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identity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8초

신도시의 경쟁력 모형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New Town Competitiveness Model)

  • 김동윤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39-51
    • /
    • 2012
  •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both the mechanism of new town's competitiveness and its normative pursuit. For the purpose the study steps as follows; (1) Defining operationally cities' competitive power by means of analytic interpretation of substantial nature involved in the preceding studies, (2) Finding some lessons for the desirable development suggested from the history of new town construction in England, France and Japan, where the spatial needs for solving urban problems were exploded after the Second World War, (3) Focusing to agendas regarding development, for example, sustainable development, (4) Recognizing differences between competitiveness of cities and that of new towns and finally (5) Building the model of new town competitiveness, which explains what makes the competitiveness and what kind of effort are necessary for acquiring the advantage. As the result of the proces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competitiveness is caused by, or composed of 4 factors. They are Self-sufficiency, Identity, Innovativeness and Sustainability. This frame can be named SIIS-model of new town competitiveness. But there should be contingent and elastic approach in adaptation of these factors to a specific new town, considering its own goal, scale and other situation. The model establish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analytical frame for the follow-up studies on finding problems and seeking directions of new town development in our country.

An ID-based Broadcast Encryption Scheme for Cloud-network Integration in Smart Grid

  • Niu, Shufen;Fang, Lizhi;Song, Mi;Yu, Fei;Han, So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9호
    • /
    • pp.3365-3383
    • /
    • 2021
  • The rapid growth of data has successfully promoted the development of moder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which are used to process data generated by public urban departments and citizens in modern cities. In specific application areas where the ciphertext of messages generated by different users' needs to be transmitted, the concept of broadcast encryption is important. It can not only improv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but also reduce the cost. However, the existing schemes cannot entirely ensure the privacy of receivers and dynamically adjust the user authorization. To mitigate these deficiencies, we propose an efficient, secure identity-based broadcast encryption scheme that achieves direct revocation and receiver anonymity, along with the analysis of smart grid solutions. Moreover, we constructed a security model to ensure wireless data transmission under cloud computing and internet of things integrated devices. The achieved results reveal that the proposed scheme is semantically secure in the random oracle model.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is evaluated through theoretical analysis and numerical experiments.

캐나다 스트랫포드의 문화산업 클러스터: 셰익스피어 축제를 중심으로 (Governance of the Shakespearian Festival of Canada: the Industrial Cluster Approach)

  • 신동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63-280
    • /
    • 2007
  • 최근 세계 여러 나라에서 문화 예술 활동의 진흥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지역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한편, 주민들의 삶의 질을 제고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선진 공업국들은 제조업의 침체로 인해 도시경제가 쇠퇴하고, 도시기반시설이 노후화, 혹은 유휴화되는 상황에 직면하여 문화활동을 진흥하여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취급하고자 하는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스트랫포드는 제조업의 침체에 대비하여 이미 1953년부터 셰익스피어 작품을 소재로 매년 연극축제를 개최하여 북미 최고 수준의 극단을 보유하고 연간 약 60만 명의 관객과 200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게 되었다. 스트랫포드 시는 또한 이 사업을 통해 북미 전체, 혹은 세계적으로 알려졌고, 문화산업 클러스터를 형성하여 지역경제도 활성화시켰다. 본 연구는 스트랫포드의 이러한 성공 사례를 분석하여 한국의 문화산업 정책에 시사하는 바를 도출하는 한편, 문화 예술 활동의 활성화 과정을 유도하는 혁신주체는 무엇인지, 그들간의 관계는 어떻게 설정되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 PDF

도시공간의 특성 및 이질적 이미지 분석 -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 (Analysis of Characteristic and Disparate Image of Urban Space -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

  • 홍지수;김종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6호
    • /
    • pp.1077-1085
    • /
    • 2017
  • 도시공간은 거주민들의 행동과 체험, 생활방식 등을 나타내는 장소이며, 지역적 속성과 자산과의 조화에 의해 그 도시만의 고유하고 독특한 이미지가 반영된 공간을 창출한다. 따라서 도시의 발전을 위해서는 각 공간이 가진 차이에 의해 생성되는 그 공간만이 가진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간이 가진 이질성의 측면에 착안하여 도시공간별 특성을 밝혀내고, 공간의 이질적 이미지에 대한 심리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산시의 14가지 유형의 도시공간의 이미지 특성은 공간별로 차이가 나타났으며, 크게 자연성-인위성, 동적공간-정적공간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개인의 선호군집을 살펴보면 사람들은 자연성, 개방성, 완만한 경사의 비교적 정적인 공간에서 긍정적인 이미지가 높게 나타났다.

주거지내 상업화 발생영역에서 군집형성현상과 영향요인 연구 - 가로수길을 대상으로 - (Commercial Cluster Characteristics in Residential District Focusing on Garosu Street)

  • 홍하연;구자훈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6권2호
    • /
    • pp.57-77
    • /
    • 2016
  • 본 연구는 주거지 내 상업화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가로수길을 대상으로 제인제이콥스의 활성화 가로 요인을 적용하여 활성화 요인들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동질성을 갖는 특성들끼리 군집을 이루고 있는 유형을 분류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가로수길은 의류 및 잡화 등 패션가로의 주된 장소성 기능이 집중되어 특색있는 가로를 형성하고 있었고, 주변 식음용도의 상점들이 그 기능을 받쳐주는 요인이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건축면적 외 공지의 활용여부를 보면, 메인가로는 쇼윈도 진열 및 상품의 적재가 이루어지고 내부의 음식점 및 카페는 테라스형 좌석 조성, 그리고 간선도로변은 보행공간으로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간선가로와 메인가로는 물판 위주 및 통과공간으로서의 기능이 강화되고 휴식을 취하거나 체류할 수 있는 공간은 내부 블록에서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가로수길 내에서 건축물의 신축과 공실이 이어지는 소모적인 현상은 도심공동화와 가로가 가지는 자체의 정체성을 상실하는 주거환경의 부정적인 효과로 이어질 수 있어서 주거민과 상인이 협력하여 발전시킬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도시한옥의 적응적 재생 모델시안 연구 -청주 서운동의 노인계층을 위한 모델링 사례를 통하여- (The Tentative Plans of Adaptive Reuse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Han ok) in Urban Area : Focusing on the Elderly Housing in Seoun-dong, Cheongju)

  • 김태영;김은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57-65
    • /
    • 2016
  • When the castle of the city was destructed from 1911 through 1915 in Cheongju, the city's spatial structure was reorganized and "Han-ok Housing", a dwelling site filled with Korean traditional houses, was newly formed around the former castle site. These days, the Han-ok housing in Seoun-dong, Cheongju in which elderly couples and senior citizens live is enclosed by modernized roads and three or four-story buildings, leaving the housing as an isolated island in the city block. Nonetheless, the Han-ok housing not only plays an important role in sustaining the historic and local identity of the city, but also offers environmental benefits in terms of daylighting and venti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organize the housing suitable for those who currently live and recreate it by adding new functionality. Consequently, three strategies are established; the conservation of existing building through the improvement of existing facilities; the conversion of vacant buildings into a new use; and the creation of the urban mid-rise Han-ok housing at street sides. The first strategy has a significance in that the traditional building's single wing plan, small room sizes and lack of storages now cause great inconvenience for current life style. The second strategy also promotes the practical use of abandoned buildings through alterations and additions. Finally, the creation of the urban mid-rise Han-ok housing that is accomplished by the combination of reinforced concrete and wooden structure interacts with or respond to the city's development. As a result, this study for the adaptive reuse of Han-ok housing proves how the traditional properties can be maintained in a careful manner and how its creative reuse can be achieved.

부산지역 도시형 어항의 정비방향 - 이해관계자의 정비수요 분석을 중심으로 - (On the Development of Urban Fishing Ports in Busan - Focusing on the Development Demands of Interested Parties -)

  • 서금홍;김재봉;오용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93-501
    • /
    • 2010
  • 부산 해운대구에서 사하구에 이르는 부산의 중심지역에서는 도시화의 진전 속에 어촌은 사실상 소멸하였으며, 인구밀집구역에 둘러싸인 17개 어항들이 주변지역과의 부조화 속에 방치되거나 고립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이러한 도시화지역 내부의 어항은 해양도시로서의 아이덴티티를 부여하는 존재이며 그 활용여부에 따라 어항 자체 뿐 아니라 주변지역의 가치를 고양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사회경제적 자원으로 삼을 수 있다는 것이 필자들의 기본적인 생각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중부산지역의 어항들을 대표적인 '도시형 어항'으로 정의하고, '도시'와 '어항'의 공존과 조화의 방향을 모색코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중부산지역 17개 어항들의 어업생산기반과 주변환경 및 어항정비수요를 조사하고 어업인들과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취합하여 도시와 어항의 조화로운 공존을 위한 도시형 어항정비의 중장기적 방향을 설정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하였다.

생태적 농촌어메니티 기반 주민주도형 농촌마을종합계획 -보은군 회인면 부수권역 '하얀민들레 생태마을'을 중심으로- (Resident-Driven Rural Village Plan Based on Ecological Rural Amenity: Focused on Busu Area, Boeun-gun, South Korea)

  • 반영운;윤중석;우혜미;한경민;백종인
    • 농촌계획
    • /
    • 제16권4호
    • /
    • pp.157-169
    • /
    • 2010
  • This study has intended to devise a comprehensive rural planning, driven by residents based on ecological rural amenity paradigm for Busu area, Boeun-gun, South Korea. To reach the goal, this study has performed the following processes. First, we have analyzed the elements of threat, opportunity, weakness, and strength in both inside and outside village through 'SWOT analysis. Second, through strategic analysis and consultation, we have proposed developmental directions of Busu area. Third, based on an ecological rural amenity planning system composed of ecological economy system, ecological environment system, ecological history-culture system, ecological image system, and ecological society system, we have suggested research projects of each system Fourth, we selected projects through a general meeting with all stakeholders. Fifth, the selected projects were applied to Busu area by village residents and experts. Finally, the projects, which were appraised and revised by experts, residents, and governmental officers, were composed of ecological scenic agriculture center, resident's site for city dweller, energy independent village, eco-road, eco-pond, ecological park and parking lot, restoration of traditional culture, zone of ecological scenic agriculture, eco-tunnel, eco-fence, landmark, corporate identity, community center, forum and seminar, and education for residents' empowerment.

중국 상하이 도시재생 사업의 지속가능성 평가에 관한 연구 (The Evaluation on Sustainability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Shanghai, China)

  • 오덕성;최준성;왕진;이서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627-5635
    • /
    • 2015
  • 본 연구는 현재 중국 상하이 도시재생사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 분석하여 주요 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한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하이 도시재생의 주요 흐름을 확인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지속가능성의 4개 주요 측면(물리 환경, 사회 경제, 역사 문화, 정책 관리)을 설정한다. 또한 상하이에서 진행되고 있는 4개 도시재생사업 사례를 지속가능성의 주요 측면으로 평가 분석하고 주요 전략을 도출한다. 그 결과, 상하이 도시재생사업의 주요 전략으로 복합고밀 토지이용, 대중교통 지향 교통체계, 도심주거 유형의 다양화, 녹색환경개선, 도심문화 산업의 육성 및 문화행사 개최, 도심의 문화적 정체성 강화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시재생사업의 기대효과는 주민의 삶의 질 증대, 사회경제의 지속가능성 확보 및 파급효과 증대, 지역 정체성 확보, 재생 사업 추진의 효율성 증대 및 실현 등이 있다.

(비-)장소로서 도시 기계 공간 -대구 지하철 공간의 기호적 재현에 대한 해석- (Urban Machine Space as (Non-)Place: Interpreting Semiotic Representations of Subway Space in Daegu)

  • 이희상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01-322
    • /
    • 2009
  • 본 논문은 국지적 이동성의 도시 기계 공간인 지하철 공간의 기호적 재현을 공간, 시간, 장소의 의미에서 탐구한다. 제2절은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이동성의 도시 공간의 전반적 특징을 '기계 공간', '(비-)장소', '인지 지도'의 개념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제3절은 대구 지하철 공간에 대한 '공간적' 및 '시간적' 재현의 기호들을 해석하고, 그 기호적 재현의 의미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지하철 공간에 상호 조화적으로 혹은 모순적으로 공존하는 기호 경관들이 그 공간을 다중적, 복합적인 기술-사회 공간으로 생산한다는 것을 밝힌다. 지하철 공간의 공간적-시간적 재현은 한편으로는 '(비-)장소', 다른 한편으로는 '장소'의 공간을 형성하며 또한 한편으로는 '기억', 다른 한편으로는 '망각'의 공간화를 수반한다. 지하철 공간은 사람들이 이동하는 '이동성' 의 공간만이 아니라 기계 및 도시 공간을 바라는 방식에 영향을 주는 '정체성'의 공간으로 생각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