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inundation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2초

도시배수체계와 연계한 내수침수모형의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Inundation Modeling with Urban Flooding Caused by the Surcharge of Storm Sewers)

  • 김지성;한건연;이창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12호
    • /
    • pp.1013-1022
    • /
    • 2006
  • 도시지역에의 내수침수는 주로 우수관로 배수체계의 통수능력 부족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도시침수에 대한 국내외 연구가 우수관로해석에 국한되어왔다. 하지만 우수관로시스템 해석을 통해서 배수능이 부족한 관거를 찾는 것만으로 침수방지대책을 세우는 것은 매우 근사적이고 비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침수양상에 대한 정확하고 합리적인 해를 도출하기 위하여 ILLUDAS를 이용한 관로시스템 해석과 2차원 지표류 계산모형을 연계한 침수해석 모형을 개발하였고, 2001년 7월 서울지역의 집중호우 사상에 대한 적용결과로 해석결과를 검증하였다. 표고차가 적은 도시유역에서 침수모의를 위해서는 2차원적 홍수전파양상을 반드시 고려해야 침수범위, 침수위 등에 대한 정확한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도시 홍수 예경보와 침수지도 작성 등의 도시치수 및 방재계획 수립에 실제적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침수지도 영상의 침수심 추출기법을 활용한 내수 침수 위험지도 작성 (Mapping Urban Inundation Using Flood Depth Extraction from Flood Map Image)

  • 나서현;이수원;김주원;변성준
    • 한국수처리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33-142
    • /
    • 2018
  • Increasing localized torrential rainfall caused by abnormal climate are making higher damage to human and property through urban inundation So The need of preventive measures is being highlighted. In this study, the methodology for calculating flood depth in domestic water map using an interpolation method in order to utilizing the results of flood analysis provided only in the form of a report is suggested. In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S area as the test-bed, the flood depth was calculated using the interpolating the actual flood analysis by image and verification was performed. Verific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error rate was 5.2% for the maximum flooding depth, and that the water depth value was compared to 10 random points, which showed a difference of less than 0.030 m. Also, as the results of the flood analysis were presented in various ways, the flood depth was extracted from the image of the result of the flood analysis, which changed the presentation method, and then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vailable for the use of basic data from the research on the urban penetration of domestic consumption and for decision-making of policy.

H12 모형을 이용한 도시침수원인 및 침수방어벽의 효과 분석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urban inundation and the impact assessment of the flood barrier using H12 model)

  • 김보미;노성진;이승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5호
    • /
    • pp.345-356
    • /
    • 2022
  • 2020년 7월 30일 대전광역시 서구 A 아파트에서 새벽에 발생한 집중호우로 차량 78대와 아파트 2개 동이 침수되어, 사망 1명, 이재민 56명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 관거-2차원 지표 흐름(1D-2D) 통합 해석 모형인 H12 모형과 고해상도 지표면 자료를 이용하여 침수 사상을 재현하고, 원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침수 재해 발생 이후 A 아파트 주위에 설치된 침수방어벽의 침수 방어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좁고 가파른 유역형상, 주변 대비 고도가 낮은 대상 지역의 지형적 요인과 폭우로 인해 상류로부터 급속히 발생한 유출이 하류 저지대에서 배수되지 못해 발생한 침수 재해로 분석되었다. 침수방어벽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고해상도 지표면 입력자료를 변경하여 침수방어벽 설치 전후를 모의하여 비교한 결과, 설치 후 A 아파트 단지 내 침수 수위가 낮아져 홍수 저감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초고해상도 물리 기반 모형을 이용한 침수 원인 분석 및 저감 대책의 정량적 평가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GIS를 이용한 도시지역 돌발홍수 침수예상지도 작성 및 대피강우기준 개발 (Mapping Inundation Areas by Flash Flood and Developing Rainfall Standards for Evacuation in Urban Settings)

  • 신상영;여창건;백창현;김윤종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71-80
    • /
    • 2005
  • 본 연구는 XP-SWMM 모형과 GIS 기법을 이용하여 도시지역인 사당동 지역의 국지성 돌발홍수를 사례로 강우단계에 따른 내수침수상황을 모의하여 침수예상지역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대피 강우기준을 개발하였다. 사당천의 배수영향을 크게 받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배수관망해석시 사당천 좌안 기점수위를 지정, 경계, 위험 홍수위 및 만수위로 입력한 후 각 수위에 대하여 강우를 단계별로 적용하여 침수예상지역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침수예상지도를 작성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사당동지역의 경우 대피강우기준을 2단계인 준비 및 경계강우(40mn.hr), 대피강우(65mm/hr)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침수예상지도 작성 및 대피강우기준 개발 방법론을 응용함으로써 도시지역 침수피해에 대비한 합리적인 방재대책 및 침수피해 최소화를 위한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Fuzzy AHP 기법을 이용한 도시지역의 내수침수위험도 평가 (Evaluation of Inland Inundation Risk in Urban Area using Fuzzy AHP)

  • 신지예;박예준;김태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9호
    • /
    • pp.789-799
    • /
    • 2014
  • 본 연구는 도시지역의 내수침수 특성을 고려한 내수침수위험도 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의사결정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반영하기 위하여 Fuzzy AHP 기법을 활용하였다. 내수침수 위험도의 평가기준으로는 물리적 지표, 사회적 지표, 그리고 내수침수 시나리오 결과 등 세 가지로 구성하였다. 각각의 평가기준은 3개의 세부평가항목을 가지고 있어 총 9가지의 평가항목을 바탕으로 내수침수 위험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행정구역 단위가 아닌 배수시스템의 노드(맨홀)를 기준으로 침수위험도를 분석하여 침수위험도가 높은 지점을 상세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인 부산시 거제지구에 Fuzzy AHP 기법을 적용한 결과, 온천천 거제천 합류부 저지대의 침수위험도가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과거 피해이력과 일치하는 것이다. Fuzzy AHP 기법을 적용한 본 연구결과는 내수침수 위험도 산정 및 고위험도 지역의 내수침수 저감계획 수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유역에서의 방재성능목표 적용과 침수원인 분석 (Analysis of Inundation Causes in Urban Area based on Application of Prevention Performance Objectives)

  • 김종섭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6-2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유역의 2차원 침수해석 등의 정량적 분석이 가능한 XP-SWMM(Stormwater & Wastewater Management Model) 모형을 통해 도시방재성능 목표를 적용하여 도시지역의 침수피해 원인 분석 및 해소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상지역의 유역 및 우수관거, 지형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DTM(Digital Terrain Model) 및 우수관망을 구축하여 입력자료로 활용하였으며, 대상유역의 현재 도시방재성능을 평가하였다. 대상유역의 침수피해 원인을 검토한 결과, 우수관거의 통수능 부족으로 인한 1차 침수피해가 발생하였으며, 또한 방류구와 인접한 하천의 외수위 상승에 따른 내수배제 불량에 의해 침수피해가 가중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침수피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통수능이 부족한 관거의 개량 및 유역 특성을 고려한 방수로 신설 등의 저감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적응적 분할격자 기반 2차원 침수해석모형 K-Flood의 개발 (Development of 2D inundation model based on adaptive cut cell mesh (K-Flood))

  • 안현욱;정안철;김연수;노준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10호
    • /
    • pp.853-86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적응적 분할격자기반 2차원 침수해석모형 K-Flood를 개발하였다. 분할격자기법은 흐름 특성을 기반으로 격자를 분할하여 흐름영역과 비흐름영역으로 구분하는 격자생성기법이며, 분할격자기법과 격자세분화기법을 동시에 활용하면 매우 적은 수의 격자로 복잡한 형상의 흐름영역을 표현할 수 있어 효율적인 모의가 가능하다. 특히 최근 도시홍수에 대해 매우 정밀한 해상도의 자료와 격자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침수해석 또는 예보를 하고자 하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으며, K-Flood는 이러한 복잡한 흐름영역의 계산 시 적응적 분할격자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격자생성이 가능하다. 공간 및 시간에 대해 2차 정확도의 유한체적 수치해법이 적용되었다. K-Flood의 검증을 위해 2차원 침수해석모형의 검증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1) 원형 실린더에 의한 충격파 반사 모의, 2) 도시홍수실험 모의, 3) Malpasset 댐붕괴 모의를 수행하였다. 모든 모의에서 관측자료 및 과거의 모의결과와 비교하여 성공적으로 K-Flood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침수가 도시교통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 예측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technology to predict the impact of urban inundation due to climate change on urban transportation networks)

  • 정세진;허다솜;김병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12호
    • /
    • pp.1091-1104
    • /
    • 2022
  • 기후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강우의 빈도와 강도를 증가 시킬 것으로 예측되며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도시 지역의 내수 침수 피해로 양상이 바뀌고 있다. 이에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평가는 도시계획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언급되고 있으며, 세계기상기구(WMO)는 기상 현상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사회, 경제적 영향을 고려하는 영향예보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교통에 있어서 도시침수로 인한 교통 시스템의 성능 저하는 사회에 가장 해로운 요소이며 영향을 받는 주요 도로마다 시간당 £ 100k 정도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현재 기상재해의 발생에 대한 정확한 예보 및 특보를 제공해도 그 영향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홍수의 침수심을 제시하고 차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피해에 대처하기 위해 각 지역의 고해상도 분석 및 수문학적 요인을 반영하고, 강우로 인한 홍수 정도와 차량 운행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강우-침수심-차량속도의 산정식을 간단한 선형회귀식이 아닌 다양한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또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강우-침수심-차량속도 산정식에 적용하여 집중호우 시 도시하천의 침수를 예측하고 미래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한 도로 침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교통 네트워크의 장애를 평가하며, 도시 교통흐름 계획에 이용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1D-2D 통합 도시 침수 해석 모형을 이용한 침수 원인 분석에 관한 연구 (Simulation and analysis of urban inundation using the integrated 1D-2D urban flood model)

  • 이승수;노성진;장철희;이동섭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0권4호
    • /
    • pp.263-275
    • /
    • 2017
  • 고정확도의 도시침수 모의를 위해서는 물리적 개념에 기반한 통합적 수치해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Lee et al. (2015)이 개발한 1차원 하수관망, 2차원 범람 모형의 국내 적용성을 검토하고, 과거 도시 홍수 사상의 침수 원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모형은 이중배수 개념에 기반하여 멘홀 대신 집수구를 지표면과 하수관망 사이의 교환유량 산정 지점으로 이용하므로 보다 실제와 유사하게 침수 과정을 모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표면 범람 해석시 건물에 의한 차단 효과를 고려할 수 있다. 개발된 모형의 적용성은 서울 사당 유역에서 발생한 침수 사상에 대해서 재현 모의를 통해 검증하였다. 적용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은 실제 침수 피해 영역을 실제와 유사하게 모의 하였을 뿐만 아니라 침수 원인을 보다 자세히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을 보여주었다.

건물 및 우수 배제를 고려한 시가지 범람해석 (Urban Flood Simulation Considering Building and Sewer Lines)

  • 강상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3B호
    • /
    • pp.213-219
    • /
    • 2009
  • 밀집도시에서 하수도, 건물, 제방 등과 같은 형상은 흐름이나 범람류의 전파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러한 요소들은 도시지역의 범람 모델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지역의 2차원 범람모형은 현재 홍수범람 분야에서 가장 중요하게 적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모델은 지형적인 부정확한 변수 및 부정확하고 불충분한 자료 때문에 매우 제한적인 모델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가지 침수심을 모의 계산하기 위해 유역 유출 모형, 2차원 시가지 모형 그리고 하수도 모형을 통합하여 2002년 침수피해를 입은 바 있는 삼척지역에 적용하여 건물 및 배수 펌프용량이 침수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침수심은 배수용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또한 0.2-0.6 범위의 건물 점유율에 대한 침수심은 약 20-30 cm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