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2.12.02.517

Work-Competencies and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Oh, Eun-Joo (경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to propose a framework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For achieving the purpose, surveys were conducted with 300 companies at the southern regional area to find out core work-competencies that are needed in the work places. In addition,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rom 4 universities from the same area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survey results to examine if the university curriculum satisfy the need of work places by providing courses that nurturing work competencies. The study found that abilities to work as a team and self-regulation are the core competencies. However, the participating universities did not provide enough courses for students to achieve the core work competencies that are mostly needed in the work place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competency based-curriculum were suggested, and the process for implementing the curriculum was discussed.
Keywords
Work-competencies; Competency-based Curriculum; Teamwork; Self-regulation; Communic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최길성, "역량기반의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선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0호, pp.464-478, 2010.
2 최문경, 이기엽, "대학졸업에서 첫 직장까지", 직업능력개발연구, 제11권, 제3호, pp.23-48, 2008.
3 채창균, 최지희, 김안국, 오호영, 옥준필, 대졸 청년층의 대학교육만족도,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4 통계청, 시군지역의 고용 특성, http://kostat.go.kr 2011년 8월11일 검색
5 S. Jang and N. Kim,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higher education and work in Korea, from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Development, Vol.24, pp.691-703, 2004.   DOI   ScienceOn
6 OECD,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OECD, 2005.
7 L. Spencer and S. Spencer,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John Wiley and Sons, Inc. 1993.
8 임언, 최동언, 박민정, 미래 사회의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08-31002, 연구보고 PRC 2008-7-2, 2008.
9 이정표, "주요국의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 로그램 사례 비교분석", 한국비교교육학회, 제15권, 제2호, pp.171-195, 2005.
10 이무근, 직업능력 인증제 도입을 위한 정책연구, 교육부제출용 보고서, 1997.
11 이종수, "동남권(부산. 울산, 경남) 지역의 실업 현황 분석 및 대책",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3권, 제3호, pp.171-192, 2006.
12 원상봉, General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 박사 학위 논문, 1987.
13 정승환, 대졸사원의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조사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4 정영철, 나승일, 서우석, 송병국, 이종성, "직업기초능력의 영역분류 및 하위 요소 추출", 직업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pp.15-38, 1998.
15 주인중, 권장우, 신준우, 임경범, "IT분야 공학교 육인증 이수자의 실무역량에 대한 기업과 졸업생 의 인식 비교", 교육과정연구, 제29권, 제1호, pp.121-137, 2010.
16 주인중, 김덕기, 정종태, 김호연, 최선아, "기업체에서의 역량모델 개발과 활용실태 분석", 교육과정연구, 제29권, 제1호, pp.309-334, 2010.
17 진미석,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선정 및 문항개발 연구; 대학생직업기초능력 진단종합검사 개발(대인관계 검사 개발과 종합적 사고력 측정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07.
18 진미석 정혜령, 이수영, "국내 4년제 대학의 진로 개발지원 현황과 과제", 진로교육연구, 제23권, 제 1호, pp.135-152, 2010.
19 진성희, 성은모, "공과계열 대학생을 위한 리더십 역량 분석: 기업체 경영진과 대학생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제29권, 제4호, pp.95-119, 2010.
20 한상근, 정윤경, 최동선, "전자산업 분야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컨피턴시와 공학교육의 격차에 관한 연구 -현직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제25권, 제2호, pp.157-193, 2006.
21 한승희, 한국교육평론,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4.
22 홍성민, 박진희, "청년층 희망 일자리와 실제 취 업 일자리 격차 분석; 고학력 청년 실업원인에 대한 일고찰", 제10회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pp.780-800, 2009.
23 박성종, "컴피턴시 중심 교육 관점에서의 공학기술 교육과정 개발", 직업능력개발연구, 제7권, 제2 호, pp.55-76, 2004.
24 류장수, "지방대학 졸업생의 첫 일자리 이행기간과 특성(수도권대학 졸업생과 비교)", 직업능력개발연구, 제6권, 제1호, pp.39-49, 2003.
25 박가열, 천영민, "대졸자의 취업 영향 요인 탐색", 2009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동향조사 심포지엄 자료집, pp.128-160, 2009.
26 박동열,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유형 진단 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연구, 제38권, 제2호, pp.225-245, 2006.
27 박종필, 김두화, "2008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 학생생활연구", 제27권, pp.37-105, 2009.
28 소경희,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교육과정연구, 제27권, 제 1호, pp.1-20, 2009.
29 손민호, "교육과정 이론과 실제의 발전", 2006 춘계 학술대회 및 국제 심포지엄 발표 자료집, pp.394-401, 2006.
30 송병국, "학교교육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함양 방안", 인문과학연구, 제9권, pp.45-72, 2000.
31 안광식, 김미영, 최완식, "대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에 관한 연구", 대한공업교육학연구, Vol.30, No.1, pp.96-105, 2005.
32 안희정, 최은석, "역량모델의 개념과 구축방법론에 대한 개관", 사회과학연구, Vol.42, pp.43-59, 2003.
33 양승실, 김현진, 주경필, "기업의 대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분석", 기업능력개발연구, 제9권, 제2호, pp.145-170, 2006.
34 오만덕, 이승희, "대학생 직업소양능력 진단 및 지원 프로그램 적용:D 전문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4호, pp.497-506, 2011.
35 오헌석,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 분석", 경영교육연구, 제47권, pp.191-213, 2007.
36 윤명희, 신현순, 서희정, "대학생의 직업세계 인식에 관한 연구", 직업교육연구, 제29권, 제4호, pp.301-327, 2010.
37 김도태, 배상욱, 허만우, 박동열, "산학협력 강화 를 위한 지역 산업체의 요구 분석", 평생교육학술지, 제4권, 제1호, 영남평생교육학회, 2004.
38 이재경, "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방법론에 대한 고찰: 마케팅 역량 강화 교육과정 체계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제18권, 제4호, pp.25-56, 2002.
39 강경종, 이건남, "직업기초능력 함양을 위한 전문대학 교양교육과정 개발 방안", 직업교육연구, 제 22권, 제1호, pp.79-13, 2009.
40 김봉환, 이성옥, "대학생의 리더십 향상과 기초직업능력 개발", 숙명리더십연구, 제8권, pp.35-62, 2008.
41 김성호, "관광과 조리계열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교육향상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42 김승태,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제도의 도입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행정논집, 제21 권, 제2호, pp.599-626, 2009.
43 나승일, 김주섭, 김주일, 정연앙, 구자길, 김강호, 문세연, "국가직업능룍표준 실용화를 위한 제도 화 방안", 농업교육과인적자원개발연구, 제39권, 제1호, pp.191-215, 2007.
44 김진모, "기업의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직업교육연구, 제20권, 제2호, pp.109-128, 2001.
45 고재성, 이건남, 김성남, 변정현, "청년층 구직역량 개념 정의 및 가중치 분석", 교육과정연구, 제 29권, 제2호, pp.17-42, 2010.