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thod of User Experience Evaluation for Virtual Living Space

가상현실 주거공간을 위한 사용자경험 평가 방법

  • Received : 2017.09.26
  • Accepted : 2017.10.23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In this paper, we propose a user experience evaluation method for virtual reality living space contents and apply it to prototype simulations to measure user experience. The user evaluation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is based on the existing user evaluation methodology, but it is established by changing the experience and evaluation factors to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rtual reality living space. The generated virtual reality living space simulation is configured similar to real space and is placed real objects that the user actually uses in each space, so that users can feel reality. The subjects performed the tasks according to the given scenarios and then evaluated the simulation.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the main goal of the simulation, the items that make the users feel realistic, were lower than our expectations. This means that future simulations need to be modified in a way that adds or expands elements that enhance the realism. In this way, the UX evaluation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is expected to provide a more objective indicator to the content developer or designer in order to grasp the user's demand in the virtual reality living space.

본 논문은 가상현실 주거공간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경험 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한 시뮬레이션에 제안한 사용자경험 평가 요인을 적용하여 사용자경험을 측정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사용자평가 방법론은 기존 사용자평가 방법론에 기반하되, 가상현실 주거공간의 특성에 맞도록 사용 경험과 평가 요인을 변경하여 수립하였다.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한 가상현실 주거공간 시뮬레이션은 실제 사용자가 현실감을 느낄 수 있도록 실제 공간과 유사하게 구성하였고, 사용자들이 현실에서 사용하는 오브젝트들을 각 공간에 배치하였다. 실험 대상자들은 주어진 시나리오대로 작업을 수행한 뒤, 시뮬레이션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 결과 시뮬레이션의 주요 목표인 사용자에게 현실감을 느끼게 하는 항목이 예상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추후 시뮬레이션은 현실감을 높이는 요소의 추가하거나 확장하는 방식으로 수정 방향을 설정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렇게 본 논문에서 제안한 UX평가 방법은 콘텐츠 개발자 또는 디자이너에게 가상현실 주거공간에서 사용자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는, 보다 객관적인 지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Cited by

  1. User Experience in VR Fashion Product Shopping: Focusing on Tangible Interactions vol.11, pp.13, 2017, https://doi.org/10.3390/app11136170
  2. Digital Restoration research using GPS-based mobile augmented reality :Focusing on Seosomun Park vol.22, pp.11, 2017, https://doi.org/10.9728/dcs.2021.22.11.1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