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Environmental Problems

검색결과 523건 처리시간 0.028초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한 환경영향평가서 작성 및 협의절차 개선방안 (Improvement of EIS Documentation and Consultation Process through Expert Survey Method)

  • 반영운;주경선;정헌근;황규환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2호
    • /
    • pp.141-151
    • /
    • 2010
  •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Korea has been less of equity and balance between stakeholders, and less of objective validity in writing impact statement and in holding consultations. Thus this study has intended to find improvement measures regarding the processes of EIS documentation and holding consultations between stakeholders duri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oces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carried out expert survey method to analyze validity and suitability of suggested measures in accordance with the problems found through reviewing related literatures. This study has found major improvement measures including transferring the responsibility to write impact statement and to hold consultations from project promoters to the third party (impact assessment committee) composed of related stakeholders without project promoters. The developers need to pay for all expenses to proceed impact assessment.

도시경관과 주거환경 적용기법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Techniques Residential Environmental and Urban Landscape - PUD개발기법을 중심으로 -)

  • 이병대;동재욱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79-87
    • /
    • 2007
  • Now architecture has been become a significant element which is able to determine the competitiveness as a cultural product by going beyond the concept that architecture offer a space for just residence and office. From old times, planning and managing the urban space create living space to be more comfortable and efficient. Nevertheless, all of a public and private have resolved urban problems only to create economy growth by shortsighted approach. Therefore, a more macroscopic for composing an urban environment emerged the need for access in terms of the plan, to these aspects of the landscape and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can be applied to the United States's PUD techniques and focus on the development of urban space cases by applied PUD to improve a more rational and efficient urban space and to creation lively dwelling environment and the favorable landscapes forming want to try.

  • PDF

Delineation of the evacuation route plan, relief camp and prioritization using GIScience

  • Joy, Jean;Kanga, Shruti;Singh, Suraj Kumar;Sudhanshu, Sudhanshu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1-15
    • /
    • 2021
  • Rising urban flood patterns are a universal phenomenon and a significant challenge for city government and urban planners worldwide. Urban flood problems range from relatively localized incidents to substantial incidents, which lead to cities being flooded for a few hours to several days. Therefore, the effect may be widespread, such as the temporary displacement of individuals, disruption to civic facilities, water quality degradation and the possibility of epidemics. The problems raised by urban flooding are highly challengeable and compound by ongoing climate change, with adverse implications for changes in rainfall and gaps in intra-urban rainfall distribution. Unplanned construction and invasions of large houses along rivers and watercourses have interfered in natural rivers and watercourses. As a result, the runoff has risen in proportion to the urbanization of the urban floods. The location of the relief camp and the priority for evacuation were determined, and the safest route to avoid floods were established. This method can be used for emergency planning in future flood incidents, and it will help plan disaster preparedness for Panchayat. This study will promote the flood plain's potential use for disaster management and land use planning virtually.

생태계 용역가치를 이용한 대한민국 생태계의 기능적 변화 예측 및 분석 (A Prediction and Analysis for Functional Change of Ecosystem in South Korea)

  • 김진수;박소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4-128
    • /
    • 2013
  • 급속한 경제성장과 산업화는 오픈스페이스의 감소, 환경 훼손, 교통체증, 무분별한 도시성장 등 심각한 도시문제를 야기시키고 있으며, 국토의 효율적인 보전 및 관리가 되지 않아 다양한 사회갈등이 야기되었다. 이로 인해 많은 학자와 정부는 친환경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관리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발전을 실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대한민국을 대상으로 미래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생태계의 기능적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통계청의 추계 인구수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도시성장확률지도를 작성하여 2010~2060년의 토지피복 변화를 예측하였고, Costanza의 계수를 이용하여 생태계 용역가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시나리오 1의 생태계 용역가치는 6,783~7,092백만 USD로 나타났고, 시나리오 2는 시나리오 1에 비하여 2.9~7.6백만 USD가 감소한 6,775~7,089백만 USD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시나리오 2의 경우 개발관점에서 도시가 성장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보전가치가 높은 농업지역과 습지지역의 많은 면적이 훼손되어 생태계 용역가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서는 친환경적이고 체계적인 도시개발을 통해 환경적 보호가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환경정책수행에 따른 환경적 가치를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정책입안자 및 도시개발자들에게 판단기준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정확한 도시성장 수요량을 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성장예측모델링을 수행하여 보다 정밀한 도시성장예측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친화적 공간계획체계 및 수단개발을 위한 실험적 접근 (A trial for the development of plan system and instrument on environmentally friendly urban design)

  • 김현수;안근영
    • KIEAE Journal
    • /
    • 제1권2호
    • /
    • pp.63-70
    • /
    • 2001
  • With environmental problems and pollutions accumulated by continuous towns or cities developments events, it is becoming necessary to develop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effects. This consensus leads to prepare a plan system and instrument for ecological city development, which can be a series of planning indicators. To develope a series of process for environmental friendly development, this study has three main goals as follows; development of policies and programs for environmental friendly development, sugges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urban design models and standards, development of planning indicators and design guidelines Korean land use plan is operated by both zoning system and detailed plan system. But the available kinds of zoning type are too limited to apply to various and vernacular places. In addition to, the detailed plan is understood to be another regulation which constricts the freedom of building right. In this study, Plan System of Environmentally Friendly Space was studied for domestic affairs In German, Plan System of Environmentally Friendly Space is the field have been progressed before. so In this study, example of German was researched intensively, and Plan System of Environmentally Friendly Space was developed, applicable for the real state in domestic. This study was focused on methodology of landscape planning and planning for afforestation. Landscape planning is performed on condition detail investigation of existent state of nature and local characteristic, and Investigation of Planning for afforestation is more detailed than that of Landscape planning. In the basis of methodology of landscape planning and planning for afforestation, Plan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Urban Habitation Model was developed. Plan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Urban Habitation Model was applicable for state of land use planning. Site was selected Chuk-chun in city yang-in, taking the circumstances into consideration. So landscape planning correspond to land use planning was made out. Adjustment of Land use planning and Landscape planning was very important. Undergoing this process, Plan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Urban Habitation Model was performed.

  • PDF

GIS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arking Lot Management using GIS)

  • 양인태;유영걸;김재철;이상윤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09-414
    • /
    • 2003
  • In the beginning of the 21s1 century, the world has been making rapid progress and changed all over the areas. Like the rest, as all domiciliary circumstances for a local development have changed, the continuous development considered environmental view has been accounted as much compared with the high growth-oriented development based on the efficiency so far. As the volume of traffic in urban community increases, the environmental load enlarges inevitably. Particularly, the excess and deficiency problems for all sorts of traffic facilities, like the shortage of parking lots continue to happen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in traffic. For a design to solve these problems, introduction of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pplied widely over various fields become necessary. In this research, the supply-demand situation in urban areas is observed. The application of GIS for the purpose of the improvement of parking lot management technique to control effectively facilities related to parking lot in the city brings promoting the efficiency of business data inquiry, data management data correction and so on through graphic and non-graphic database for every kind of draft data, record and register data. The graphic users interface to support effective decision-making is applied for the improvement of work in this study. This research also suggests the way to utilize common database considered linkage with sub-systems related existing urban information system by developing th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 PDF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계획시스템 개선방안 -환경생태계획 도입을 중심으로 - (Improving of Planning System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Focus on Introducing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lanning-)

  • 최희선;권영한
    • 환경정책연구
    • /
    • 제8권3호
    • /
    • pp.27-51
    • /
    • 2009
  • 본 연구는 도시화 과정의 하나로 일어나는 개발사업이 지속가능한 형태로 추진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현재 대규모 개발사업인 신도시를 중심으로 적용하고 있는 환경생태계획의 실태와 문제점을 심층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도시 관련 개발사업 중 크게 구분할 수 있는 도시개발사업(도시개발법에 근거)과 택지개발사업(택지개발촉진법에 근거)의 입지 및 개발방식의 차별성을 고려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선행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설정한 원칙과 문제점에 근거하여 환경생태계획 대상 사업 규모를 설정하였으며, 환경생태계획의 절차적 개선방안에서는 크게 입지 및 지구지정 단계, 개발계획단계, 실시계획 단계, 사후관리 단계로 구분하여 문헌과 전문가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계획체계 측면 개선을 고려한 환경생태계획의 내용적 범위는 계획의 개요, 환경생태구상, 공간구조 골격 구상, 도시환경 재생 및 영향 저감계획으로 구분하여 도출되었다. 특히 도시개발사업은 복원 혹은 새롭게 창출해야 하는 조성녹지 확보와 이를 고려한 생태적 연결성 확보, 그리고 생태면적률 확보가 택지개발사업은 보전지역과 환경용량, 광역녹지축 등의 고려가 차별성 있게 고려되어야할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환경생태계획과 개발계획, 환경성평가 각각의 기능과 연계성을 정립하였으며, 이들 간의 연계성 정립을 통해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토지개발이 가능한 형태로 발전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대구의 도시 에너지 전환과 에너지 자립 (Urban energy transition and energy autonomy in Daegu)

  • 최병두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47-669
    • /
    • 2013
  • 화석연료의 고갈과 국제 유가의 폭등, 기후온난화와 빈번한 환경 재난은 자원 및 환경 담론과 정책의 강화를 요청했으며, 이에 따라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이나 탄소 규제 전략에 바탕을 둔 정책들이 추진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개념이나 전략들은 신자유주의화 과정에 포섭되면서, 실효성이 있는 성과를 얻지 못했다. 이러한 점에서 새로운 전략적 규범적 개념으로 에너지 전환과 더불어 에너지 자립의 개념이 제시된다. 대구시는 비교적 일찍 에너지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솔라시티 정책을 추진해 왔지만, 거시적 배경에 편승하여 도시 에너지 문제를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 이러한 점에서 이 논문은 대구시의 에너지 문제 실태와 정책의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고, 도시 에너지 전환과 자립을 위한 4가지 원칙, 즉 화석에너지 및 핵에너지에서 재생가능 에너지로의 전환, 공급주도형에서 수요관리 중심 정책으로의 전환, 중앙집중형에서 지역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 그리고 시장의존적 관리에서 시민 참여적 에너지 거버넌스로의 전환 등을 제안하면서 이에 바탕을 둔 구체적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이중 절단 기법을 이용한 조위자료의 확률밀도함수 추정 (Estimation of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of Tidal Elevation Data using the Double Truncation Method)

  • 정신택;조홍연;김정대;고동휘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247-254
    • /
    • 2008
  • 조 등(2004)에 의하여 연안 조위 발생빈도 분포함수로 제시된 쌍봉형 정규분포는 관측조위의 발생빈도와 매우 잘 일치하고 있으나 Monte-Carlo 모의기법을 이용하는 신뢰성 설계과정에서 수백만개의 조위를 발생하는 경우 비현실적인 조위가 발생되어 과대 또는 과도설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현실적인 조위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경계조위 상한-하한을 설정하여 분포함수의 범위를 제한하는 이중절단 쌍봉형 정규분포 함수를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함수분포에 포함된 매개변수를 비선형최적화기법을 이용하여 추정-제시하였다. 제안된 분포함수는 기존의 쌍봉형 정규분포에 비하여 뚜렷하게 정량적으로 크게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지는 않으나, 신뢰성 설계과정에서 비현실적인 조위발생의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비현실적인 조위발생으로 유발되는 설계인자의 비현실적인 과대 및 과소평가 가능성도 자동적으로 제거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도시하천의 물순환 및 수질 개선을 위한 생태저류지의 효과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Bio-Retention Cells to Improve Water Cycle and Water Quality in Urban Streams)

  • 김경민;최정현;김수현;강임석;신현석;김상단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24-235
    • /
    • 2019
  • 급격한 도시화는 도시 하천에 크게 세 가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첫 번째 문제는 불투수지역의 증가에 따른 강우의 토양 침투량 감소이다. 토양 침투량 감소는 도시하천의 물순환에 심각한 왜곡을 일으키게 된다. 두 번째 문제는 도시적 토지이용에 따른 비점오염물질의 증가이며, 세 번째 문제는 구도심에서의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이다. 비점오염물질의 증가 및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는 물순환 왜곡과 맞물려서 도시하천 수질오염을 가중시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세 가지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부산 온천천 유역을 대상으로 EPA SWMM을 구성하였으며, 미국 뉴욕시에서 실제로 시행중인 사업을 벤치마킹하여 생태저류지 설치 사업을 계획하였다. 사업 시나리오별로 물순환 개선효과와 비점오염 및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의 저감량이 요구되는 예산과 함께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