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Functions

검색결과 647건 처리시간 0.033초

Otemachi(大手町) Sequential Urban Redevelopment Project

  • Itoh, Toshio
    • 토지주택연구
    • /
    • 제8권2호
    • /
    • pp.83-89
    • /
    • 2017
  • Otemachi(大手町) is the region where it plays a pivotal role in Japanese economy as representative head offices of companies including financial insurance, general trad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wspaper media are concentrated. However, regenerating the entire region from worn-out infrastructures of buildings and city into the fresh and vibrant foothold in international business was 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is situation, was examined on the basis of administrative agencies and relevant enterprises to reconstruct office buildings in phases without ceasing business functions and activities by utilizing the large-scale vacant land occurred from the relocation of the national public institutions. The independent administrative institution 'Urban Renaissance Agency(UR)' has completed the examination of industrialization and participation request for the commencement of the project. In this article, The overview of , the new form of project promoted and cooperated by officials and people, is introduced by UR (Urban Renaissance Agency) reorganizing the land exchange and infrastructure through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and at the same time, procuring capital and building office buildings in solidarity with private development enterprises and financial institutions.

서울시 도심 계획 방식의 변화: 1960년대부터 1990년대의 도시보전을 중심으로 (Change of Seoul's Downtown Planning: Focusing on Urban Conservation from the 1960s to the 1990s)

  • 이범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39-48
    • /
    • 2020
  • 본 연구는 1960 ~ 1990년대라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나타나는 서울시 도심 계획 방식의 변화를 살펴보고 도시보전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먼저, 근대화와 도시화 등이 미친 서울시 도심 계획의 변화로 과잉 인구 문제로 인한 도심 기능의 분산 정책을 시도한 1960년대부터 강남 개발에 따른 도심의 기능 분산 정책을 추진한 1970년대, 국제이벤트와 경제성장을 이유로 기존의 도심에서 부도심으로 기능이 이전한 1980년대, 정도 600년 기념사업과 기존 도심의 역사성을 인식하게 된 1990년대까지 서울시 도심 계획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서울시 도심 계획에서 나타난 도시 보전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면 첫째, 기존의 건물과 가로시설물이라는 물리적 측면을 유지하였고 둘째, 문화재 주변 지역의 규제라는 공간적 측면의 유지를, 셋째, 북촌, 인사동 등 역사적 장소에 대상으로 한 공공 부문 참여인 공간적 측면의 관리를 시도하였으며, 넷째, 서울시민들에게 익숙한 장소들의 접근성을 개선한 사회적 측면의 관리 등으로 도시 보전의 개념이 물리적 - 공간적 - 사회적 측면의 순으로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시녹지의 기능 및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 도시 가로수를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the Function and Effect of Urban Openspace - Focusing on Urban Roadside Trees -)

  • 성현찬;민수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48-57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verify whether the functions and effect of roadside trees generally hewn in theory are actually realized in urban roads and how well they are performed if the function and effect are realize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3 functions and effects including roadside tree's urban landscape improvement function (green area visibility ratio), effect of introducing green area within a city, and urban green network building function. The major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green area visibility ratio of 41 study areas is currently about 25.90%. The green area visibility ratio of commercial area within downtown was lowest among 5 road types. It showed that it is possible to raise the average green area visibility ratio up to 32.49% through roadside tree management and additional plantation. Second, in a section between Paldal Mountain and Suwon City Hall where there is no forest fragments and parks at all, a green area of 4,826 roadside trees represented 2.4% of total area and served as the only linear green area. Third, an analysis of 15 cities in Kyonggi province showed that urban forests are concentrated in outskirts. The suey showed that because forest fragments and parks exist in a form of points in urban areas, roadside trees are the only green areas that link each other and build a network.

MATLAB을 이용한 전동차용 저어 S/W 모듈화 설계 연구 (Modularization Design of On-board Train control Software for EMU using MATLAB)

  • 한성호;이수길;김수곤;안태기;이우동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220-1222
    • /
    • 2001
  • We proposed a modularization design technique for implementing software of on-board train control system. We already proved the efficiency of CASE Tool(SCADE) for safety critical software design. The several functions of train are implemented on CASE tool each modules. We divided functions of train into modules based on the modularization design. We used MATLAB for design of on-board train control software. We proved that this technique is more useful for the software design of on-board train control for EMU.

  • PDF

도시현황분석과 시설물 입지분석의 과학화를 위한 센서스와 GIS의 연계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f Collaboration between GIS and Census Data for Urban Analysis and Location Analysis)

  • 구자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31-44
    • /
    • 2000
  •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첫째, 수치지도 개발이 완결되고, 센서스트랙제도가 채택되고, 각종 연관자료들이 전산화되면 GIS의 갖가지 표현, 연산, 중첩기능을 통하여 지형, 인구, 주택을 비롯한 각종 경제, 사회자료들이 센서스트랙 내지는 블락그룹 등 소규모 지역 단위의 주제도 혹은 주소 단위의 점묘도로 알아보기 쉽게 화면에 나타내어져 각종 도시현황분석에 신뢰성 있게 쓰일 수 있다. 둘째, 시설물의 입지결정은 사회가 다원화 될수록 시간이 오래 걸리고 구설수를 피할 수 없는데, GIS는 수치지도를 포함한 도시의 각종 자료들을 그대로, 변형하여, 모델링시키며, 또한 다양한 의사결정방법들과 결합하여 화면상에 표현하며 신속하고도 과학적인 의사결정을 이루는데 큰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GIS와 센서스를 비롯한 각종 도시정보들이 이와같이 결합되고 활용된다면 신속하고도 신뢰성 있는 도시현황분석과 시설물입지분석을 가능케하고, 궁극적으로 보다 나은 행정서비스를 이룰 수 있다고 본다.

  • PDF

도시산업구조와 다변화:도시경제간의 수렴성향 (Urban industrial and structure and diversification:converging trend among urban economies)

  • ;김학훈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56-378
    • /
    • 1993
  • 본 논문은 도시산업구조의 경쟁력과 특화도, 그리고 그것의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사례지역은 미국 Arizona의 42개 도시로서, 1970년부터 1990년까지의 9개 산업부 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언구에서 설정된 가설은 다음과 같다. (1) 1차 산업부문에 특 화된 도시들은 쇠퇴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2) 도시의 규모는 산업의 다변화와 밀접한 관련 이 있다. 즉 도시규모가 클수록 산업 구성에 있어서 다변화되는 경향이 있다. (3) 대도시까 지의 거리는 도시산업의 다변화와 무관하다. (4) 도시들은 시간이 경과되면서 대체로 더욱 다변화되며, 그래서 도시특성이 상호간에 더욱 유사해진다. 이러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서 도시산업구성에 대한 클러스터분석(cluster analysis)을 통해서 1970년부터 1980년, 그리 고 1990년까지의 도시기능의 변화특성을 살펴보았고 도시기능과 산업구성상의 경쟁력이 관 계가 있음이 Arcelus가 변형한 변화, 할당모형의 분석을 통해서 확인되었다. 즉 1차산업(농 업, 광업)에 특화된 도시들은 경쟁력이 약해서 성장이 지체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특화계수 (coefficient of specialization)의 상관분석을 통해서는 산업특화 수준이 인구와 고용을 지표 로 한 도시규모와 밀접하게 연관이 되어 있어서 큰 도시일수록 산업구성이 다변화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대도시까지의 거리와 도시의 특화정도의 상관성은 약하게 나타났다. 1970년부터 1990년까지의 특화계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시간이 경과되면서 도시들은 더욱 다변화하는 경향이 확인되었고, 이것은 결국 도시상호간의 산업구조상의 차별성을 약화시켜 서 서로 수렴되는 특성으로 나타난다.

  • PDF

A Plan to Use a Moat as a Component of a Modern Water Landscape based on Its Functions

  • Yong Jo Jung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89-97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of use as a factor of the water landscape in modern urban spaces such as parks and, apartments, through a case study of the concept, functions, and culture of moats in the East and West from ancient times to the Middle Ag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ncept, origin, and function of the moat as a theoretical consideration. Asian castles with moats, including those in Korea, China and Japan, and Western castles with moats in Britain, France, Belgium, and Germany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By reflecting on these cultures and the functions of the moat in modern urban spaces and converting the environment damaged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to an eco-friendly and environment symbiotic city the quality of life can be improve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can be achieved.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literature survey and field investigation.

춘천시 생산녹지의 공원적 기능 분석 (Analysis of Park-Function for Agricultural Lands in Chuncheon City)

  • 김기성;황인훈;유능환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1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12-215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urban landscape development plan that can accomodate urban agricultural lands and go well with urban environments. Effectiv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methods of urban agricultural lands as a part of urban landscape were studied through the analysis of public functions of urban agricultural lands by using GIS.

  • PDF

도시 녹지 가치 평가를 위한 탄소 흡수량 추정 - 서울시를 대상으로 - (Estimation of Carbon Uptake for Urban Green Space: A Case of Seoul)

  • 이동근;박진한;박찬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6호
    • /
    • pp.607-615
    • /
    • 2010
  • Urban green space is often at the centre of the debate on urban substantiality because it provides functions of space, e.g. for wildlife, recreation, growing vegetables,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interaction, etc. Traditionally, the various functions of urban green spaces clearly show that green spaces contain important values that contribute to the overall quality of urban life. After Kyoto protocol, it has becoming important to more accurately evaluate carbon uptake by urban green space. Many studies have analyzed the benefits, costs, and carbon storage capacity associated with urban green space. These studies have been limited by a lack of research on urban tree biomass and carbon uptake by soil, such that estimates of carbon storage in urban systems. This study calculate more accurately the amount of carbon uptake by urban green space. This study also complement the existing methods to estimate the urban green space carbon uptake. It has been studied how to evaluate carbon uptake function of urban green space. The surface area of urban green space increased 5% by complemented method and carbon uptake is also increased. Based on this result, the carbon uptake per capita was analysed and compared to the area of carbon uptake. And this study discussed the reasons fo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ew and earlier estimates, as well as implications for our understanding of the global carbon cycle. In conclusion, these results could contribute as preliminary data to policy makers when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y is established.

도시농업의 다원적 기능 활성화를 위한 광역지방자치단체 도시농업 조례 현황 및 개선 방향 (Status and Improvement of Metropolitan Government Urban Agriculture Ordinances for the Enhancement of Multifunctionality in Urban Agriculture)

  • 최지원;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0-107
    • /
    • 2024
  • 본 연구는 도시농업의 다원적 기능 활성화를 위한 도시농업 조례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도시농업 조례 제정 현황과 광역지방자치단체 도시농업 조례 내용 중 다원적 기능 지원에 관한 부분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조례 지원이 상대적으로 미비한 기능을 대상으로 조례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 델파이 조사를 통해 이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2023년 3월 기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12개, 기초지방자치단체 226개 중 116개에서 도시농업 조례를 제정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연간 도시농업 조례 신규 제정 개수는 2011년 이후 대체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도시농업 조례 내용 분석 결과, 현행 조례는 주로 도시농업의 기반 조성과 확대에 관한 사항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지원 근거 분석 결과, 도시농업의 다원적 기능 중 녹지 확보 및 활용, 식량 생산 기능의 지원 근거가 가장 많이 마련되어 있다. 반면 자원 재활용, 치유 및 보건, 사회복지, 경제 불균형 완화, 일자리 창출 기능에 대한 지원 근거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도시농업 조례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델파이 조사를 진행한 결과, 18개 개선방안 중 17개 방안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농업의 다원적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 우선 도시농업 조례를 아직 제정하지 않은 지방자치단체의 조속한 조례 제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자원 재활용, 치유 및 보건, 사회복지, 경제 불균형 완화, 일자리 창출 기능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조례를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과정에서 도시농업 기술 개발, 다양한 도시농업 공간에 대한 법적 검토, 도시농업 관련 산업 육성 등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무엇보다 도시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관한 꾸준한 관심과 지방자치단체의 도시농업 육성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