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2V

검색결과 29,221건 처리시간 0.053초

Epidemiology, vir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2 (SARS-CoV-2; Coronavirus Disease-19)

  • Park, Su E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3권4호
    • /
    • pp.119-124
    • /
    • 2020
  • A cluster of severe pneumonia of unknown etiology in Wuhan City, Hubei province in China emerged in December 2019. A novel coronavirus named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2 (SARS-CoV-2) was isolated from lower respiratory tract sample as the causative agent. The current outbreak of infections with SARS-CoV-2 is termed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OVID-19 rapidly spread into at least 114 countries and killed more than 4,000 people by March 11 2020. WHO officially declared COVID-19 a pandemic on March 11, 2020. There have been 2 novel coronavirus outbreaks in the past 2 decades. The outbreak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in 2002-2003 caused by SARS-CoV had a case fatality rate of around 10% (8,098 confirmed cases and 774 deaths), whil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caused by MERS-CoV killed 861 people out of a total 2,502 confirmed cases between 2012 and 2019.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summarize known-to-date information about SARS-CoV-2, transmission of SARS-CoV-2, and clinical features.

스마트 그리드환경에서 전기자동차 양방향 충전기술의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연구 (Security and Privacy Protection of Vehicle-To-Grid Technology for Electric Vehicle in Smart Grid Environment)

  • 이성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441-448
    • /
    • 2020
  • Vehicle-to-Grid(V2G) 기술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분산발전원 및 에너지 저장장치로의 이용하려는 기술로 스마트그리드의 주요한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V2G 네트워크는 양방향의 통신망을 사용함으로 피할 수 없는 보안 취약점과 개인정보보호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V2G 시스템의 구조, 사용되는 개인정보, 보안취약점 및 보안 요구사항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분석한다. 그리고 V2G 시스템의 특성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V2G 시스템의 구조와 운용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식은 대칭키 암호와 해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고 양방향 인증을 수행하며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성을 최소화 한다.

에어로졸 공정을 이용한 오산화바나듐(V2O5)-그래핀 복합체 제조 및 슈퍼커패시터 응용 (Preparation of V2O5-Graphene Composites using Aerosol Process for Supercapacitors Application)

  • 이총민;장희동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95-105
    • /
    • 2020
  • Vanadium Pentoxide (V2O5) has been emerged as alternative electrode materials for supercapacitors due to their low cost, natural abundance,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Graphene (GR) loaded with V2O5 can exhibit enhanced specific capacitance. In this study, we present three-dimensional (3D) crumpled graphene (CGR) decorated with V2O5. The V2O5-graphene composites were synthesized from a colloidal mixture of graphene oxide (GO) and Ammonium metavanadate (NH4VO3), via aerosol spray drying and post heat treatment process. The average size of composite was ranged from 1.82 to 4.6 ㎛. Morphology of the composite changed from a crumpled paper ball to spherical ball having relatively smooth surface as the content of V2O5 increased in the composites.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the V2O5-graphene composites was examined. The V2O5-graphene composite electrode showed the specific capacitance of 312 F/g. In addition, the device possessed acceptable cyclic stability, with 84% after 2000 cycles at 2 A/g. These outstanding properties are expected to make the composites prepared in this study as promising electrode materials for supercapacitor applications.

Blood test results from simultaneous infection of other respiratory viruses in COVID-19 patients

  • In Soo, Rheem;Jung Min, Park;Seung Keun, Ham;Jae Kyung,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316-321
    • /
    • 2022
  • Since 2019,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has spread rapidly, infecting millions of people worldwide. On March 11, 2020,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declared coronavirus disease (COVID-19) a pandemic owing to the worldwide spread of SARS-CoV-2, which created an unprecedented burden on the global healthcare system. In this context, there are increasing concerns regarding co-infections with other respiratory viruses, such as the influenza virus. In this study, clinical data of patients infected with SARS-CoV-2 and other respiratory viruses were compared with patients infected with SARS-CoV-2 alone. The hematology and blood biochemistry results of 178 patients infected with SARS-CoV-2 , who were tested on admission,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In patients with SARS-CoV-2 and adenovirus co-infection, C-reactive protein levels were elevated on admission, whereas lactate dehydrogenase (LDH), prothrombin time,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clotting time, and bilirubin values were all within the normal range. Moreover, patients with SARS-CoV-2 and human bocavirus co-infection had low LDH and high bilirubin levels on admission. These findings reveal the clinical features of respiratory virus and SARS-CoV-2 co-infections and support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approaches for treating patients with SARS-CoV-2 and other respiratory virus co-infections.

전기자재에 대한 역돔의 심전도 (Response of Electrocardiogram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to Electric Stimulus)

  • 한규환;양용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8권4호
    • /
    • pp.278-283
    • /
    • 2002
  • 전기자극에 대한 역돔, Oreochromis niloticus[Linnaeus]의 심전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어체내에 전극을 삽입하여 3 가지 전기자극원(20, 30, 40 Vp ; 10 msec)으로 실험어에 자극을 가하였을 때의 심전도를 서간과 야간으로 구분하여 60분간 조사한 심박수와 생체전위를 자극 전(마취상태, 안정상태)과 자극 후(자극-회복상태, 회복상태)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역돔은 마취 후 3 분 뒤에 안정상태에 도달하였고, 안정상태에서의 평균상심박수는 서간에 45.8 beat/min, 야간에 45.0 beat/min였고, 평균생체전위는 서간에 1.76 $\mu\textrm{V}$, 야간에 1.75 $\mu\textrm{V}$였다. 2. 자극별 평균심박수는 \circled1 자극-회복상태에서 전기자극이 20 Vp인 경우, 서간에 34.9 beat/min, 야간에 33.4 beat/min였고, 30 Vp인 경우, 서간에 36.8 beat/min, 야간에 36.0 beat/min였으며, 40Vp인 경우 서간에 38.0 beat/min, 야간에 36.4 beat/min로 나타났다. \circled2 회복상태에서 전기자극이 20 Vp인 경우, 서간에 45.5 beat/min, 야간에 45.1 beat/min였고, 30 Vp인 경우, 서간에 47.9 beat/min, 야간에 49.0 beat/min 였으며, 40 Vp인 경우, 서간에 51.4 beat/min, 야간에 50.7 beat/min로 나타났다. 3. 자극별 평균생체전위는 \circled1 자극-회복상태에서 전기자극이 20Vp인 경우, 서간에 2.54$\mu\textrm{V}$ 야간에 2.39$\mu\textrm{V}$였고,30Vp인 경우, 서간에 3.30$\mu\textrm{V}$, 야간에 2.30 $\mu\textrm{V}$였으며, 40Vp 인 경우 서간에 6.05 $\mu\textrm{V}$, 야간에 3.23 $\mu\textrm{V}$로 나타났다. \circled2 회복상태에서 전기자극이 20 Vp인 경우, 서간에 1.92 $\mu\textrm{V}$, 야간에 1.95 $\mu\textrm{V}$ 였고, 30 Vp인 경우, 서간에 2.78 $\mu\textrm{V}$, 야간에 2.21 $\mu\textrm{V}$ 였으며, 40 Vp인 경우 서간에 3.60$\mu\textrm{V}$ 야간에 2.98$\mu\textrm{V}$로 나타났다.

리튬이 주입된 전기변색 V$_2$O$_{5}$ 박막의 광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cal Properties of Lithium Injection in V$_2$O$_{5}$ Electrochromic Thin Films)

  • 하승호;조봉희;김영호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5권7호
    • /
    • pp.802-807
    • /
    • 1995
  • 진공증착법으로 제작한 V$_2$O$_{5}$ 박막의 두께 및 결정성에 따른 전기변색 특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증착된 박막은 노란색을 띄고 있었으며 14$0^{\circ}C$ 보다 높은 기판온도에서 증착된 V$_2$O$_{5}$ 박막은 결정질로 낮은 기판온도에서 증착된 박막들은 비정질로 밝혀졌다. 리튬 이온 주입에 따른 V$_2$O$_{5}$ 박막의 광 변조 특성 결과 V$_2$O$_{5}$ 박막의 두께와 결정성에 관계없이 300~500nm 파장영역에서는 산화발색이 500~1100nm 파장영역에서는 환원 발색이 나타났다. 비정질과 결정질 Li$_{x}$ V$_2$O$_{5}$ 박막의 optical band gap 에너지는 리튬 이온 주입양이 증가함에 따라 (x=0.0~0.6) 각각 0.75 [eV], 0.17 [eV]씩 높은 에너지쪽으로 이동하였다. 비정질 Li$_{x}$ V$_2$O$_{5}$ 박막의 coloration efficiency는 근적외선 영역에서는 리튬 이온 주입과 박막두께에 따라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blue와 near-UV 영역에서는 absorption edge가 500nm 파장근처에서 높은 에너지 부근으로 이동됨으로 인하여, 박막두께가 증가하고 리튬 이온주입양이 감소할수록 coloration efficiency가 상당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결정질 Li$_{x}$ V$_2$O$_{5}$ 박막의 경우 coloration efficiency는 전파장영역에서 리튬 이온 주입양과 박막두께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다양한 주행환경을 고려한 기준도로 평가 환경에서 V2V용 협력주행 통신장치 장착 실차 성능 평가 (The Safety Performance Test of Vehicle Equipped with V2V Device in Standard Roads Considering Various Driving Conditions)

  • 이혁;최재훈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8-53
    • /
    • 2020
  • This paper describes in work which is currently underway to the minimum safety performance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 of V2V based on IEEE 802.11p in vehicle level like below. - The ranges and positions at static and driving condition of vehicle for BSM (Basic safety message) - Various road conditions such as straight road, crossroad, slope-way Based on this study, We will define the minimum safety performance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 of V2V in vehicle considering various road conditions.

NOTE ON UPPER BOUND SIGNED 2-INDEPENDENCE IN DIGRAPHS

  • Kim, Hye Kyung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8권5호
    • /
    • pp.579-585
    • /
    • 2012
  • Let D be a finite digraph with the vertex set V(D) and arc set A(D). A two-valued function $f:V(D){\rightarrow}\{-1,\;1\}$ defined on the vertices of a digraph D is called a signed 2-independence function if $f(N^-[v]){\leq}1$ for every $v$ in D. The weight of a signed 2-independence function is $f(V(D))=\sum\limits_{v{\in}V(D)}\;f(v)$. The maximum weight of a signed 2-independence function of D is the signed 2-independence number ${\alpha}_s{^2}(D)$ of D. Recently, Volkmann [3] began to investigate this parameter in digraphs and presented some upper bounds on ${\alpha}_{s}^{2}(D)$ for general digraph D. In this paper, we improve upper bounds on ${\alpha}_s{^2}(D)$ given by Volkmann [3].

H-브릿지 멀티레벨을 적용한 11,000V & 13,800V 고압인버터 개발 (Development of 11,000V & 13,800V Medium Voltage Inverter using H-Bridge Multilevel)

  • 박영민;김종철;조성준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6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5-416
    • /
    • 2016
  • 본 논문은 입출력 전력품질이 우수하고 전압별 시리즈화가 용이한 Cascaded H-브릿지 멀티레벨 전력 회로를 적용한 고압 대용량 전동기 구동용 11,000V / 13,800V 고압인버터 개발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기존에 개발된 3,300V/200kVA - 6,600V/8,000kVA 고압인버터의 단상 인버터로 구성된 개별 파워 셀 전압 증대, 파워 셀의 직렬 갯수 추가, 입력 위상 전이 다권선 변압기 2차 권선수 확장, 그리고 분산 제어 기능을 확대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전압을 증가시켰다. 실용량 제품의 제작 (11,000V/1,000kVA, 13,800V/2,400kVA) 및 실험을 통하여 개발된 11,000V/13,800V 고압인버터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불순물이 첨가되지 않은 n-GaAs에서의 Electroreflectance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ectroreflectance in undoped n-GaAs)

  • 김인수;김근형;손정식;이철욱;배인호;김상기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6-142
    • /
    • 1997
  • An/n-GaAs(100) Schottky 장벽 diode를 제작하여 변조전압($V_{ac}$) 및 dc 바이어스 전 압($V_{bias}$) 변화에 따른 electroreflectance(ER)를 측정하였다. 관측된 Franz-Keldysh oscillation(FKO) 피크로부터 이 시료의 내부 전기장($E_i$)은 $5.76\times 10^{4}$V/cm였다. $V_{ac}$를 변화시 킴에 따라 ER신호의 모양은 변화가 없고, 진폭만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순방향 및 역방향 의 $V_{bias}$변화에 따라 ER신호의 진폭은 감소하였으며, $V_{bias}$가 -5.0~0.6V로 증가함에 따라 Ei 는 $19.3\times 10^4\sim4.39\times10^4$V/cm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V_{bias}$변화에 대한 $E_i^2$의 그래프로부터 built-in 전압(Vbi)은 0.70V였으며, 이 값은 $V_{bias}$변화에 따른 FKO피크의 진폭 관계 그래프 에서 얻은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또한 이 시료의 캐리어 농도(N)와 전위장벽($\Phi$)은 300K에 서 각각 $2.4\times 10^{16}\textrm{cm}^{-3}$와 0.78eV의 값을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