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 Experience-based Design

검색결과 479건 처리시간 0.027초

RIA기반의 웹 콘텐츠 관리에 관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Contents Management System based on RIA)

  • 서준오;김철원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109-1114
    • /
    • 2015
  • 본 논문은 RIA 기술 중 하나인 어도비 플렉스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CMS를 설계 구현 한다. 플렉스는 기존 HTML+CSS+Javascript 등으로 이루어진 마크업 언어 위에 다양한 시각적 컴포넌트를 쉽게 추가 할 수 있어 보다 역동적인 웹사이트를 구현할 수 있게 해준다. HTTP요청 처리는 MVC기반의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로 동적인 웹 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공기관의 웹 서비스 개발 시 사용을 권장하고 있는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의 기반 기술로 쓰이고 있다. 갈수록 방대해져 가는 웹 콘텐츠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생산 관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수요자 중심의 공공서비스 디자인 개선방안 - 성남시 지방세 고지서 디자인 개선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ser Centered Public Service Design - focused on Sung-Nam local tax bills)

  • 박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381-389
    • /
    • 2016
  • 본 연구는 지방세 고지서 개선방안에 관한 본 연구자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경기도 성남시 지방세 고지서의 개선방안을 진행한 후속연구이다. 식상한 디자인에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지방세 고지서는 제공자 중심으로 제작되어 납세자의 이해를 저하시키고 납세라는 부정적 경험으로 시민들에게 인식되고 있다. 이에 이미 몇몇 지자체에서는 이러한 지방세 고지서를 개선시키고자 고지서 리디자인을 실행하였으나 아직 그 효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개선방안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개선작업을 진행하였다. 고지서의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고 납부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납부확인란을 추가하였다. 또한 세목별과 기분별로 구분될 수 있도록 차별화를 진행하였으며 납세자의 이해도 증진과 가독성 확보를 위해 레이아웃을 재배치하였다. 그리하여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다양한 개선방안을 현실적으로 적용시켜 고지서의 효율적인 개선과 함께 납세자들의 이해와 경험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본 성남시 지방세 고지서 개선작업으로 공공서비스 디자인 혁신을 통한 지역사회의 공익을 추구하고자 하였으며 선진화된 성남시의 이미지 제고에 도움이 될 것으로 믿는다.

OTT 서비스의 모바일 앱 UI 디자인 사용성 연구 - 20대 사용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ability of the OTT Service's Mobile App UI Design - Focused on Users in Their 20s -)

  • 신새미;김태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25-135
    • /
    • 2022
  • OTT 서비스 국내 이용자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의 방송 시스템과 다르게 다양한 방식으로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OTT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들은 보다 자유롭게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서비스 이용률이 증가하고 소비 패턴이 다양해짐에 따라 사용자의 관점에서 유용하고 편리한 UI 디자인과 사용성이 고려되어야 할 테지만, OTT 서비스의 앱 UI 디자인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OTT 플랫폼 사용률 상위 5개 모바일 앱을 대상으로 UI 디자인 구성요소를 비교, 분석하고, 20대 1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통해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OTT 서비스 모바일 앱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가 향후 OTT 모바일 앱의 UI 디자인 및 사용성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셉테드(CPTED)를 이용한 서비스 경험디자인: 위치기반 안전 귀가 보조 어플리케이션 개발 (Service Experience Design Using CPTED: Location-Based Safe Return Home Assistance Application)

  • 정혜경;고장혁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8-53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crime prevention system through th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The research method went through the double diamond process and discovered the user's needs through the persona analysis. The most representative features are the functions that informs users of the safe and optimal route, checks the presence of streetlights or cctvs in real time to update them, and allows people with similar routs to return home together. It is a function to help safe return home with the help of an autonomous method, and a self-defense function to protect themselves. Therefore, the applic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was intended to be of great help when actually returning home by adding these new functions. In particular, we help users to return home most safely by recommending the best safe route. Through the persona analysis, research method which we had chosen, the needs of users were discovered and implemented in a design that reflected those needs and requirements.

Web 기반의 양식장 경영 자동화 Application 개발 (A Client based S/W development for Efficient Nursery Management)

  • 김지은;김정인;정정수;권장우;길경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585-589
    • /
    • 2000
  •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양식 경영 자동화의 표준안은 개인의 경험과 주관적인 판단에 의한 비합리적인 양식장 운영을 개선하여 양식장의 경영 표준안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이 표준안은 실제 양식장들이 전통적으로 일지를 기록하고 있다는 것에 기초하여 제작되었다. 제안하는 표준안은 양식장 관리일지 기입만으로 모든 통계자료와 경영상태 판매시점 예측이 가능하며 정보화가 더딘 어업인을 대상으로 고급메뉴와 초급 메뉴를 차별화 하여 사용상의 어려움을 최소화시키고 조작의 간결성을 더하였다.

  • PDF

실습에 기반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설계 교육 (A Project-Based Embedded Software Design Course)

  • 문정호;박래정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581-587
    • /
    • 2011
  • 이 논문은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설계 과목을 위한 실습 키트 하드웨어와 이 키트를 사용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설계 교육 과정에 대해서 소개한다.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설계 과목은 그 특성상 실습과 한 학기에 걸친 프로젝트 위주로 진행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킬 실습 키트가 꼭 필요하다. 학생들이 하드웨어를 완벽하게 이해하고 소프트웨어 설계 및 개발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맞춤형 실습 키트 하드웨어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학생들은 제작된 실습 키트를 사용하여 디바이스구동 소프트웨어에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까지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전 계층에 걸친 프로그램 설계하고 구현해 봄으로써 보다 수월하게 임베디드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프로그램 개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온라인 졸업전시 웹 사이트 구조와 콘텐츠 분석 2020년 국내 시각디자인 전공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Website Structures and Content Types of Online Graduation Exhibitions For 2020 domestic Visual Communication Design major cases)

  • 유윤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99-106
    • /
    • 2021
  •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으로 가속화된 온라인 전시의 보급은 그동안 오프라인 전시에서 다루지 않던 가능성과 논점을 제시한다. 디자인전공생들의 졸업 전시는 기능적, 심미적 탐구가 왕성하게 실천되는 장으로서 자급형 온라인 전시의 현재를 이해하고 가능성을 모색하는 대상으로 삼을만하다. 이 연구는 2020년 온라인으로 졸업전시를 개최한 국내 시각디자인 전공의 웹 사이트 15곳을 분석하여 대학별 전시의 특징을 분석한다. 도착-검색-감상-소통의 단계로 구분하여 평가하고 시사점을 제시한다. 1) 웹 사이트 구조를 이용한 전시 정체성 수립, 2) 작품과 참가자 검색 경로의 다각화, 3) 상세 페이지의 자유도와 다양성 보장, 4) 관객 소통을 유도하고 개인화할 수 있는 기능 개발이다.

간편송금 서비스 간소화에 따른 사용자의 불안감 해소방안 연구 (A Study on Ways to Relieve User's Anxiety Caused by Simplification of Easy Money Transfer Service)

  • 김소영;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293-299
    • /
    • 2022
  • 본 연구는 간편송금 서비스의 간소화에 따른 사용자의 불안감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기술의 발전으로 금융 서비스는 점차 간소화되고 있지만, 오히려 사용자의 불안감은 증가하는 캐즘(chasm)이 발생한다. 연구 방법은 1차로 사용자의 기술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제시한 통합기술수용모형(UTAUT)의 요인을 기반으로 설문을 통해 서비스에 관한 인식과 기술 수용 의지를 알아보았다. 2차로 휴리스틱 방법론을 통해 도출한 송금 상황의 실시간 추적기능(tracking)을 제시한 후, 신뢰도와 이용 지속 의도에 관하여 심층 인터뷰하였다. 실험 결과 명확한 피드백의 제공은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불안감 해소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 수용의 캐즘과 관련해 디자인의 관점으로 접근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기록정보서비스를 위한 메신저 기반의 챗봇 프로토 타입 개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Prototype Chatbot Based on Messenger App for Archival Reference Services: With Focus on the Archives & Records Center of Myongji University)

  • 이창희;이해영;김인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15-244
    • /
    • 2018
  • 기록관의 역할이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기록의 중요성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는 잠재적 이용자가 많다. 이 연구에서는 이용자에 대한 기록정보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록관과 이용자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챗봇을 개발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챗봇의 구체적인 개발 절차와 방법을 살펴보고, 명지대학교 대학사 료실을 사례로 이용자 요구 및 질의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챗봇 개발을 위한 논리적 구조 설계를 진행하였다. 이어 IBM Watson Conversation과 카카오톡 메신저를 통해 챗봇을 구축한 뒤, 시험 실행(Pilot run) 과정을 통해 챗봇과 이용자의 상호작용 과정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기록정보서비스 챗봇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챗봇 도입을 위한 수준 결정, 이용자 요구 분석, 챗봇 구축을 위한 도구 선정, 대화식 상호작용을 위한 구문 설정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스마트폰의 홈 화면구조에 따른 효율적 UI 방안 모색 (An Examination of an Efficient UI of Smartphone Home Screen Structure)

  • 최진해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37-446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draw an efficient UI design by comparing the usability of App drawer and single-layered home screens, which are smartphone home screens. Background: Because smartphone home screen is frequently used including the installation, deletion, and editing of APPs, it should be designed with easily controllable information structure. There is a need to seek a user-friendly UI by comparing the usability of App drawer and single-layered home screens, of which methods to search Apps are different. There is also a need to examine an efficient UI and the factors to improve from the user perspective. Method: This study targeted 30 Android OS and iOS users to evaluate the App drawer and single-layered home screens, of which UI structures are different. Each participant was instructed to carry out an App searching task and App deleting task, and the execution time and the number of errors were measured. After the tasks were completed, they evaluated satisfaction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In the App searching task with low task level, there was no difference in execution level between the App drawer and single-layered home screens. However, the single-layered home screen showed higher efficiency and accuracy in the App deleting task with high task level. As for the group difference according to use experien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satisfaction among Android OS users, but iOS user satisfaction with single-layered home screen with which they were familiar was higher. Conclusion: As for home screen usability, the single-layered home screen UI structure can be advantageous, as task level is higher. Repulsion was higher, when users, who had used easier UI, used complex UI in comparison with user satisfaction, when users familiar with complex UI used easier UI. A UI indicating the current status with clear label marking through a task flow chart-based analysis, and a UI in which a user can immediately recognize by exposing hidden functions to the first depth were revealed as things to improve.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reference data in designing smartphone home screens. Especially, when iOS users use Android OS, the results are presumed to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predicted barri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