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n the Development of Urban Fishing Ports in Busan - Focusing on the Development Demands of Interested Parties -

부산지역 도시형 어항의 정비방향 - 이해관계자의 정비수요 분석을 중심으로 -

  • Seo, Geum-Hong (Departmen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
  • Kim, Jae-Bong (Division of International Trade and Economics, Korea Maritime University) ;
  • Oh, Yong-Sik (Division of International Trade and Economics, Korea Maritime University)
  • 서금홍 (동아대학교 건축학과) ;
  • 김재봉 (한국해양대학교 국제무역경제학부) ;
  • 오용식 (한국해양대학교 국제무역경제학부)
  • Received : 2010.07.06
  • Accepted : 2010.08.25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In the central Busan area from Haeundae to Saha, fishing villages are vanished actually in the progress of urbanization, and 17 fishing ports surrounded by urbanized area are left alone and isolated. But, we think these urbanized fishing ports are the very resource which grant the identity as the marine city and they have considerable potentials to enhance the value of neighboring community depending on the proper development of it. In this study, we defined the fishing ports in central Busan area as the representatives of 'urban fishing port', and tried to find the way of coexistence and harmony between 'city' and 'fishing port'.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the fishery potentials, physical environments and development demands of 17 fishing ports in central Busan area, and composed opinions from fishing communities and neighboring inhabitants to set up the long term directions of urban fishing ports development for harmonious coexistence of city and fishing port.

부산 해운대구에서 사하구에 이르는 부산의 중심지역에서는 도시화의 진전 속에 어촌은 사실상 소멸하였으며, 인구밀집구역에 둘러싸인 17개 어항들이 주변지역과의 부조화 속에 방치되거나 고립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이러한 도시화지역 내부의 어항은 해양도시로서의 아이덴티티를 부여하는 존재이며 그 활용여부에 따라 어항 자체 뿐 아니라 주변지역의 가치를 고양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사회경제적 자원으로 삼을 수 있다는 것이 필자들의 기본적인 생각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중부산지역의 어항들을 대표적인 '도시형 어항'으로 정의하고, '도시'와 '어항'의 공존과 조화의 방향을 모색코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중부산지역 17개 어항들의 어업생산기반과 주변환경 및 어항정비수요를 조사하고 어업인들과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취합하여 도시와 어항의 조화로운 공존을 위한 도시형 어항정비의 중장기적 방향을 설정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형, 김강민, 이중우(2007), 친환경 워터프런트 개발 사례;다기능 어항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항해항만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pp.166-169.
  2. 김대식(2005), 부산시 어촌어항개발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3. 김재봉, 오용식, 서금홍(2008), 부산지역 어촌어항의 정비 방향설정을 위한 기초적 연구, 영남씨그랜트대학사업단.
  4. 김항묵, 유제우(2009), 부산광역시 해안무인도서의 보전과 활용, 한국항해항만학회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pp.475-486.
  5. 도근영(2009), 부산해안지역 워터프런트의 풍환경 분석 연구 -해운대, 수영만, 광안리 대상으로-,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33, no.5, pp.369-374. https://doi.org/10.5394/KINPR.2009.33.5.369
  6. 부산시(2005), 해양관광 복합어항육성 기본계획 수립용역.
  7. 수협중앙회, 어촌계분류평정표, 각년도.
  8. 오용식, 서금홍, 김재봉(2008), 도시내부입지형 어촌어항의 정비방향에 관한 고찰, 해양정책연구, 제23권 제2호, pp.1-31.
  9. 이정환(2001), 부산연안의 워터프론트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10. 이한석, 도근영, 조용수, 이정재, 김나영(2002), 부산 연안의 경관관리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26, no.1, pp.85-94. https://doi.org/10.5394/KINPR.2002.26.1.085
  11. 이한석, 이중우, 안웅희(2007), 부산 해안지역 친수공간벨트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31, no.10, pp.885-890. https://doi.org/10.5394/KINPR.2007.31.10.885
  12. 조계영(2003), 대도시주변 관광어촌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13. 통계청, 어업기본통계조사, 각년도
  14. 한광석, 이종훈, 신승식, 김윤형(2005), 어항개발의 경제성 평가분석 방법론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5. 해양수산부(2006), 어촌어항기초조사.
  16. 해양수산부(2003, 2005), 한국의 어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