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 Experience Evaluation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3초

지식정보자원시스템 이용자 경험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ser Experience Indicators for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 System)

  • 전정현;이지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09-23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경험의 관점에서 지식정보자원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한 이용자 경험 지표를 개발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이용자 경험요인을 검증하고 지표로 개발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사전조사 158명, 본 조사 480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행결과 총 7개 경험요인, 37개 세부 경험요인, 105개 시스템 지각요인이 최종 지식정보자원시스템 이용자 경험 지표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이용자 경험 지표는 지식정보자원시스템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이용자 경험 정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검증된 평가지표로서 활용하여 각 경험요인에 대한 단순 비교가 아닌 상관관계가 반영된 실효성 있는 평가를 진행해 볼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박물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f the Framework for User Experience in Museum Mobile Applications)

  • 린정;서종환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1호
    • /
    • pp.62-76
    • /
    • 2023
  • 사용자가 경험할 수 있는 차원이나 경험 요소들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박물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경험을 디자인할 때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논문은 박물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과 관련된 경험에 대한 일련의 실험연구와 분석을 통하여 4가지 차원과 19가지 요소로 구성된 박물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프레임워크를 도출하고, 타당성도 검증하였다. 연구에 의하면 이들 4가지 사용자 경험 차원은 모두 애플리케이션 사용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각 차원의 미치는 영향 정도는 각기 달랐다. 본 논문의 실험에서는 4가지 차원 중 사용감성과 사용편의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사용유용성과 기능다양성은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실험 결과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경험이 사용자의 향후 추천이나 지속 사용의도, 또는 박물관의 실제 관람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상현실 주거공간을 위한 사용자경험 평가 방법 (The Method of User Experience Evaluation for Virtual Living Space)

  • 김미선;백희원;서혜란;고일주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795-806
    • /
    • 2017
  • 본 논문은 가상현실 주거공간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경험 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한 시뮬레이션에 제안한 사용자경험 평가 요인을 적용하여 사용자경험을 측정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사용자평가 방법론은 기존 사용자평가 방법론에 기반하되, 가상현실 주거공간의 특성에 맞도록 사용 경험과 평가 요인을 변경하여 수립하였다.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한 가상현실 주거공간 시뮬레이션은 실제 사용자가 현실감을 느낄 수 있도록 실제 공간과 유사하게 구성하였고, 사용자들이 현실에서 사용하는 오브젝트들을 각 공간에 배치하였다. 실험 대상자들은 주어진 시나리오대로 작업을 수행한 뒤, 시뮬레이션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 결과 시뮬레이션의 주요 목표인 사용자에게 현실감을 느끼게 하는 항목이 예상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추후 시뮬레이션은 현실감을 높이는 요소의 추가하거나 확장하는 방식으로 수정 방향을 설정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렇게 본 논문에서 제안한 UX평가 방법은 콘텐츠 개발자 또는 디자이너에게 가상현실 주거공간에서 사용자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는, 보다 객관적인 지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스마트안전 리빙랩에서의 스마트 조명 사용자경험 평가 (Evaluation of Smart Lighting User Experience in Smart Safety Living Lab)

  • 조은지;류도현;김광재;이기현;윤정민;조정현;전광식;이지연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679-700
    • /
    • 2022
  • Purpose: Smart lighting adjusts brightness and color temperature according to weather, the user's activity, mood, etc. This study performed user experience(UX) evaluation of smart lighting in a living lab. The purpose of evaluating UX and analyzing the evaluation results is to improve user-friendliness and market competitiveness of smart lighting Methods: A living lab is a virtual or physical space where various stakeholders participate to develop, verify, and evaluate products, services, or systems in a real-life environment. In this study, an environment of using smart lighting was established in the Smart Safety Living Lab. Subjects performed UX evaluation after interacting freely with smart lighting in the Smart Safety Living Lab. Results: As a result of UX evaluation, it was confirmed that UX was overall excellent and subjects were satisfied with setting a desired indoor mood through smart lighting. However, operating the switch of smart lighting may be difficult due to its complexity, and it is needed to improve some functionalities such as the brightness range provided by smart lighting. Conclus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way of UX improvement of smart lighting. This study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ing smart lighting as a high-quality product by reflecting the subjects' needs and UX derived in a real-life environment.

메타버스 패션쇼 이용자 경험 평가에 관한 근거 이론 연구 - 번 슈미트의 체험 마케팅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User Experience of Metaverse Fashion Shows Based on Grounded Theory - Focusing on Schmitt's Experiential Marketing -)

  • 이민지;이정민;신은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78-592
    • /
    • 2023
  • This study identified and evaluated by deriving and categorizing concepts related to the user experience of metaverse fashion shows using grounded theory,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ased on experiential marketing theor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14 days with 14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and 30s. The research results and contents are as follows: The causal condition was the purpose of using metaverse fashion shows, and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y caused by such a case was found to be establishing a system for metaverse fashion shows and promoting a positive brand image. The results included content evaluation of satisfaction, normal, or dissatisfaction. The contextual condition was a change in the form of consumption that emphasized experience, while the interventional condition was psychological distance. Based on this, the core category was defined as "consumption patterns that emphasized the purpose of use and experience affects the metaverse fashion shows and psychological distance appeared as a user experience evalu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of metaverse fashion shows and the promotion of a positive brand image". User types were classified as active or passive. Active users have the autonomy to select content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preferences, and accordingly, their experience preference tends to change. In contrast, passive users' preference for the technical quality of content is relatively low, but they have a high concentration of content diversity and audio-visual interest elements.

제품 사용 기간을 반영한 기계학습 기반 사용자 평가 변화 예측 모델 (Machine Learning-based model for predicting changes in user evaluation reflecting the period of the product)

  • 부현경;김남규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91-107
    • /
    • 2023
  • With the recent expansion of the commerce ecosystem, a large number of user evaluations have been produced. Accordingly, attempts to create business insights using user evaluation data have been actively made. However, since user evaluation can change after the user experiences the produc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analysis based only on reviews immediately after purchase fully reflects the user's evaluation of the product. Moreover, studies conducted so far on user evaluation have overlooked the fact that the length of time a user has used a product can affect the user's product evalu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build a model that predicts the direction of change in the user's rating after use from the user's rating and reviews immediately after purchase. In particular, the proposed model reflects the product's period of use in predicting the change direction of the star rating. However, since the posterior information on the duration of product use cannot be used as input in the inference process, we propose a structure that utilizes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s period of use using an auxiliary classifier. As a result of an experiment using 599,889 user evaluation data collected from the shopping platform 'N' company, we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odel performed better than the existing model in terms of accuracy.

Research and Design of Functional Requirements of Shared Electric Bicycle App Based on User Experience

  • Xiangqin Zhao;Bin Wang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9권2호
    • /
    • pp.219-231
    • /
    • 2023
  • Intelligent applications are crucial for increasing the popularity of shared urban electric bicycles (EBs). Building an application platform architectural system that can satisfy independent user operations is critical for increasing the intelligent usage of shared EBs. Consequently, we collected online reviews of shared EB applications, conducted semantic processing and sentiment analysis, and refined the positive and negative review data for each function. The positive and negative review indices of each function were calculated using the formulae for positive and negative review indices of product functions, thereby determining the functions that need to be improved. Each function of the Shared EB application was improved according to its business process. The main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to build a user requirement architecture system for the Shared EB application with five dimensions and 22 functions using the Delphi method to design the user interface (UI) of this application based on user satisfaction evaluation results; to create a high-fidelity dynamic interaction prototype and compare user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improving the Shared EB application functions. The testing results indicate that the changes in the UI significantly improve the user experience satisfaction of the urban Shared EB application, with the positive experience index increasing by 69.21% and the negative experience index decreasing by 75.85% overall. This information can be directly used by relevant companies to improve the functions of the Shared EB application.

스마트안전 리빙랩 환경에서의 사용자경험 평가를 위한 방법론 개발 (Development of a User Experience Evaluation Methodology for Smart Safety Living Lab)

  • 최재림;류도현;김광재;윤정민;김민선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27-143
    • /
    • 2021
  • Purpose: Smart Safety Living Lab is a Living Lab facility, constructed and operated by KITECH in Korea, to support the user experience(UX) evaluation, planning and certification of smart safety products and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UX evaluation methodology that accommod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Lab and smart safety products and services for a systematic and efficient UX evaluation in the Smart Safety Living Lab. Methods: A generic model of UX evaluation was first derived based on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Then, the generic model is revised to accommod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art Safety Living Lab and smart safety products and services, resulting in the UX Evaluation Methodology for Smart Safety Living Lab (SSLL-UXEM). Results: The developed SSLL-UXEM consists of a structured process for UX evaluation, a guideline for conducting each step of the process, and a set of forms for recording the major evaluation results in each step. Conclusion: SSLL-UXEM can help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UX evaluation process and the consistency of the UX evaluation results. SSLL-UXEM is also expected to serve as a basis for UX evaluation in various living lab environments in the future.

사이버가정학습 진단처방학습관리시스템 사용성 평가 및 학습 경험 개선 방향 도출 (Learning Diagnosis & Prescription Service in Cyber Home Learning System : Improvements on User Experience by doing Usability Evaluation)

  • 차현진;안미리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876-883
    • /
    • 2009
  • 진단 처방학습관리시스템은 차세대 개인화 교육 서비스 모델 중 하나로써, 단순한 이러닝 활용학습에서 벗어나 학생의 학력 및 학습 습관을 진단하고 처방하는 차세대 학습관리 시스템이다. 학생의 학업성취 진단결과에 따라 맞춤형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개별화된 조언과 학습전략을 제시하여 학습습관을 관리하는 등의 개인화 서비스가 가능한 시스템이다. 최근 기술적으로 구현 가능한 차세대 교육 서비스 모델개발을 위한 가시적인 노력은 있지만 아직까지 효율적이고 효과적이면서도 사용경험의 극대화를 고려한 시스템의 사용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사용성 평가는 Silius와 Tervakari(2002)의 웹사이트의 사용성에 대한 평가와 교육 시스템의 교육적 사용성 평가 도구가 있으며, 서영석(2007)의 교육적 사용성 고려한 웹기반 학습 사이트에 특화된 사용성 평가를 위한 전문가용 도구가 있다. 본 연구는 향후 전국적으로 도입될 가능성 있는 진단처방학습관리시스템의 교육적 사용성 평가를 위해 교육적 사용성 영역에 따라 개발된 전문가용 도구를 활용한 전문가 평가, 사용자를 통한 사용성 평가, 교사 및 담당 교육 연구사 인터뷰를 통한 문제점을 진단을 바탕으로 개선 방안을 연구하였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교육용 시스템은 효과성만을 강조하여 평가해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학생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과정에서의 사용 경험과 개인적 가치에 대해 조사하여 학생들의 교육적 효과성 뿐 아니라 사용자 중심의 사용 경험 극대화를 추구하는 관점에서 평가하고 그 개선점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 PDF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의 사용경험 비교 연구: 시리, 구글어시스턴트, 빅스비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the Use of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Services Experiences: Siri, Google Assistant, Bixby)

  • 유초롱;김송현;김진우
    • 감성과학
    • /
    • 제23권1호
    • /
    • pp.69-78
    • /
    • 2020
  • 본 연구는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의 사용 경험을 HCI의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비교·분석하여 사용 경험의 긍정적인 요소와 개선되어야 할 요소를 탐색하고자 한다. 현 시장에서 점유율이 가장 높은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인 애플의 시리, 구글의 구글어시스턴트, 삼성의 빅스비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1차로 문헌 연구를 통하여 현 서비스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비교·분석하였고 2차로 약 2주간 UI/UX 디자인 전문가 7명을 대상으로 맥락질문법을 활용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는 피터 모빌(Peter Morville)의 사용자 경험 허니콤(user experience honeycomb) 7가지 사용성 원칙을 5가지로 재구성하여 유용성, 편의성, 시각적 매력성, 신뢰성, 만족도에 대한 질문을 진행하였다. 이후 재구성한 사용성 원칙 내용을 바탕으로 평가 rating 및 시스템 사용성 척도 (SUS) 를 바탕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개인비서 서비스의 사용경험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