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Curriculum Framework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26초

과학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국제 비교 -미국, 캐나다, 호주, 영국을 중심으로- (International Comparison Study on Essential Concepts of Science Curriculum: Focus on the United States, Canada, Australia and England)

  • 김지현;정아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15-22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을 국가별로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핵심 개념 제시 방안을 탐색하였다. 최근 개정된 미국, 캐나다, 호주, 영국의 교과별 교육과정 문서를 살펴보면 Key ideas, Big ideas, Key concepts, Disciplinary core ideas, Fundamental concepts 등과 같은 용어를 새롭게 도입하면서 해당 개념의 의미, 역할 등을 상세히 기술하며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하여 과학교과의 내용을 구조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 대상국의 핵심 개념을 다루는 용어의 의미와 위상, 역할을 용례를 통해 분석하여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핵심 개념 제시 방안을 검토해보았다. 비교 대상국의 과학과 핵심 개념의 의미를 비교해본 결과 4개국 모두 교과의 내용을 다루는 개념뿐 아니라 간학문적 통합 개념을 설정하여 사용하고 있었고, 분석 대상 국가 모두에서 해당 개념들이 상당한 위상을 가지고 교육과정 문서에 사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대상 국가인 미국, 캐나다, 호주, 영국에서 핵심개념은 그 내용과 의미가 유사한 경우에도 국가에 따라 역할로서 중시하는 면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과학과 교육과정을 구조화하는 방식은 다양하지만 이 구조화에서 핵심개념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핵심개념은 학문 및 학년을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과학 지식 획득의 틀(framework)로 작용하기도 한다. 또한, 핵심 개념이 미국처럼 성취 기준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구조화될 수도 있으며, 캐나다 온타리오의 경우와 같이 단원마다의 목표로 구조화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볼 때 우리 나라 또한 우리 과학교육의 맥락에 맞는 간학문적 통합 개념을 핵심 개념으로 지정하여 과학 교육과정에서 제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핵심개념은 단순히 과학 교과의 지식 내용뿐 아니라 기능, 가치 등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표현 방식 또한 단어, 문장, 도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 교육 목표에 맞는 핵심 개념의 내용을 선정하고 적절한 방식으로 핵심 개념을 제시하는 방안을 채택하기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학생의 사전질문 분석틀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udent's Pre-question Framework for Analysisin Elementary Science Class)

  • 강헌태;노석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35-247
    • /
    • 2018
  • 학생의 사전질문은 교사에게 학생의 관심사와 수준을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교육의 수요자인 학생의 관점을 반영하여 교수-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주는 유용한 수단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사전질문을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을 개발하고, 이 분석틀을 적용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과학 학습 단원과 관련된 학생의 사전질문을 분석하는 것이다. 개발된 분석틀은 지식형, 확장형, 호기심형 질문의 3개의 대범주로 구성되며, 각각의 범주에서 다시 몇 개의 하부 영역으로 세분된다. 개발된 분석틀을 이용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과학 5, 6학년 학습 단원에서 제시한 학생사전질문 914개를 분석한 결과, 학년 및 학습 단원, 차시별로 분포하는 질문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형별 질문의 비율에도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전질문 분석틀을 통해 학습에 대한 학생의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학생 중심의 교수-학습의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추후 연구에서도 분석틀이 유의미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대학원 AI교육과정 개발 탐색 (Exploration of AI Curriculum Development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배영권;유인환;장준혁;김대유;유원진;김우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433-441
    • /
    • 2020
  • 지능정보사회의 도래와 미래 인재 육성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이 교육계의 주목을 받으며 교원의 인공지능대학원 과정 또한 개설, 운영 중이며 올해 신설된 AI교육 대학원의 교육과정은 각 대학의 여건을 고려하여 자체적으로 편성되어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원에서 보다 효과적이고 교육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AI교육과정이 향후 개발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육대학원 AI교육과정은 Backward 설계를 토대로 Bloom의 디지털 텍사노미, Bruner의 나선형 교육과정 구성 원리를 포함하여 '내용영역', '수준', '교수학습방법' 등 3가지의 요소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제시한 AI교육과정개발 방향을 토대로 국내 교육대학원의 AI교육과정이 좀 더 내실화되길 바라며,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과정을 수정·보완하여 초·중등학교의 AI교육과정 구성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유전간호교육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urriculum of Genetics Nursing Education)

  • 최경숙;김현정;장은실;박정애
    • 종양간호연구
    • /
    • 제10권1호
    • /
    • pp.103-111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stablish the framework for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of genetics in Nursing Education. Methods: The Internet search, literature review of the US system of genetic nurses, genetic graduate nursing education programs and curricula for nurse in Korea were reviewed and analyzed. Results: American Nurses genetic system consists of APNG and the GCS and all the APNG credential provided by the GNCC of ISONG. The curriculums of genetic nursing education in the US are mainly conducted in of master's program and genetically related subjects consists of basic genetics subjects, basic applied genetics subjects, genetics in nursing subjects and practical training subjects. Lastly a genetic nursing education program in Korea 44 hr of lectures and practical training of 4 hr is composed of basic genetics, genetic cancer, genetics in nursing and practicum in the computer lab and online include family history assessment, pedigree construction, breast and colorectal cancer risk calculations, and ELSI discussion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genetic nursing education course needs in master's program as detailed subjects. Also the establishment of the genetic nurse system is an urgent needed.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과학 탐구 활동의 지식정보처리역량 요소 분석 (Scientific Inquiry Activity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 Analysis Based on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Elements)

  • 정은주;손정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1호
    • /
    • pp.84-91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6학년 과학 교과서 과학 탐구 활동에 나타난 지식정보처리역량 요소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식정보처리역량의 구성 요소를 추출하였고, 지식정보처리역량 분석틀을 구안하였다. 초등학교 3~6학년 과학 교과서 8권을 분석 틀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지식정보처리역량은 '수집', '분석', '조직', '선택', '평가'의 5가지 요소로 정리할 수 있다. 둘째,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과학 탐구 활동의 지식정보처리역량의 요소는 고르게 구성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과학 탐구 활동은 지식정보처리역량 5가지 요소 중 '수집', '분석'에 치우쳐 있었으며, '조직', '선택', '평가'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초등학교 과학 교과에서 지식정보처리역량을 기르기 위한 과학 탐구 모형이나 과학 수업 모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How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Use New Textbook : A Case Study from China

  • Zhuo Li;Jiansheng Bao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291-310
    • /
    • 202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Chinese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use new textbooks based on the work of Remillard (1999) and Chau (2014). Based on this framework, a multiple case approach was used to investigate how two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from Shanghai use new textbooks. The results suggest that in the curriculum mapping arena, both the novice teacher and the expert teacher often planned to appropriate the unit content, and sometimes planned to add supplemental content. When organizing the unit content, novice teacher always planned to follow the new textbook in sequence, while expert teacher often would follow the new textbook in sequence, but sometimes planned to rearrange the unit content. In the design arena, both the novice teacher and the expert teacher tended to appropriate the introduced tasks and definitions. The novice teacher often planned to appropriate the example problems and exercise problems, while the expert teacher often intended to flexibly use the example problems and exercise problems. In the construction arena, the novice teacher seldom adjusted the planned tasks; in contrast, the expert teacher adjusted the planned tasks more frequently. In the reflection arena, the novice teacher often thought she should improve the mathematics tasks, while the expert teacher almost always thought he needed to improve the mathematics tasks. The framework shown in this paper provides a tool to investigate how mathematics teachers use textbooks.

중소기업에서 요구되는 직업역량과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Work-Competencies and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 오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517-53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지역 산업체를 대상으로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신입사원들에게 요구되는 직업핵심역량을 조사하고 대학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대학 교육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을 함양시켜주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산업체에서 대학생들에게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제안하고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 경북에 소재하는 3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직업핵심역량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아울러 최근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학부교육 선도대학'으로 선정되어 지원을 받고 있는 4개의 지역 대학을 선별하여 교양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역 산업체에서 가장 많이 요구되는 핵심역량은 대인관계역량과 자기관리역량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역대학의 교육과정 분석결과 대학은 의사소통 교과목을 가장 많이 개설하고 있었고 대인관계 및 자기관리역량과 관련된 강좌는 상대적으로 적게 개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업무 효율성 증진을 위한 역량중심의 교육과정의 필요성이 제언 되었다.

정보보호 분야 직무체계 개발 (Development of Skills Framework for Information Security Workforce)

  • 전효정;김태성;유진호;지상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43-152
    • /
    • 2009
  • 정보보호 전문인력을 정의하고 양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보보호업무 전반을 체계화하여 표준화한 '직무체계'를 개발하고, 직무체계에 기반하여 인력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를 정하는 교육과정 및 직무분석이 필요하다. 정보보호 분야의 직무를 정의하고 표준화함으로써 인력의 직무능력을 표준화하고 직무수행을 위해 필요한 지식 및 기술에 대한 정의가 가능해짐으로써 보다 실무 지향적인 전문인력의 양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직무체계(Skills Framework)란 산업현장의 직무에 근거하여 직무분류 및 직무수준을 설정하고 직무수준별 수행기준을 제시하는 것으로써, 현장 수요에 기초한 교육훈련과정의 개발, 자격 및 인력수급 체계 등을 위한 인프라 정비의 핵심 요소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보호산업의 발전을 이끌어갈 실수요에 기반한 체계적인 '정보보호 전문인력'의 중급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표준화된 직무체계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인식하고, 정보보호 분야의 직무체계를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과학 교과서의 과학사 자료 분석을 위한 삼원 분석틀 개발 및 적용: 지구과학사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ree Dimensional Framework for Analyzing the History of Science Content in Science Textbook: Focus on the History of Earth Science)

  • 박세기;이기영;이면우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9-112
    • /
    • 2011
  • 과학사는 과학 수업에서 여러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유용한 수단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과학사 자료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삼원 분석틀을 개발하고, 이 분석틀을 적용하여 제7차 교육과정의 지구과학사 자료를 분석하는 것이다. 개발된 분석틀은 수업맥락, 역할, 제시유형의 3개 차원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차원은 다시 몇 개의 하부 영역으로 세분된다. 개발된 분석틀을 이용하여 과학 교과서의 지구과학사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분석틀의 세 가지 차원과 각각의 영역에 부합되는 과학사 자료가 과학 교과서에 다양하게 포함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삼원 분석틀의 활용을 통한 다양한 수업맥락과 목적의 조합으로 과학사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예비교사를 위한 정보화 교육 방향 탐색 연구 -미국 인디애나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Indiana University's CEL Program for Pre-service School Teachers)

  • 허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107-120
    • /
    • 2008
  • Building a competency of pre-service school teachers is one of the critical factors to decide right direction of k-12 computer & information education. In this context, we can realize of the importance of computer & information curriculum for pre-service school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ase of the CEL(Computer Educator License) program in Indiana University and to find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technology education for pre-service school teachers.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the methods and procedures involved the following steps: The literature reviews of technology education were performed. The analysis framework based on case study method was designed for collecting data. Data were composed of related documents, web resources, and interview resource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finding and recommendation of this study were the importance of following factors: (a) technology integration in the curriculum for pre-service school teachers, (b) differentiated management with skill-based technology education, (c) leadership for using and diffusing technology in the school, and (d) connected curriculum with the national standard indic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