탄소 첨가제로는 글루코스와 CNT (carbon nano tube)를 사용하였으며, 탄소의 첨가 여부와 탄소 원료의 종류에 따라 합성된 $Li_3V_2(PO_4){_3}$의 구조적 그리고 전기화학적 특성에 대해 연구를 하였다. $Li_3V_2(PO_4){_3}$$Li_3V_2(PO_4){_3}$/C의 $Li_3V_2(PO_4){_3}$/CNT의 합성방법으로는 고상법을 이용하였다. 합성된 물질을 수소환원방법을 통하여 600, 700, 800, $900^{\circ}C$에서 소성해주었다. 합성된 물질로 양극 집전판을 제작하여 상대전극을 리튬메탈로 한 Coin 2032 cell을 만들어 전기화학적 특성분석을 진행하였다. 전지테스트는 정전류법을 이용하여 3.0~4.8 V까지 충 방전 실험을 하였다.

LINEAR MAPPINGS ON LINEAR 2-NORMED SPACES

  • White Jr. Albert;Cho, Yeol-Je
    • 대한수학회보
    • /
    • 제21권1호
    • /
    • pp.1-5
    • /
    • 1984
  • The notion of linear 2-normed spaces was introduced by S. Gahler ([8,9,10,11]), and these space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by C. Diminnie, R. Ehret, S. Gahler, K. Iseki, A. White, Jr, and others. For nonzero vectors x,y in X, let V(x,y) denote the subspace of X generated by x and y. A linear 2-normed space (X,v) is said to be strictly convex ([3]) if v(x+y,z)=v(x,z)+v(y+z) and z not.mem.V(x,y) imply that y=ax for some a>0. Some characterizations of strict convexity for linear 2-normed spaces are given in [1,3,4,5,12]. Also, a linear 2-normed space (X,v) is said to be strictly 2-convex ([6]) if v(x,y)=v(x,z)=v(y,z)=1/3v(x+z, y+z)=1 implies that z=x+y. These space have been studied in [2,4,6,13]. It is easy to see that every strictly convex linear 2-normed space is always strictly 2-convex but the converse is not necessarily true. Throughout this paper, let (X,v) denote a linear 2-normed space.

  • PDF

비브리오 패혈증균에 대한 매실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Maesil (Prunus mume) Extract against Vibrio vulnificus)

  • 하태만;전두영;임현철;윤연희;신미영;윤기복;김중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3-169
    • /
    • 2017
  • V. vulnificus에 대한 매실 추출액의 항균활성을 측정함으로서 다소비 식품인 수산물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실험에서 사용한 균주는 수산물, 수족관수, 해수, 갯벌에서 분리된 V. vulnificus 28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V. vulnificus 28주 모두에서 vvhA 유전자가 검출되고 good identification 이상의 생화학 동정 결과를 나타내어 V. vulnificus임이 확인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V. vulnificus는 tetracycline과 chloramphenicol 항생제에 감수성을 나타내어 환자 발생 시 이 두 종류의 항생제가 치료에 용이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V. cholerae NCCP 13589와 V. parahemolyticus NCCP 11143 표준균주 모두 매실 추출물 2.5%와 5%에서 생육 저지환을 나타내었다. 또한 V. vulnificus 분리균주와 V. vulnificus NCCP 11135 표준균주 모두 매실 추출물 1.25%, 2.5%, 5%에서 생육 저지환을 나타내어 V. cholerae와 V. parahemolyticus에 비해 V. vulnificus에 대한 매실 추출물의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V. vulnificus에 대한 매실 추출액 최소살균농도가 1.6%로 나타나 수산물 중 V. vulnificus 생육억제에 매실 추출물이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산물과 관련된 비브리오균 중 패혈증을 일으키는 V. vulnificus균은 국내에서 매년 지속적으로 환자와 사망자를 발생시키고 있다. 수산물 생식 시 발생할 수 있는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매실 추출물 활용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l이 도핑된 오산화바나듐의 합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 (The Synthesis and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Al Doped $V_2O_5$)

  • 박희구;정옥영;이만호
    • 공업화학
    • /
    • 제16권4호
    • /
    • pp.491-495
    • /
    • 2005
  • Al이 0.01에서 0.05 몰 도핑된 오산화바나듐을 졸-겔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고, Al이 도핑된 오산화바나듐의 화학적성질과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Li/Al_xV_2O_5$ 전지를 만들었다. $Al_xV_2O_5$ xerogel의 표면형상은 비등방성의 주름진 판상을 이루며 층간거리는 약 $11.5{\AA}$이었다. IR 스펙트럼에 의하면 도핑된 Al이 $V_2O_5$의 vanadyl기에 결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l_xV_2O_5$ xerogel은 가역성과 에너지밀도가 $V_2O_5$보다 향상되었다. 또한 10 mA/g의 방전율로 얻은 $Al_{0.05}V_2O_5$ xerogel의 비용량은 200 mAh/g 이상이었으며, 1.9 V에서 3.9 V 전위영역에서 31회의 연속 충방전 실험을 한 결과 약 90%의 사이클효율을 나타내었다.

GENERALIZED FIBONACCI AND LUCAS NUMBERS OF THE FORM wx2 AND wx2 ∓ 1

  • Keskin, Refik
    • 대한수학회보
    • /
    • 제51권4호
    • /
    • pp.1041-1054
    • /
    • 2014
  • Let $P{\geq}3$ be an integer and let ($U_n$) and ($V_n$) denote generalized Fibonacci and Lucas sequences defined by $U_0=0$, $U_1=1$; $V_0= 2$, $V_1=P$, and $U_{n+1}=PU_n-U_{n-1}$, $V_{n+1}=PV_n-V_{n-1}$ for $n{\geq}1$. In this study, when P is odd, we solve the equations $V_n=kx^2$ and $V_n=2kx^2$ with k | P and k > 1. Then, when k | P and k > 1, we solve some other equations such as $U_n=kx^2$, $U_n=2kx^2$, $U_n=3kx^2$, $V_n=kx^2{\mp}1$, $V_n=2kx^2{\mp}1$, and $U_n=kx^2{\mp}1$. Moreover, when P is odd, we solve the equations $V_n=wx^2+1$ and $V_n=wx^2-1$ for w = 2, 3, 6. After that, we solve some Diophantine equations.

바나듐 옥사이드 박막의 성장 및 그 구조적, 전기적, 광학적 특성 (Sol-gel growth and structural,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vanadium-based oxide thin films)

  • 박영란;김광주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534-540
    • /
    • 2006
  • $V_2O_3$, $VO_2$, $V_2O_5$ 박막들이 하나의 선구 용액으로부터 다양한 후열처리 조건을 통하여 제작될 수 있었다. 진공 중 후열처리 시 rhombohedral 구조의 $V_2O_3$ 박막이 형성되어졌고, 공기 중 후열처리 시 orthorhombic 구조의 $V_2O_5$ 박막을 얻을 수 있었다. Monoclinic 구조의 $VO_2$ 박막은 진공 후열처리 중 $O_2$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었다. $V_2O_3$ 박막이 상온에서 도체적 특성을 보이는 반면, $V_2O_5$, $VO_2$ 박막은 반도체적 성질을 지니고 있음을 전기적, 광학적 특성 조사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크롬(Cr)이 도핑됨에 따라 $VO_2$ 박막은 그 전기전도성이 n-type에서 p-type으로 변화하였고 비저항이 감소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크롬 도핑된 $VO_2$ 박막은 orthorhombic 구조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바나듐 옥사이드 박막들에서 관측된 광학적 흡수 구조들은 O 2p 에서 V 3d 밴드로의 전이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어진다. 바나듐 이온의 $t_{2g}$ 상태와 $e_g$ 상태 사이의 결정장 갈라짐(crystal-field splitting)은 $V_2O_5$$VO_2$에 대해서 각각 1.5 및 1.0 eV로 해석된다.

EXISTENCE OF SOLUTIONS FOR FRACTIONAL p&q-KIRCHHOFF SYSTEM IN UNBOUNDED DOMAIN

  • Bao, Jinfeng;Chen, Caisheng
    • 대한수학회보
    • /
    • 제55권5호
    • /
    • pp.1441-1462
    • /
    • 2018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fractional p&q-Kirchhoff type system $$\{M_1([u]^p_{s,p})(-{\Delta})^s_pu+V_1(x){\mid}u{\mid}^{p-2}u\\{\hfill{10}}={\ell}k^{-1}F_u(x,\;u,\;v)+{\lambda}{\alpha}(x){\mid}u{\mid}^{m-2}u,\;x{\in}{\Omega}\\M_2([u]^q_{s,q})(-{\Delta})^s_qv+V_2(x){\mid}v{\mid}^{q-2}v\\{\hfill{10}}={\ell}k^{-1}F_v(x,u,v)+{\mu}{\alpha}(x){\mid}v{\mid}^{m-2}v,\;x{\in}{\Omega},\\u=v=0,\;x{\in}{\partial}{\Omega},$$ where ${\Omega}{\subset}{\mathbb{R}}^N$ is an unbounded domain with smooth boundary ${\partial}{\Omega}$, and $0<s<1<p{\leq}q$ and sq < N, ${\lambda},{\mu}>0$, $1<m{\leq}k<p^*_s$, ${\ell}{\in}R$, while $[u]^t_{s,t}$ denotes the Gagliardo semi-norm given in (1.2) below. $V_1(x)$, $V_2(x)$, $a(x):{\mathbb{R}}^N{\rightarrow}(0,\;{\infty})$ are three positive weights, $M_1$, $M_2$ are continuous and positive functions in ${\mathbb{R}}^+$. Using variational methods, we prove existence of infinitely many high-energy solutions for the above system.

아크롤레인 선택 산화반응에서 Mo-V-O와 SnO2의 상간협동 - II. 담지촉매 - (Phase Cooperation between Mo-V-O and SnO2 in Selective Oxidation of Acrolein -II. Supported Catalysts-)

  • 박대원;나석은;김경훈;이원호;정종식
    • 공업화학
    • /
    • 제5권2호
    • /
    • pp.295-304
    • /
    • 1994
  • 담지촉매인 $Mo-V-O/SnO_2$(VM/Sn)와 $SnO_2/Mo-V-O$(Sn/VM) 촉매를 제조하여 XRD, BET, SEM, $NH_3$, TPD 등으로 특성분석을 실시하였다. 고정층 연속 반응기에서 아크롤레인의 산화반응을 수행한 결과 이들 촉매의 아크롤레인 전화율과 아크릴산 수율이 Mo-V-O 자체보다 높았다. 이와 같은 상승효과의 원인을 TPD, TPR, TPO 등의 방법으로 고찰한 결과 Mo-V-O와 $SnO_2$의 접촉면에서 Mo-V-O가 $SnO_2$ 상으로 전자를 전달하고 $SnO_2$는 spill-over oxygen을 Mo-V-O 상으로 전달함으로써 반응에 의하여 부분환원된 Mo-V-O의 재산화를 촉진시키는 상간협동 현상이 존재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