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recorded wild yeast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3초

Characteristics of Two Unrecorded Yeasts from Wild Flowers in Ulleungdo, Korea

  • Hyun, Se-Hee;Min, Jin-Hong;Lee, Hyang Burm;Kim, Ha-Kun;Lee, Jong-Soo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70-173
    • /
    • 2014
  • Two unrecorded yeasts, Meyerozyma caribbica UL5-1 and Pichia silvicola UL6-1 were screened from 58 yeasts which were isolated from wild flowers in Ulleungdo in Gyeongsangbuk-do, Korea. The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se unrecorded yeasts were investigated. Both yeasts were oval in shape and formed pseudomycelia. P. silvicola UL6-1 formed ascospore, but M. UL5-1 did not. P. silvicola UL6-1 and M. caribbica UL5-1 also grew in vitamin-free medium and 5% NaCl-containing yeast extract-peptone-dextrose medium. The two unrecorded yeasts assimilated glucose, galactose, xylose, cellobiose, trehalose, glycerol and sorbitol, and also fermented glucose, fructose and mannose. The supernatant of both M. caribbica UL5-1 and P. silvicola UL6-1 showed high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84.2% and 82.6%, respectively. Cell-free extract of P. silvicola UL6-1 also showed very high anti-diabetic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85.8%).

향신료 재배 토양과 주변 산림 토양으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Unrecorded Wild Yeasts Obtained from Soils of Spice Fields and Mountains)

  • 김지윤;한상민;박선정;장지은;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51-160
    • /
    • 2020
  • 향신료 재배 토양 내에서 분리한 효모 중 이들의 분포와 국내 미기록 야생효모들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의 향신료 재배토양에서 35종 58균주의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Trichosporon moniliiforme균이 우점균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대둔산 일대 산림토양에서 46균주의 야생효모들을 분리하였고 이들 향신료 토양들과 산림 토양 등에서 분리한 야생효모들 중 아직까지 국내에 보고되지 않은 Debaryomyces vindobonensis GHY31-3, Pseudozyma alboarmeniaca CD23-5, Filobasidium stepposum SFG1-4, Aureobasidium caulivorum HD17-5, Metschnikowia noctiluminum HD29-2, Papiliotrema anemochoreius NK2-12, Hannaella surugaensis DCH25-5, Microbotryozyma collariae DCH1-4, Rhodosporidiobolus lusitaniae DCH30-2, Wickerhamiella azyma DCH46-3등 10균주의 국내 미기록 효모들을 선별하였다. 이들 미기록 균주들은 구형-타원형으로 출아, 분열법으로 영양 증식하였다. Filobasidium stepposum SFG1-4균주를 포함하는 5균주들은 포자를 형성하였고 Pseudozyma alboarmeniaca CD 23-5등 3 균주들은 비타민을 첨가하지 않은 YPD 배지에서도 모두 생육하였다. Wickerhamiella azyma DCH 46-3는 20% 포도당을함유한 YPD 배지에서, Debaryomyces vindobonensis GHY31-3 균주는 5% NaCl을함유한 YPD 배지에서 잘 자라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이들의 무세포추출물들의 항산화 활성은 거의 없거나 10% 미만이었지만, 항통풍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Filobasidium magnum SFG1-3가 28.6%로 높게 나타났으며, 미백성 tyrosinase 저해활성은 Rhodotorula mucilaginosa GHP40-2 균주의 무세포추출물이 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our unrecorded wild yeasts from the soils of Republic of Korea in winter

  • Yuna Park;Soohyun Maeng;Sathiyaraj Srinivasa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2권3호
    • /
    • pp.197-202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and identify wild yeasts from the soil collected in Gwangju and Pocheon City, Gyeonggi Province, Republic of Korea. Among 10 strains, six strains were already reported, but four strains were unrecorded in Republic of Korea. To identify wild yeast strains, pairwise sequence comparisons of the D1/D2 region of the 26S rRNA gene sequence were performed using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BLAST). The cell morphologies were observed by phase contrast microscope and assimilation tests were carried out using API 20C AUX kit. The 10 strains were assigned to the phyla Basidiomycota (8 strains) and Ascomycota (2strains). The unrecorded four yeast strains, NH33, NH19, NH20, and YP416, belong to the phylum Basidiomycota and the genera Buckleyzyma, Leucosporidium, Holtermanniales, and Mrakia, respectively. All strains had oval-shaped and polar budding cells. In this research, the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four unreported yeast species were characterized intensively, which were not officially reported in Korea.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unrecorded yeasts species in the family Metschnikowiaceae and Bulleribasidiaceae in Korea

  • Park, Yuna;Maeng, Soohyun;Srinivasan, Sathiyaraj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9권3호
    • /
    • pp.198-203
    • /
    • 2020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and identify wild yeasts from soil samples. The 15 wild yeast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soil samples collected in Pocheon city, Gyeonggi Province, Korea. Among them, four yeast stains were unrecorded, and 11 yeast stains were previously recorded in Korea. To identify wild yeasts,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by API 20C AUX kit. Pairwise sequence comparisons of the D1/D2 domain of the 26S rRNA were performed using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BLAST). Cell morphology of yeast strains was examined by phase contrast microscope. All strains were oval-shaped and polar budding and positive for assimilation of glucose, 2-keto-ᴅ-gluconate, N-acetyl-ᴅ-glucosamine, ᴅ-maltose and ᴅ-saccharose (sucrose). There is no official report that describes these four yeast species: one strain of the genus Kodamaea in the family Metschnikowiaceae and three strains of the Hannaella in the family Bulleribasidiaceae. Kodamaea ohmeri YI7, Hannaella kunmingensis YP355, Hannaella luteola YP230 and Hannaella oryzae YP366 were recorded in Korea, for the first time.

낙동강과 영산강 담수와 주변 토양으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Wild Yeasts from Freshwaters and Soils of Nakdong and Yeongsan River, Korea, with Characterization of Two Unrecorded Yeasts)

  • 한상민;김하근;이향범;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50-354
    • /
    • 2016
  • 우리나라 주요 강 담수와 주변 토양 중의 야생효모 분포특성을 조사하고자 먼저 낙동강과 영산강 일부지역의 담수와 주변 토양 25점을 수집하여 15균주 9종의 야생효모들을 PCR을 이용한 ITS 부위와 26S rDNA의 D1/D2 부위의 염기서열 상동성 비교법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이들 가운데 Aureobasidium pullulans와 Cryptococcus besiolae가 각각 3균주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Lachancea thermotolerans와 Wickerhamomyces anomalus도 각각 2주씩 분리되었다. 특히 Candida ghanaensis와 Meira geulakonigii는 국내 처음 보고되는 미기록 균주들로서 포자를 형성하였고, YPD 배지와 potatoes dextrose 배지 등에서 잘 생육하는 특성을 갖고 있었다. 또한 두 미기록 효모들은 5% NaCl을 함유한 YPD 배지에서 생육하는 내염성 효모들이었다.

금강 상류와 태안, 순천만 해변들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균학적 특성 (Isolation of Wild Yeasts from Riversides in Geumgang Upstream, Taean and Suncheonman Seashores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Unrecorded Wild Yeasts)

  • 박선정;장지은;이향범;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67-79
    • /
    • 2021
  • 금강 상류와 태안, 순천만 등 해안주변환경의 야생효모들의 효모 종 분포특성을 조사하고 국내 미발표된 효모들을 선별하여 이들의 균학적 특성들을 알아보고자 금강 상류인 충남 금산의 천내강과 서해안에 있는 청포대 해수욕장 및 순천만 습지대 주변의 물과 토양들로부터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이들 중 국내 미기록 효모들을 선별하여 이들의 균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금산의 천내강 주변 물과 토양 40점에서 49종의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태안의 청포대 해수욕장과 순천만 습지대 주변 물과 식물체 부식물 및 토양 80점에서 각각 56종, 36종의 야생효모 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이들지역에서분리, 동정한야생효모들중C. michaelii NNIBRFG28278, Sp. japonicus NNIBRFG28271, D. buhagiarii NNIBRFG28279, U. spermophora NNIBRFG28273, N. pomicola NNIBRFG31590, C. natalensis NNIBRFG31591, C. pseudorhagii NNIBRFG31592, C. santamariae NNIBRFG31593, Cu. terricola NNIBRFG31594, M. nashicola NNIBRFG31595등 10균주들이 국내 미기록 야생효모들로 최종 선별되었다. 이들 미기록 효모들은C. pseudorhagii NNIBRFG31592과 Cu. terricola NNIBRFG31594 만이 구형이고 나머지 균들은 난형으로 Sp. japonicus NNIBRFG28271와 C. natalensis NNIBRFG31591 두 균주만이 포자를 생성하였다. U. spermophora NNIBRFG28273균주는 vitamin-free배지에서도 생육이 아주 양호하였고 Sp. japonicus NNIBRFG28271균주는 15% NaCl을 함유한 YPD배지에서도 생육이 양호한 호염성균이었다.

낙동강 상주보와 금강중류 대청댐 주변으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균학적 특성 (Isolation of Wild Yeasts Obtained from Waters and Soils of Riversides in Sangjubo of Nakdong River and Daechung Dam of Geumgang Midstream, Korea and Characterization of Unrecorded Wild Yeasts)

  • 한상민;박동재;김지윤;임효진;이향범;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37-249
    • /
    • 2020
  • 경상북도 낙동강의 상주보와 금강중류인 대전시 신탄진의 대청댐주변의 야생효모들의 종 분포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이들지역의 토양과 물들로부터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낙동강의 상주보에서 채취한 시료 47점에서 모두 39종 94 균주의 야생효모들이 분리, 동정되었고 Cryptococcus속 균들이 가장 많았다. 이들중Rhodosporidium azoricum JSL-GRU-009를 포함한 3균주들이 아직까지 국내에 보고되지 않은 미기록 효모들로 최종 선별되었다. 또한, 금강중류지역인 대전시 신탄진의 대청대교와 대청댐주변 토양과 물등 130종의 시료들로부터 105종 209균주들이 분리, 동정되었고 이들 야생효모 균주들로부터 Bullera pseudoalba JSL-GRU-005를 포함한 10종의 균들이 국내 미기록 효모들로 최종 선별되었다. 이들 낙동강 상주보와 대청댐등에서 선별된 13균주들의 균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이들 미기록 균주들은 구형~타원형으로 출아, 분열법으로 영양 증식하였다. R. azoricum JSL-GRU를 포함한 9균주들이 포자를 형성하였고 10균주들이 비타민을 첨가하지 않은 YPD 배지에서 생육하였다.R. azoricum JSL-GR균주는 20% 포도당을 함유한 YPD 배지에서 잘 생육하였고, R. oryzicola JSL-GRU-003를 포함한 3 균주는 5% NaCl을 함유한 YPD 배지에서 생육하였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wo unrecorded yeast species in the phylum Basidiomycota

  • Jieun Seok;Jaewoo Bai;Sathiyaraj Srinivasa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105-110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and identify wild yeasts from soil samples collected in Seoul and Daejeon, Republic of Korea. To identify wild yeast strains, pairwise sequence comparisons of D1/D2 region of the 26S rRNA gene sequence were done using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BLAST). The cell morphologies were observed by phase contrast microscope and carbon source assimilation test were done using API 20C AUX kit. Among the 13 isolated strains, 11 strains were previously reported, but two strains have never been reported from Republic of Korea. The 13 strains were assigned to the phylum Basidiomycota. The two unrecorded yeast strains B2UV-201 and DJ1-5-B-10C belong to the genera Rhodotorula and Rhodosporidiobolus, respectively. The two unrecorded yeast strains are oval shaped and polar budding cell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the two unreported yeast species that have not officially been reported in Korea.

남해안 해운대와 몽돌 해수욕장 주변환경으로부터 야생 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균학적 특성 (Isolating and characterizing the unrecorded Wild Yeasts from Seawater and Soil in Haeundae and Mongdol Beache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박선정;장지은;문정수;이향범;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65-73
    • /
    • 2022
  • 본 연구는 남해안 해운대와 인근 몽돌해수욕장 주변의 야생 효모 종 분포특성을 알아보기위해 이들 지역 주변의 물과 모래, 토양 등 70점의 시료들로부터 일반 효모와 호알칼리성 균주 등 모두 37종, 41균주의 야생 효모들을 분리하였다. 이들 야생 효모들 중 Cys. insectorum HUD16-3 (JSLKSS-002)와 M. citriensis HUD12-5 (JSL-KSS-001)등 두 균주들이 국내 보고되지 않은 미기록 효모들로 선별되었고 필자 등이 전라북도 장선천 주변 토양에서 분리하여 국내 미기록 균주로 선별한 Cys. lysinophilum JSC 52-2 (JSL-GGU-019)와 대전광역시 장태산 호수 주변에서 분리하여 선별한 C. takata NMD11-1 (JSL-GGU-017), C. panamensis ASG58M-2 (JSL-GGU-018)등 5종의 미기록 야생 효모들의 균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들 미기록 효모들은 모두 난형으로 출아에 의해 영양 증식을 하였고 포자와의 균사를 형성하지 않았다. 미기록 효모 모두 vitamin-free배지에서도 생육하였고 M. citriensis HUD12-5균주는 50% 포도당을 함유한 YPD배지에서 생육하는 강한 내당성을 보였고 Cys. insectorum HUD16-3과 M. citriensis HUD12-5균주들은 15% NaCl을 함유한 YPD배지에서도 생육이 비교적 양호한 호염성균이었다 또한, 미기록 효모들 모두 포도당과 fructose, sucrose, 전분 등을 자화시켰고 특히Cys. lysinophilum JSC 52-2등 3균주들은 lactose를 자화시켰다.

서울특별시 허브공원 토양으로부터 야생 효모의 분리, 동정 및 미기록 효모의 특성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Wild Yeasts from Soils of an Herb Park in Seoul Metropolitan City and Characteristics of Unrecorded Yeasts)

  • 한상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08-112
    • /
    • 2016
  • 우리나라 토양 중의 효모 종 다양성 조사의 일환으로 서울특별시 H동 허브공원 일대 토양 29점을 2015년 5월에 수집하여 9종 15균주의 야생효모들을 polymerase chain reaction 을 이용한 internal transcribed spacer 부위와 26S rDNA의 D1/D2 부위의 염기서열 상동성 비교법을 이용하여 분리, 동정하였다. 이들 가운데 Cryptococcus laurentii 2균주를 포함하는 Cryptococcus속 균이 8균주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Saccharomyces cerevisiae도 2균주 분리되었다. 이들 가운데 아직까지 우리나라 미생물 관련 학술지에 보고되지 않은 Candida boleticola SU14-2와 Candida novakii SU6-2, Cryptococcus podzolicus SU18-2 등의 미기록 효모들을 선별한 후 이들의 미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Candida novakii SU6-2는 자낭포자와 의균사를 형성하였고 Candida boleticola SU14-2는 5% NaCl을 함유한 YPD 배지에서 생육하는 호염성 효모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